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의 글
휴먼카인드, 인류 역사 톺아보기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생명다양성재단 대표

이 책의 저자 뤼트허르 브레흐만은 스스로 거침없이 "이 책은 급진적인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고 말한다. 인류 역사에서 경쟁보다 협력과 연대가 더 중요했다고? 영원히 끝이 나지 않을 것처럼 보이던 성선설-성악설 논쟁을 이렇게 단칼에 끝내 버리다니? 20세기를 거치며 거의 모든 학문 분야가 앞다퉈 끌어안은 홉스를 버리고 ‘철 지난’ 루소를 지지하다니? 그는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한 발짝 더 나아가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사실은 역사가 증명하며 보다 나은 미래를 설계해줄 유일한 수단이라고 단언한다.
무례할 만치 대담한 그의 자신감은 도대체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그는 그동안 우리가 아무 의심 없이 배우고 믿어왔던 많은 설명, 실험, 개념, 이론 등을 여지없이 뒤엎어버린다. 그의 연구 전략은 한마디로 ‘문헌 톺아보기’다. 그는 언제나 최초의 문헌이나 실험 기록을 찾아 나선다. 그의 톺아보기로 우리는 그동안 우리 역사에 얼마나 어처구니없는 오해와 곡해가 많았는지 알게 된다. 이스터섬에 얽힌 수수께끼의 본질을 풀어헤치는 과정은 역사 탐구의 진수를 보여준다.
다만 진화론에 대한 그의 평가는 다소 섭섭하다. 《이기적 유전자》로 대표되는 진화론적 인간 본성은 언뜻 우울해 보이지만 조금만 더 톺아보면 절대로 경쟁 만능에 그치지 않는다. ‘생존 투쟁struggle for existence’을 전면에 내세웠지만 찰스 다윈도 깊이 읽어보면 자연 선택의 메커니즘으로 오로지 경쟁만 강조하지 않는다. 《인간의 유래》(1871)에 이르면 더욱 확연해지지만 이미 《종의 기원》(1859)에서도 경쟁 못지않게 협력의 중요성이 곳곳에서 읽힌다. 침팬지의 육식 행동을 처음으로 관찰해 세상을 놀라게 한 제인 구달도 그의 저서 《인간의 그늘에서》를 통해 연대와 희망을 얘기한다. 진화생물학과 생태학은 생물이란 모름지기 협력하는 존재임을 더 이상 의심하지 않는다.
브레흐만은 자본주의 체제에 공산주의적 요소가 가득 차 있음을 관찰해 냈다. 인류학에서 말하는 ‘일상적 공산주의everyday communism’가 저변에 깔려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식탁 건너편에 있는 소금을 가지러 일어서지 않는다. 그저 "소금 좀 건네주세요"라고 말하면 누구든 아무런 대가를 바라지 않고 소금을 건네준다. 이 책과 함께 읽으면 좋을 책으로 스티븐 핑커의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를 천거한다. 저자도 동의하리라 믿는다. 아침 신문을 읽거나 저녁 뉴스를 시청하노라면 우리 사회는 당장이라도 붕괴할 듯 보인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모두에게 생애 최악의 해였던 2020년 ‘사랑의 열매’ 모금액이 8462억으로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마키아벨리는 "인간은 필요하지 않으면 절대 선행을 행하지 않는다"고 했지만 인간 본성에는 선한 내재적 동기가 존재한다.
지금 시판되고 있는 《이기적 유전자》 띠지에는 다음과 같은 내 추천의 말이 걸려 있다. "한 권의 책 때문에 인생관이 하루아침에 뒤바뀌는 경험을 한 적이 있는가? 내게는 《이기적 유전자》가 바로 그런 책이다." 브레흐만에게 한 친구가 《휴먼카인드》를 쓰며 인생관이 바뀌었는지 물었다고 한다. 그의 대답은 ‘그렇다’ 이다. 《이기적 유전자》를 읽으며 학문에 입문한 나는 훗날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를 집필한다. 내게 《휴먼카인드》는 《이기적 유전자》에서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로 이어주는 완벽한 길잡이다. 역사를 공부하는 목적은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함이다. 이 책을 읽고 우리 모두 보다 따뜻한 사람으로 거듭나 보다 훈훈한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면 좋겠다. - P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