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비의 사기꾼들 - 노벨상 수상자의 눈으로 본 사이비 과학
조르주 샤르파크 외 지음, 임호경 옮김 / 궁리 / 2002년 11월
평점 :
1992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조르주 샤르팍의 '사이비과학' 폭로서라기에 기대를 갖고 책을 집었다. 그들로서는 대중을 미망(迷妄)으로부터 건져내야 하겠기에, 쉬운 대중서를 쓰려 한 것은 좋다. 그러나 계도에 대한 강박 탓에 그저 그런 책이 되고 말았다. 2002년 프랑스에서 과학 분야 베스트셀러에 올랐다는데, 당연하고 새로울 것 없는 이야기들을 과히 진지하고 장황하게 설명하여야 하게 되다 보니, 오히려 '사기'를 '신비화'하고 있다는 느낌마저 든다. 차라리 이론적으로 조금 더 깊이 들어갔으면 어땠을까 싶다. 비슷한 주제의 책들을 몇 권 훑어보고 있는데, 좋은 대안이 눈에 띈다. 나중에 소개하겠다. 어쨌든 이 책은 초~중학교 수준의 교양서 정도로 적당할 책이다. 두 저자가 같은 주제로 2006년에 간추려 낸 책은 그리 반응이 좋지 않아 이상에 쓴 정도의 평을 받는 것 같다.
그나저나 '주장'의 난무가 '사실' 확인(팩트 체크!)을 뒷전으로 미루게 하고, 맹목적 '신앙'이 '과학'과 '이성'을 마비·정지시켜 도리어 적반하장으로 '믿음 부족'을 탓하는 세태는 비단 한국사회에 국한된 일만은 아닌 듯하다('팩트폭력'이란 말은 그동안 우리 사회가 입장의 동일성을 확인하여 니 편 내 편을 가르는 일에 비하여, 사실 확인과 검증에는 얼마나 무관심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미신을 믿는 정도와 학력 수준이 정비례한다는 연구결과들은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특히 비과학 전공 학력 수준이 높은 경우에, 미신과 유사과학을 나름의 방식으로 더 깊이 이해하여 강하게 믿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폴란드에서 태어나 레지스탕스 활동을 한 이력답게 저자가 '연대의식'과 '시민교육'을 강조하는 것이 인상적이다. 이 책에서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지는 않으나, 원자력 에너지의 위험성에 대한 경계를 모조리 비과학을 치부하는 듯한 태도는 동의하기 어렵다. 샤르팍은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큰지, 아래에서 보는 것과 같이 관련 주제의 책도 한 권 출간하였다.
프랑스어 원전과, 영어본은 각기 특색 있는 다음 제목들로 출간되었다. 프랑스어 제목의 뜻은 '마법사 되기, 과학자 되기' 정도가 되겠다. 뒤의 두 권은 후속편의 프랑스어본, 영어본이고, 마지막이 원자력 에너지와 핵무기에 관한 책이다. 공저자 앙리 브로슈는 초자연 현상에 집중한 책을 몇 권 냈는데 따로 인용하지 아니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