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뿌리들 소운 이정우 저작집 5
이정우 지음 / 그린비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운 이정우 선생의 역작!

  가까이 두고 읽고 또 읽어 마땅한, 농밀한 교과서.

  완전히 익혀 두고픈, 별점을 다는 것이 무의미한, 너무나 훌륭한 책이다.

  개념을 탑재하고 싶으시다면 필독!


  당장 급박한 현안(?)이 없는, 오늘과 같이 '무슨 책을 읽을까'를 고민할 여유가 있는 날, 한 챕터씩 읽곤 하였는데, 그 추이가 자못 흥미롭다. 정리해놓고 보니 무슨 명절 이벤트처럼 읽은 것 같다. 여러 번 꼼꼼히 읽은 장들이 몇 개 있다.


  2014.  8. 10. (일)  서강, 14강

  2014.  8. 11. (월)  12강

  2014. 10.  5. (일)  1강 (개천절부터 시작된 사흘째의 휴일)


  2015.  1. 20. (화)  2강

  2015.  2. 19. (목)  3강 (설날)

  2015.  2. 21. (토)  4강 (수요일부터 시작된 5일간의 설 연휴 중 사흘째 날)

  2015. 10.  4. (일)  5강 (개천절 다음날이기도 하다)


  2016.  7.  2. (토)  8강

  2016.  9. 27. (화)  13강

  2016. 12. 25. (일)  6, 7강 (크리스마스)


  2017. 10.  4. (수)  9, 10, 11, 15강 (추석. 부분 부분을 이전에 읽긴 하였는데, 이번에 한 호흡으로 마저 읽었다)


  나 자신도 꾸역꾸역 완독하는데 위와 같이 3년에 가까운 세월이 걸려버렸지만(그만큼 소화할 내용의 밀도가 높기도 하다), 선물받은 책을 '읽을' 것으로 기대되는 벗들에게 '단 한 권'을 선물하고 싶을 때 집어 들곤 하였던 책이다(나도 역시 친구로부터 추천받아 샀다).


  이참에 이정우 선생의 (단독)저서와 번역서들을 정리하여 본다. 올해는 아직 출간된 책이 없는 모양이다. 인생의 '지도리'에서 큰 '감응(affection)'을 주었던 책들이 많다. 상당수를 구판으로 읽었던 과거의(?) 대표작들은 '저작집' 시리즈로 다시 출간되었는데, 『담론의 공간』, 『가로지르기』가 시리즈 첫 권인 『객관적 선험철학 시론』으로 묶여 나왔다. 정리하면서 보니 몰랐던 책들이 있다. 공동저서까지 범위를 넓히면 목록이 훨씬 늘어난다. 참 꾸준하시다는 것을 새삼 느낀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묵향 2017-10-06 18: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선생의 번역서 목록에서 빼놓아서는 안 될 책, 앙드레 베르제, 드 니 위스망의 『새로운 철학강의 Ⅰ/Ⅱ』(인간사랑)를 빠뜨렸다는 것을 깨닫고 추가함 (2017. 10.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