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오의 중국과 그 이후 2 이산의 책 33
모리스 마이스너 지음, 김수영 옮김 / 이산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4월에 1권에 이어 읽다 만 것을 마저 읽었다. 2권은 특히, 중국 공산당이 어떻게 '내셔널리즘'(부국강병, 선부론)에 입각하여 노동자운동, 대중운동을 탄압함으로써[외국자본을 위하여 이른바 '노동평화'를 보장함으로써-매판()!], 중국 자본주의와 부르주아지 형성, 발달에 앞장섰는지를 많이 다루고 있다. 역사의 역설이 아닐 수 없다.


 중국'지성사'를 전공한 저자는 중화인민공화국 50년의 장대한 서사를, 두루 빠짐 없이, 그것도 아주 농밀하게 전개하고 있다. 시각 또한 균형적이다. 중국현대사를 공부하기 위하여 건너뛸 수 없는 최고의 연구서 중 하나가 아닐까 생각된다. 단연 저자의 대표작으로, 저자는 1986년 초판 출간 후 1999년 세 번째 개정판을 냈다. 저자로부터 직접 배운 역자의 꼼꼼한 번역도 감사하다.


 저자의 책 중 국역된 것으로는, 다음 두 권이 있다.

 Li Ta-chao and the Origins of Chinese Marxism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67) [권영빈 역, 『李大釗: 중국사회주의의 기원』, 지식산업사(1992)]

 Mao's China: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NY: The Free Press, 1977) [김광린·이원웅 공역, 『모택동사상과 마르크스주의』, 남명(1987)]

 그러나 알라딘에서는 검색되지 않는다.



 이 책이 가진 또 다른 미덕은 방대한 참고문헌 목록이다. 많은 책들이 흥미를 끌었지만, 다음 책들에 특히 더 눈길이 갔다.



 에드가 스노우, 『중국의 붉은 별』은 2013년에 개정 번역본이 나왔다.



 이산에서는 동아시아 역사·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학술도서를 꾸준히 번역하고 있다. 근현대 중국에 한정하여 몇 가지를 추려 보면, 다음과 같은 책들이다. 예시한 책들 외에도 포트폴리오가 대단히 화려하다. 시리즈 자체만으로 높이 평가받아 마땅하다. 조너선 스펜스의 책이 많다. 레이 황 『자본주의 역사와 중국의 21세기』가 특히 흥미로워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