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 우리는 이런 과거 시험의 전통을 언제 잃어버린 걸까요? 바로 식민지 시기입니다. 우리나라는 운이 없게도 식민지 시절에 근대 교육이 정착됐습니다. 식민 교육의 특징이 뭘까요? 당시 일본인의 입장에서 한번 생각해 보세요. 조선을 통치하고 있는데, 조선인들에게도 무언가 가르치기는 해야겠지요. 그런데 조선인들이 교육을 받은 결과 자기의 생각, 자기의 사상, 자기의 아이디어, 이런 것을 발전시키면 어떻게 될까요? 큰일 날 일입니다. 일본인들 입장에서는 가장 위험한 일이지요. 그래서 일본은 조선 사람들에게 ‘정답’이 이미 존재하는 것만 가르칩니다. 정답이 이미 존재하는 것만 물어보고요. 우리가 그런 교육을 100년쯤 지속해 온 겁니다. 해방 이후에 미국으로부터 사지선다의 객관식 시험 형식이 수입되면서 이것이 더욱 심해지지요. - P26
그럼 본격적으로 4차 산업 혁명 이야기를 해 보죠. 요즘 모두들 알파고와 4차 산업 혁명 이야기를 해 대서 저에게도 그런 이야기를 해 달라는 요청이 종종 들어옵니다. 그러면 저는 우선 4차 산업 혁명을 지나치게 ‘기술’ 수준에서 이해하려 하지 말라고 말씀드려요. 그냥 몇 가지 들은 풍월, 그러니까 인공 지능과 사물 인터넷과 빅 데이터 등등이 큰 변화를 일으킨다는 정도로 알면 됩니다. 왜냐고요? 기술이 어떤 방향과 속도로 진화할지는 어차피 전문가들도 잘 예측하지 못하거든요. - P60
저는 복지가 많을수록 좋다는 식의 담론에 대해 상당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어요. 복지는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그 모든 것이 똑같이 중요할까요? 우선순위가 있을 거예요. 그럼 가장 중요한 복지는 뭘까요? 저는 세 가지라고 보는데 첫 번째가 고용 보험이에요. 내가 회사에서 잘리거나, 회사가 망해서 실직 상태가 되어도 상당 기간 생활비가 보장된다면 여유 있게 이것저것 알아보기도 하고 새로운 것을 배울 수도 있지요. 특히 새로운 직업을 위해 뭔가를 배울 기회를 갖는 것은 산업의 수준을 높이고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두 번째로 중요한 복지는 최저 생계 보장입니다. 우리나라엔 가난한 노인들이 엄청 많아요. 노인 빈곤율이 40%가 넘는데, 오이시디(OECD)에서 2위를 압도적인 차이로 따돌리는 1위입니다. 세 번째가 보육인데 이건 우리나라 출산율이 1.1에서 1.2 사이, 사실상 전 세계 꼴찌임을 감안하면 정말 중요합니다. - P65
스웨덴은 대학 진학률, 그러니까 고등학교 졸업 후 1~2년 안에 대학에 가는 비율이 한국의 절반을 좀 넘는 수준인데, 성인 중에서 대학 교육을 이수한 사람의 비율은 한국하고 비슷해요. 좀 오래된 통계이긴 하지만 2006년 기준으로 스웨덴 30대(30~39세) 전체 인구 중 13%가 대학을 다니고 있었고, 40대 이상 인구 중 3%가 대학을 다니고 있었습니다. 그만큼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나서 한참 뒤에 재교육 차원에서 대학을 다니는 사람들이 많다는 뜻입니다. 대학을 꼭 고등학교를 나온 뒤에 바로 가야 할까요? 유럽 나라들처럼 직장 생활을 먼저 하다가, 혹은 전공을 바꾸고 싶을 때 대학을 다니면 안 되는 걸까요? - P66
자기 주도 학습은 네 단계로 되어 있어요. 학습의 목표 설정, 수단 선택, 실행, 평가. 이 네 가지를 모두 자기 주도적으로 하는 게 바로 자기 주도 학습입니다. 그런데 여러분은 대부분 목표 설정을 자신이 하지 않았어요. ‘중간고사 100점’이라는 목표를 갖고 달리는 것은 자기 주도 학습이 아닙니다. 자기 관리 학습이지요. 그게 나쁘다는 것은 아닙니다. ‘엄마 관리 학습’보다는 훨씬 좋아요. 그리고 자기 관리 학습도 쉽지 않아요. 자기 관리 학습을 정의해 보자면 ‘자기 성찰을 통한 체계적 복습’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도 쉬운 건 아니죠. 하지만 자기 관리 학습은 ‘목표 설정’이 빠져 있다는 점에서 ‘자기 주도 학습’과 결정적으로 다릅니다. - P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