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40
임레 케르테스 지음, 유진일 옮김 / 민음사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운명2002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임레 케르테스의 대표작으로, 이른바 운명 4부작의 첫 번째 권이다. 1975년에 발표되었고, 4부작은 좌절, 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기도, 청산으로 이어진다. 이들은 운명』의 내용을 기본으로 한 변주들이다.


  다른우리 출판사에서 2002. 12.부터 2005. 3. 사이에 모두 번역되었다가 현재는 네 권이 다 품절되었다. 다른우리 출판사에서 2002. 12. 출간한 운명은 독일어 중역본이다. 아마도 2002. 10. 10. (스웨덴 현지 시각) 노벨문학상 선정 발표 후 급히 번역하여 낸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4부작 국역본 중 좌절만 헝가리 문학 전공자의 번역이다.



  『운명2016. 5. 민음사에서 다시 나왔다. 헝가리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유진일 박사의 새 번역이다. 헝가리 문학잡지인 <뉴거트Nyugat> 3세대 작가인 로너이 죄르지(Ronay Gyorgy)의 아들, 로너이 라슬로(Ronay Laszlo) 교수 밑에서 수학하셨다고 한다. 노벨문학상 선정 발표 후 번역에 이르기까지 꽤 오랜 와신상담의 시간이 있으셨다.


  소설의 제목 ‘Sorstalanság’소르슈탈란샤그정도로 발음하고, 영어로 fateless의 의미라 한다. 같은 제목의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sors운명이고, talanság원인불명/혼란정도의 뜻인 모양이다(talan이 '없는', ság이 '것'). 우리도, 인간이 이해할 수도 없고, 피하거나 빠져나올 수도 없을 것만 같은 비극적 사태에 (fate‘less’) 내지 ’(宿命, fatum, 필연성)이라는 말을 붙이곤 하였다.


  그러나 강제수용소 생활을 남 얘기하듯 담담하고 객관적으로 묘사하여 결국 독자들을 '대신 화내게 하는' 그의 당혹스러운 글몸이나, "운명이 있다면 자유란 없다. 그런데 만약(내가 점점 흥분하며 말을 이었다.) 반대로 자유가 있다면 운명이 없다. 그 말은(여기에서 나는 잠시 숨을 고르기 위해 말을 멈췄다.) 우리 자신이 곧 운명이라는 뜻이다."(282쪽)라는 언급을 보면, 그가 운명에 관하여 말하고자 했던 것은 꼭 그런 내리누르는 느낌의 운명만은 아니었던 듯도 싶다. 도리어 야만은 현재 진행형 아우슈비츠에 암묵적으로 동조하는 우리 자신들로부터 비롯된다.

 

  임레 케르테스는 2016. 3. 31. (현지 시각) 타계하였다(관련 기사 링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