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사 - 상 - 고대와 중세 서양 철학사 - 상
요한네스 힐쉬베르거 지음, 강성위 옮김 / 이문출판사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學`은 `체계적 지식`을 의미합니다. 비록 저의 공부가 하찮기 짝이 없는 수준이지만 부족한 깜냥으로 보아도 공부를 튼튼히 쌓아나가려면 지성사의 씨줄과 날줄을 촘촘하게 잘 엮어나가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자기 안에 나름의 체계를 정립해 주소 정리를 잘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인데요, 결국 공부란 어제 공부와 오늘 공부의 연쇄를 통해 야무지게 뼈대를 세우고, 비어 있는 고리가 어디인지를 발견해 보수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점차로 살을 붙여나가는 과정의 반복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공부를 하는 까닭은 내가 이전에 무엇을 알지 못했는지를 알기 위함이고(공부하지 않고서야 자신이 무엇을 모르는지를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모든 진리인식의 기초는 지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겸손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철학사`는 그러한 골조공사 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공부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철학사 공부는 `대뇌 전두엽`에 근육을 잡고 시냅스를 유연하게 스트레칭해 학문의 기초체력을 기르는 공부입니다. 정신의 성장사이자 자기발견, 자기반성 과정인 철학사를 음미함으로써 우리는, 개인적 시공간 제약을 무너뜨리고, 이런저런 주관적인 전제와 아집을 벗어나, 영원한 상 아래에 있는 참된 세계에로 마음을 열고 다가갈 수 있습니다. ˝우리는 역사에 의해서만 역사를 벗어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공부는 평생에 걸쳐 해야 하는 것으로서, 어느 정도 공부가 되었다 싶으면 더이상 철학사를 읽지 않게 되기 쉬운데 이는 공부의 균형을 허무는 일...이라고 합니다. 안 살아봐서 모르겠습니다^^;;;

힐쉬베르거가 전 생애를 바쳐 썼다는(그는 교수자격을 얻기 위해 쓴 책을 제외하고는 이 책 외에 다른 책을 쓰지 않았습니다) 이 `서양 철학사`는 강유원 님께서 대학시절에 반년 동안인가 하루 18시간씩 50회독했다고 해서, 심지어 필사까지 했다고 해서 더 유명해진 책인데요, 이제 겨우 (상)권을 읽은 것이지만 실제로 읽어보니 과연 좋은 책이 맞는 것 같습니다. 내용이 매우 튼실합니다. 번역도 좋습니다(1992년 제3회 서우 철학상 번역 부문 수상). `헐, 내가 이걸 다 읽긴 읽었구나.` 싶어 기분도 좋습니다. 단, (물론 50번 반복하는 동안에도 매번 새로움이 느껴질 만큼 좋은 책일 것임이 분명하고, 그런 우직한 반복이 도움은 되겠으나,) 강유원 님처럼 할 필요가 있을까 싶긴 합니다. 20대에야 몇 개월쯤 버리는 셈치고 그렇게 해볼 수도 있겠는데, 그런 반복만이 능사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러기엔 기회비용(?)이 너무 커보입니다ㅠ 어찌되었든 다시 책 내용으로 돌아와서,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고, 저자는 크게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두 축 삼아 철학사를 기술해나가고 있고,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를 플라톤과 대립시키기보다는 되도록 플라톤의 연장선상에 두려는 입장입니다[˝플라톤의 눈을 가지고 세계를 보도록 우리에게 가르쳐준 최초의 그리스 사람은 아리스토텔레스였다(예거).˝]. 철학에는 시간을 벗어난 무언가가 있고, 철학의 문제가 완전히 낡아버리는 일은 없는 만큼, 고대와 중세의 철학을 이만큼 꼼꼼하게 공부하고 나면 시나브로 아랫배가 든든해진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서양철학은 플라톤에 대한 주석에 불과하다.˝고 한 화이트헤드의 말도 유명하거니와, ˝그리스 철학에서 세계관적인 사고의 여러 가지 가능성들이 빠짐없이 다 논의되었고, 오늘날까지 문제되고 있는 여러 문제들이 다 발견되었으며, 또 오늘날의 우리들이 아직도 따라가고 있는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길이 다 제시되었다(호프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