음악 좀 즐긴다는 이들의 이 집 저 집에 꽂혀 있길래, 헌책방에서 사두었다가 읽어 보았다.

  지적 차이와 그로 인한 구조적 차별의 극복은 반지성주의가 아니라, 대중의 지식인화를 통하여야 한다고 믿기에, 클래식도 공부하고, 반복 훈련-연습하여야만 친해질 수 있다는 글쓴이의 머리말이 반가웠고, 일말의 기대를 가졌다.

  하지만 결국 타협할 수밖에 없었던 것일까. 시중에 넘쳐나는 여느 클래식 입문서들과 마찬가지로 에피소드 나열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요즘은 포노(Phono) 출판사 등에서 아래과 같이 주옥같은 책들이 많이 소개되고 있지만, 국내 서적을 보면 여전히 '요런 이야기는 못 들어봤지?'하며 흔하고 뻔한 이야기를 늘어놓는 야사野史 경쟁에 머물고 있는 것 같다]. 음악이론을 전공하셨다는데, 글쓴이만의 음악체험에서 우러나오는 깊은 통찰 같은 건 발견하기 어려웠고, 제시된 내용 중에는 모르는 이가 읽으면 오해할 만한 서술도 있었다.

  글빨의 문제였는지, 이강숙, 민은기 같은 분들의 (아마도 귀하디 귀한) 지인 찬스 추천사에도 불구하고, 회사나 문화센터 교양강좌에서 다룰 정도의 내용에 그쳤다. 다만, 장과 장 사이 오진국 화백이라는 분의 그림만은 눈길을 사로잡았다.



  그 밖에 위와 같은 책을 내셨는데, 『클래식 음악계의 낮과 밤』이라는 제목이 당장 솔깃하나, 한 분의 혹평이 마음에 걸린다. 글쓴이의 다른 책을 읽어 본 입장에서 어떤 느낌인지 짚이는 바가 없지 않다.


  이야기가 나온 김에, 응원하고픈 출판사, 포노(PHONO)의 포트폴리오를 점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