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쓴다.

  길게 쓰다 만 글들이 몇 개 있었는데, 다른 많은 일들에 전념하고 돌아와보니 어디에 저장해두었는지도 모르겠고, 찾은들 이어쓸 수 있을지 모르겠다.

  순간순간 한계를 짜내야 하는 삶 안에서 생각을 차분히 정리할 여유를 찾기가 쉽지 않다.

  이따금 옛글에 "좋아요"를 눌러주시는 분들 덕분에, 내가 이전에 저런 생각을 했구나 하는 것을 새삼 상기받는다.


  아이가 보통 깨는 시각보다 한 시간 정도 이른 새벽 5시에 깼기에, 머리를 좀 씻을 생각으로 저 책을 잡아보았다.

  구색은 얼추 갖추었으나, 잘 간추린 책이라고는 보기는 어렵다.

  127쪽에 Mary Wollstonecraft의 사망연도가 1997년으로 되어 있는데, 당연히 1797년의 오기이다. 133쪽 Phillippa Foot의 이름 표기, 135쪽 Judith Jarvis Thomson의 이름 표기도 잘못되었다(그 밖에 아주 많지만 생략).

  포스트 페미니즘의 흐름을 크게 여성해방운동(MLF; Mouvement de libération des femmes https://en.wikipedia.org/wiki/Mouvement_de_lib%C3%A9ration_des_femmes)의 두 분파, 즉 '평등'을 강조하는 '혁명적 페미니스트' → 영미 페미니즘과, '차이'를 강조하는 '정치와 정신분석'(Politique et psychanalyse, 줄여서 po et psyche) → 프랑스 페미니즘으로 대별하고 있다.

  그리고 포스트 모더니즘의 주요한 마디가 어떻게 페미니스트들에 의하여 재전유되었는지를 소개하고 있는데, 다룰 내용이 방대해서 그런지, 다른 '하룻밤의 지식여행' 시리즈에 비하여는 실망스럽다.


  지은이 Sophia Phoca는, 런던예술대학(UAL, https://en.wikipedia.org/wiki/University_of_the_Arts_London)을 구성하는 Camberwell, Chelsea, Wimbledon의 미술대 학장님이다(https://www.arts.ac.uk/colleges/chelsea-college-of-arts/people/sophia-phoca). UAL은 Camberwell, Chelsea, Wimbledon 외에도 Central Saint Martins, London College of Communication, London College of Fashion 등 6개 학교가 연합한 종합 예술대학인데, 유럽에서는 가장 크고,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0에서 Royal College of Art에 이어 Art & Design 분야에서 2019년에 이어 2위에 올랐다. https://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y-rankings/university-subject-rankings/2020/art-design 3위가 미국 Parsons School of Design at The New School, 4위가 미국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RISD), 5위가 미국 MIT이다. UAL은 한국에서도 유학을 많이 가(고 싶어하)는 학교이다(학생들을 인터뷰한 영상이 유튜브에 있다 https://youtu.be/lXyGLox_D04).

  Phoca 학장님은 위 책 외에 특별히 남긴 저서가 없다. 대학 프로필에도 The Routledge Reader on Feminism and Postfeminism (2007)에 기여하였다는 것과, 엘렌 식수(Hélène Cixous)를 인터뷰하였다는 정도가 소개되어 있을 뿐이다.


  책에서는 특이하게도 '덕 이론'(Virtue Theory)에 상당한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 너스바움 Martha C. Nussbaum이 덕 이론 계열의 신세대(?) 철학자로 분류되는 모양인데, 나는 특히, '도덕적 객관성이나 선험적 견해는 모두 허구이고, 도덕적 고려는 반드시 어떤 식으로든 이해득실과 관계가 있다'고 주장한 Phillippa Foot과, 비트겐슈타인의 제자로서 '도덕 역시 사회적 조건 속에서 구성된 것이기에 사람들이 도덕에 대한 감정적 속박, 헌신에 관하여 어떻게 느끼고 왜 그렇게 느끼는지, 즉 사람들의 동기와 욕망을 검토하여야 한다'고 주장한 Elizabeth Anscombe에 관심이 갔다. 대의명분이 정파의 이해득실을 은폐하고, 자신들과 추종자들의 정신분열을 봉합하는 알리바이로 전락해버린 시대 아닌가.


  어떤 책들이 나와있는지 보자.




  책에 언급되거나 소개된 책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책이 나오고도 20년이 지난 만큼, 새로 출간된 책들을 내 마음대로 덧붙였다. Juliet Mitchell의 선구적인 저서, 『정신분석과 페미니즘 Psychoanalysis and Feminism』(1974)은 언제라도 번역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페미니즘과 포스트페미니즘




  페미니즘과 정신분석학




  문화 연구와 문학 연구, 탈식민주의



 

  성, 퀴어 이론 등




  영화 연구




  예술 연구




  무용




  사상가별[이번 포스팅의 맥락상 지나치게 일반적(?)인 책들은 제외하고, 덕 이론 사상가들을 위주로 포함시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