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는 돈은 죽는다 - AI 시대 투자 혁명
BUSTUDY 지음 / 부크크(bookk)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80년 한국 내 은행의 1년 정기예금 금리는 24%였으며, 1998년 8월-1999년 5월 중에는 12.75%였다. 이에 비하여 2025년 한국 3대 은행(국민, 신한, 하나)의 정기예금 금리는 모두 4%가 채 되지 않으며 년내 금리는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기예금만 해도 부자가 될 수 있었던 1980년대와 달리 2025년 한국의 경제는 최선을 다하여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서만 돈을 벌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이다. 이렇게 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시장에 현금의 양이 늘어나 실질 구매력이 낮아지는 인플레이션 때문이다.

우리는 현금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는 정기예금은 결국 인플레이션에 의한 손실을 그대로 두는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해야한다. 투자의 구조가 변화한 시점에서 '잠자는 돈은 죽는다'에서는 인플레이션을 방어할 수 있는 자산으로 미국 ETF, 배당성장주, 환율 변화에 따른 전략적인 투자를 추천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제로 바라보는 글로벌 경제의 흐름을 시작으로 하나의 회사 주가에 올인하는 것이 아는 지수 ETF 투자를 통해 안정적이면서 예금보다는 수익성이 높은 ETF를 추천하고 있다. 단기수익보다는 장기적으로 돈의 실질가치를 지키지 위한 생존 전략에 대해 고민해볼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한다. 우리는 투자를 통해 자본소득 증가 방법을 고민하는 생존 메뉴얼로 '잠자는 돈은 죽는다'를 읽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