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왕부지철학을 연구한 목적을 여기에 꼭 밝히고 싶다. 그 목적은, 좀 거창하게 이야기하자면, 연구하는 과정에서 우리 동양의 전통학문 내부에서 현대화를 추동시킬 수 있는 합리성과 이상성을 발견할 수 있기를 희망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각하기에, 이른바 현대화란 비교적 서구화에 부합하는 성질에 경도된다. 그런데 여기에서 말하는 서구화란 구체적으로 말해서, 과학기술의 선진화요 민주적인 정치제도이다. 그러나 필자가 말하는 현대화는 이런 것이 아니다. 물론 현대화를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선진화도 필요하고 민주적인 정치제도도 필수불가결의 요소이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선진화는 그것을 연구하는 전문가들이 담당해야 할 것이요, 민주적인 정치제도는 정치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연구범위에 속한다. 철학의 임무는 그들에게 필요한 이론 근거 혹은 반드시 추구해야 하는 이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구나 오늘날의 세계에서 이른바 선진적인 과학기술과 민주적인 정치제도가 우리 인류에게 떠안기는 문제들과 그로 인한 위기는 날이 갈수록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우리는 마땅히 과학기술과 민주제도의 이론적인 기초를 검토해야 하고, 그 목적과 이상을 반성해야 한다. 필자가 현대화를 추동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합리성과 이상성은 바로 이런 검토와 반성의 기점 혹은 근거이다. 물론, 이런 합리성은 결코 이론이성에 치우친 서구의 합리성과 같은 것이 아니라, 이론이성과 도덕이성을 함께 중시하지만 도덕이성이 주도자가 되는 합리성이다. 동양의 문화전통에서 가장 특출한 것은 의심의 여지없이 도덕성이다. 그러나 도덕이 비록 핵심이지만, 단지 도덕만으로는 인류가 이상에 도달하려는 과정에서 부딪치는 일련의 곤란을 원만하게 처리할 수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도덕원칙 이외에, 또한 우리의 문화전통 안에서 도덕이성과 이론이성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그 둘을 회통할 수 있는 원칙을 발굴해야 한다. 바꿔 말하자면, 우리가 발굴하려는 원칙은 일종의 ‘전체이성’에 관한 원칙이다. 이 원칙은 이상에 도달할 수 있는 근거를 확립시켜 줄 것이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그것은 곧 인문성·인문원칙이어야 한다. 물론, 자고이래로 인문정신은 동양문화전통의 주된 내용의 하나였으며, 이른바 유학이 표방하는 것 또한 이런 정신이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인문정신은 오직 도덕원칙만을 강조하고 이론이성을 중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것은 서구처럼 근대화를 추동시키지 못했다. 우리가 여기에서 말하는 인문원칙은 하나의 전체이서의 원칙이다. 이런 이성은 왕부지 철학에서 비로소 발아하기 시작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이 점은 그의 「심론心論」을 살필 때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왕부지의 최종적 포부는 바로 전체이성에 근거한 인문정신의 부단한 심화였다고 생각한다. 그의 일생 동안 각고의 노력으로 실천한 것 또한 학문이라는 영역에서 그 인문정신의 의의를 분명하게 밝히는 작업이었다. 그런데 필자가 말하는 합리성이 바로 인문성이다. 혹은 인문성은 적어도 합리성의 근거가 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왕부지철학을 연구하여 동양문화전통 안의 합리성을 천명하는 것 또한 불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종합해서 말하자면, 19세기 중엽이래로 서구문명의 타격으로 혼미함 속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동양문화로부터, 서구문명이 남겨놓은 병폐를 극복할 수 있는 합리성, 즉 인문성을 발견하여 인류의 이상에 도달할 수 있기를 희망해보자는 것이다. - P8

앞 절에서 우리는 이미 도의 작용을 본체 차원에서 볼 경우와 천지만물의 입장에서 볼 경우로 구분했다. 여기에서 말하는 것은 분명 천지만물의 입장에서 보는 도이다. 즉, 여기에서의 도란 특정 사물이 그런 사물이 되는 규율이자 법칙이다. 그러므로 어떤 특정한 사물이 없다면 그 사물의 규율이 존재할 수 없다. 이것은 변할 수 없는 사실이며 또한 분명하게 드러나서 쉽게 알 수 있는 사실이다. 100 다만 사람들이 살피지 않을 따름이다. 그러나 이런 설명이 결코 보편적 혹은 일종의 유적 공통 규율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개별적 혹은 특정한 하나의 사물의 입장에서 말하는 것으로, 그 특정한 개별 사물의 규율은 반드시 그 존재에 귀속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규율은 존재의 규율이지만, 존재는 규율의 존재일 수 없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필자에게는 필자가 되는 개인적인 특성과 규칙이 있다. 만일 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런 특성과 규칙 또한 있을 수 없다. 종합하자면, 어떤 사물이 있으면 그 사물의 규율도 존재하고, 사물이 사라지면 그 규율 또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세상은 오직 기물일 뿐이다." 이런 관점은 동정이 음양의 동정이고 ‘신’ ‘도’가 기체의 그것인 것과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존재의 각도에서 말한 것이다. 구체적 존재와 그 작용의 관계 문제에 대해 왕부지는 일관되게 존재의 우선성을 주장했다. - P99

그러나 또한 왕부지가 생각하기에, 세상의 모든 사물들은 설령 모두가 음양이 변화하여 그 형상을 이루었다 하더라도, 음양의 덕성과 그 시기 및 자리가 적당한지 여부에 의해 그 사물이 온전한지가 결정된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전체 우주에는 마치 여전히 무언가 결핍된 사물이나 현상이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모든 ‘정체’는 "모두 지극히 풍족한 건곤으로부터 충분히 취하여 우주의 성대함을 극진하게 하며", "배합되기를 기다리지 않고서도 천지 사이에 위대한 아름다움을 스스로 드러낸다." 그러므로 이른바 혹 결핍되어 보이는 것 같은 사물이나 현상은 단지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만 그런 것일 뿐이다. 만일 전체 우주라는 차원에서 본다면, 그렇게 혹 결핍되어 보임 또한 완전하고 원만한 우주를 구성하는 일부분일 뿐이다. 혹 결핍되어 보이는 사물이나 현상을 합리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왕부지는 이른바 "열두 자리 음양"과 "반은 감춰지고 반은 드러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 P147

왕부지에 따르면, ‘무’를 주장하는 사람은 ‘유’를 주장하는 사람의 자극을 받아 그 주장을 타파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른바 ‘무’란 모두 특정한 ‘유’에 상대해서 그 특정한 ‘유’가 없다고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거북이에게 털이 없다는 것은 털이 있는 개에 상대해서 말한 것이고, 토끼에게 뿔이 없다는 것 또한 뿔이 있는 사슴에 상대해서 말한 것이다. 왕부지는 한걸음 더 나아가, 어떤 주장도 그 근거가 있어야 비로소 성립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무’를 근본으로 하는 주장은 여하한 시공, 즉 고금과 상하 사방 어디에서도 그 근거를 찾을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왕부지는 또 "세상에 어떻게 소위 무란 것이 있겠는가? 물건에 혹 있지 않다면, 사건에는 없지 않다. 사건에 혹 있지 않다면, 이치에는 없지 않다. 찾지만 얻지 못하니, 나태해져서 추구하지 않는다. 그러고서 무라고 말할 뿐이다." "노장의 무리는 보고 들을 수 없는 것에서 결단코 161 무라고 말한다. 비루하기가 심하구나!" "저들은 무명을 천지의 시작으로 여기고, 전부 소멸함을 진공의 창고라고 여긴다. (이는) 마치 소경이 사물 있음을 보지 못하여 사물이 없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 그 어리석음은 나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그런데 왕부지는 또한 "무란 작용의 창고이다."라고 말했다. 다시 말해서, 이른바 무란 결코 절대 허공을 가리키지 않는다. 그것은 감추어져 있지만 사용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 P160

여기에서 말하는 괘는 건상진하의 ‘무망’괘이다. 왕부지가 생각하기에, 무망괘는 세 양이 위에 있는데 세 양은 하늘을 표시하므로 그 이치가 정확하고, 두 음이 그 아래 있는데 세 음이 아래 있어야 비로소 땅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은 "성대함의 끝이 아니다." 그리고 첫 양효가 두 음 아래에서 "진동하고" 있는데, 그것은 시기와 자리가 올바르지 않아서 이치적으로 있을 수 없고 다만 우연히 발생한 변화된 양태일 뿐이다. 그래서 매우 잘못되고 불합리한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단지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의 이해일 뿐이다. 사실상, 전체 우주는 늘 같은 형태로 그 순서를 규정하지만, 또한 몇몇 ‘변태’에 근거해서 "헤아리지 못하는 바뀜"을 야기하기도 한다. 그런데 몇몇 ‘변태’ 또한 합리적 전체 우주의 일부분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헤아리지 못하는 바뀜"도 결코 잘못되거나 불합리한 것이 아니다. 왕부지는 또한 "열로 채워진 것은 하늘이고 아홉으로 부족한 것은 사람이다. 하늘의 수를 사람에게서 추구할 수 없고 사람의 수로 하늘을 헤아릴 수 없다."고 말했다. 인간에게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인간이 몹시 잘못되고 합리적이지 못하다고 말하는 현상도 실제적으로는 모두가 진실하고 합리적인 것이다. - P1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