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에 이르는 병 범우고전선 7
키에르 케고르 지음, 박환덕 옮김 / 범우사 / 199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키에르케고르는 처음 읽어봤는데... 일단 보류. 몇 권 더 읽어봐야겠다.


“절망은 ‘죽음에 이르는 병’이다.

(...) 기독교적으로 해석한다면 죽음 그 자체도 생명으로의 이행을 뜻한다. 그러는 한에 있어서 지상의 어떤 육체적인 병도, 비록 그것이 죽음에 이를 정도라 하더라도 절망에 대해 일컬어지는 만큼의 죽음에 이르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죽음은 물론 병의 최후이긴 하나 죽음이 결코 종국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는 것이 가장 엄밀한 의미로 밝혀져야 한다면, 죽음은 종국적인 것이고 종국적인 것이 죽음인 경우가 아니면 안 된다. 따라서 절망이라는 병이야말로 바로 그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망은 다른 의미에 있어서 더욱 명확히 죽음에 이르는 병이다. 이 병으로 사람은 죽지 않는다 - 보통 사람이 죽는다는 의미에 있어서 - 바꿔 말하면 이 병은 육체의 죽음으로 끝나지 않는다. 그와 반대로 절망의 괴로움은 도리어 죽을 수 없다는 점에 있다. 절망은 모든 치명적인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의 증상과 비슷하다. 그는 누워서 죽음과 싸우고 있으면서도 죽을 수 없다. 죽도록 앓고 있는 것인데, 그렇다고 해서 살아날 수 있는 희망이 있는 것도 아니다. 도리어 최후의 희망인 죽음마저 없어진 절망을 뜻한다. 죽음이 최대의 위험이라면 인간은 삶을 원한다. 그러나 더욱 두려운 위험을 알게 될 때 인간은 죽음을 원한다. 죽음이 희망의 대상이 될 정도로 위험이 크게 된 경우의 절망이란, 한 번 죽을 수 있다는 희망마저 없는 상태를 뜻한다.

이 최후의 의미에 있어서, 절망은 죽음에 이르는 병이다. 자기의 내부에 있는 이 병은 영원히 죽는 것이고, 죽어야 하는데도 죽지 않는 것이며, 죽는다는 괴로움에 충만된 모순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