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에서는 이 꽃이 왜 피어오르는지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이런 걸 17 따져 묻지 않습니다. 하지만 《주역》을 읽다가 무심히 올라오는 가지 끝의 흰 것 하나를 보고선 하늘의 뜻을 읽어냅니다. 이게 바로 통찰입니다. 그 많은 선승들이 면벽을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 시간에 책을 읽고 이치를 따지면 훨씬 더 많은 깨우침을 얻을 텐데 면벽을 하면서 자기 내면을 들여다보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법정스님은 입적하기 전까지 산에 암자 하나 지어 놓고 몇 권의 책을 들고 들어가서 실존철학의 핵심을 꿰뚫어보는 힘이 무엇인지 들여다보았습니다. 법정 스님은 "지식은 바깥의 것이 안으로 들어오는 것이지만 지혜는 안의 것이 밖으로 나가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이 핵심이었습니다. 저는 이게 동양의 힘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양은 어떤 것을 알기 위해 따집니다. 따지고 알아보고 분석하고 그리하여 기어이 답을 찾아냅니다. 그게 그들의 아주 좋은 장점입니다. 그런 삶의 태도가 우리를 화성까지 보냈습니다. 일례로 화성에 간 우주선의 이름이 "큐리어시티curiosity", 즉 "호기심"입니다. 인간의 호기심이 인간을 화성에 보낸 겁니다. 두려움 없이 끝까지 파헤쳐 뚫고 가는 힘이 우리를 우주로 안내했습니다. 반면 동양은 어떨까요? 동양에서 분석적인 삶의 태도는 찾아보기 힘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아무것도 아닌 봄꽃에서 하늘의 뜻을 보는 이 능력은 도대체 무엇입니까. - P16
반면 많은 중국 고전이 유럽에 전해진 시기에 중국은 유럽 고전에 대해서 거의 까막눈이었습니다. 유럽 고전을 번역한 게 별로 없었습니다. 이것을 두고 그 당시 중국 사람들은 "드디어 중국 문명의 위대함이 전 세계에 퍼지는구나. 오랑캐들이 찾아와서 배워 가는구나"라고 해석했을 겁니다. 대신 이들은 "유럽인들에게 지고 있구나. 유럽인들이 총, 칼, 경제 이런 것으로 앞서가는 정도가 아니라 정신적, 문화적으로도 이미 더 앞서나가는 징표가 아닌가"라는 식으로 해석을 해야 마땅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 P33
18~20세기까지 이 세계를 호령한 것은 분명 서구 문명이었습니다. 서구가 경제적, 군사적으로 강해서 세계를 지배했을 뿐만 아니라 정신적, 문화적인 측면에서 보편적인 틀을 만들어서 전 세계에 강요했습니다. 물론 민주적인 가치를 비롯해 서구 문명의 많은 것들이 인류의 발전에 중요한 공헌을 했습니다. 그러나 몇 백 년이 지나는 동안 이런 것들이 사악한 측면과 동시에 한계를 드러내면서 폭력적인 지배 상황으로 귀결되었음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서구 문명이 세계의 보편적인틀이 되었던 시대는 지나가고 있습니다. 이제 뭔가 새로운 틀을 짜고 새로운 사고와 문화를 일궈내야 할 때입니다. - P33
앞으로 아시아의 시대가 될 것이란 말은 아마 맞는 말인 듯합니다. 34 21세기에는 한·중·일이 중요한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고 갈수록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아시아의 시대가 된다는 것은 과연 어떤 의미일까요? 특히 이 말에 대해 우리나라 사람들은 조금 공격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지금까지 역사적으로 강대국에 밀렸고 일본의 식민 지배를 당한 경험이 있어서 그런지 근래 들어 ‘우리도 한번 이 세상을 지배해 봐?‘ 하는 생각을 갖는 것 같습니다. ‘과연 이런 사고방식이 맞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듭니다. 물론 잘살고 경제적, 군사적으로 앞서가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 이면에는 ‘우리가 당했던 만큼 갚아야지‘ 하는 마음이 담겨 있는 건 아닌지 걱정되는 측면도 있습니다. - P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