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들의 소셜 네트워크 - 인간보다 정교한 동물들의 소통에 관한 탐구
리 앨런 듀가킨 지음, 유윤한 옮김 / 동아엠앤비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 연결망(social networks)이 오직 인간동물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비인간 동물 세계에서도 정교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다수의 연구에서 나온 결과이다. 흡혈박쥐가 동료에서 음식을 나누어주거나, 코끼리처럼 무리가 서로의 안부를 묻고 인사를 하며, 영장류 특유의 사회 행동은 인간동물과 흡사하기도 하다. 비인간 동물의 이런 사회활동은 고립을 피하려는 본능과 살기위한 생존 본능의 결과물이라고 생각된다. 포식자와 변화하는 자연환경에서 사회활동을 잘 해야지만 자신은 물론 전체 무리의 생존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인간동물과 비인간동물이 가지고 있는 소셜네트워크의 차이는 무엇일까? 비인간동물은 기본적으로 이미 이어져 있는 관계를 더 끈끈하게 만들고 유지함이 1차 목적이라면, 인간동물의 경우 관계를 확장하고 소유하려는 목적이 있다. 비인간동물의 연결은 자연의 힘에 대응하여 살기 위함이 우선이지만, 인간동물은 조금 오만하게도 자연을 정복한 상황에서 자신을 증명하고 빠르게 더 많이 연결되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다보니 피로가 누적되고 SNS를 하지 않거나 비공개로 운영하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다. 인간동물은 더 많은 인간동물과 연결되기보다 어떻게 하면 사회적으로 서로 도울 수 있게 잘 연결되는가를 고민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