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315/pimg_7947761441862697.jpg)
이응노, 동양화의 감상과 기법, 문화교육출판사 (1956. 4. 25.) 49쪽.
지금은 구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564/43/cover150/899155527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8/3/cover150/898900423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7/26/cover150/895529004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7/26/cover150/895529005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7/44/cover150/895529007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5/69/cover150/898890093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7/46/cover150/895529008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9/75/cover150/895529023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4/29/cover150/895529039x_1.jpg)
![](http://image.aladin.co.kr/img/noimg_off_b.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962/31/cover150/scm96373931976.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895/31/cover150/k68243437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7756/41/cover150/k142434027_1.jpg)
알라딘에는 뜨지 않지만 고암미술은 2002년 5권(60년대 이응노 추상화전, 黑과 色)까지 나왔고, 그 외에도 이응노미술관에서 펴낸 책들이 다수 있다. 도록은 물론 더 많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315/pimg_7947761441862698.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315/pimg_7947761441862699.jpg)
1991년 송미화, 1993년 유선영, 1994년 김학량, 이상민, 1995년 신명선, 김영희의 석사논문과 김학량, "고암 이응노(1904~89)의 前期 그림세계(1923~58)", 한국근현대미술사학, 제2집 (1995. 11.), 148-214 등으로부터 시작하여 학술논문이 이제는 꾸준히 나오고 있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