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와 여론의 괴리 현상
다시 의제설정 이야기로 돌아가자. 언론은 사람들에게 무엇을 생각하라고 말하는 데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할지 모르지만, 언론이 무엇에 대해 생각하게끔 하는 데엔 놀라울 정도로 성공적이며, 이는 독자나 시청자의 지적 능력과는 아무 관계가 없이 작동하는 힘이라는 건 인정하는 게 좋겠다.
‘konstar‘는 정정훈의 칼럼이 아니었더라면, 이와 같은 장문의 댓글을 달진 않았을 게다. 그 내용이 무엇이건 ‘konstar‘로 하여금 종편의 영향력에 대해 생각하게끔 만든 그 힘, 그게 바로 의제설정 파워다. 어떤 생각을 하건 주로 무엇에 대해 생각하느냐 하는 건 이념 · 정치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언론이 모든 정치사회적 갈등 요소를 배제하고 긍정과 낙관 일변도의 의제 중심으로 보도하고 논평한다면, 아무래도 정치사회적 갈등에 대해 생각할 기회는 줄어들 것이고, 이는 기존 체제와 현상 유지에 기여할 가능성을 높이지 않겠는가? (중략)
‘투표와 여론의 괴리 현상‘은 대통령 선거 시의 투표 행위는 그 어떤 시대정신이라거나 큰 정치적 바람에 의해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언론의 영향력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는 반면, 대선 후의 국정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여론은 언론의 영향력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빚어지는 괴리 현상을 의미한다. 물론 이러한 괴리 현상은 한국 신문 시장은 보수의 목소리가 지배하고 있다는 현실과 맞물려 있다. 쉽게 말하자면, 김대중이나 노무현에게 표를 던진 유권자들의 대부분도 신문은 보수 신문을 구독한다는 것이다.
투표와 여론의 괴리 현상을 극복하기 어려운 이유는 한국인의 독특한 이중 심리 구조를 웅변해주고 있다. 한국인은 물질적 삶과 정신적 삶에서 상호 융합하기 어려운 2개의 각기 다른 패러다임을 갖고 있다. 물질적 삶은 박정희식의 개발독재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고 있다. 반면 정신적 삶은 개발독재 패러다임을 거부하며 세계 최첨단을 달리는 패러다임을 기웃거리기도 한다. 한국 사회 도처에 그런 모순이 널려 있다. 정치 · 경제는 곧잘 극우 노선을 걸으면서도 문화 · 학술에선 좌파 노선을 걷기도 하는 보수 신문의 분열증은 같은 분열증을 앓고 있는 한국인들에게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것 같다.
투표 · 여론 괴리가 너무도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통용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생각을 해보는 것이 어렵겠지만, 이런 가정을 한번 해보자. 보수 신문의 색깔에 맞는 사람만 보수 신문을 이용하고 구독함으로써 ‘투표와 여론의 괴리 현상‘을 극복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나겠느냐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현재 한국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분열과 증오‘가 크게 약화될 것이다. 피차 너그러워질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은 무턱대고 남의 것을 탐하진 않지만, 자신이 누려 마땅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누리지 못할 땐 분노한다. 정권도 보수 신문의 색깔에 맞는 사람들만 그 신문을 본다면 보수 신문 탓을 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보수 신문도 자기 분수를 알고 조금은 더 겸허해질 것이다.
바꿔 말해서 신문 시장이 투표 결과를 대체적으로 반영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정치세력화되지 않은 중간파 신문들이 가장 많은 발행부수를 갖고 있고 정파지들이 그 좌우에 비슷한 규모로 자리 잡고 있는 모습을 그려봐도 좋겠다. 물론 그렇다고 해도 정쟁은 일어나겠지만, 정쟁이 극단으로 치닫거나 정쟁의 악순환이 발생하는 건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공정한 심판관이 있고 싸우는 양쪽 모두 부당하다거나 억울하다는 느낌은 갖지 않을 테니까 말이다.
이건 누가 옳고 그른 문제를 떠나, 어떤 성향과 취향을 가진 사람에게나, 모두를 위해 도움이 되는 일이다. 이 문제의 본질은 ‘과대평가‘와 ‘과소평가‘의 부작용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젠 그것도 옛날이야기가 되고 말았다. ‘신문의 몰락‘을 몰고온 디지털 혁명 때문이다. 어찌 되었건 다시 의제설정 문제로 돌아가자. 이게 손석희표 저널리즘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 P2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