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 정철운은 "맥락 저널리즘은 기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중립적 형식의 객관 저널리즘과 달리 언론인의 주관이 듬뿍 담기게 되는데, 이때 중요한 전제가 기자와 언론사에 대한 ‘신뢰‘다. 신뢰가 없는 맥락 저널리즘은 편파 방송으로 귀결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뉴스룸>은 포맷상 그 어떤 뉴스보다 ‘신뢰받는 언론인‘을 필요로 한다. 여기에 최적의 퍼즐은 신뢰도 1위 손석희다"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JTBC는 2014년 4월 손석희 사장이 직접 진도 팽목항에 내려가 뉴스를 진행하고, 서복현 · 김관 기자를 수개월간 팽목항에 남겨두는 식으로 시청자에게 그들의 ‘진솔한‘ 태도를 강조했다. JTBC ‘사회부 소셜스토리‘는 손석희 사장에게 겨울 장갑과 점퍼를 요구하는 장면을 통해 기자들의 인간적이고 감성적인 면을 부각시켰다. 그 결과 시민들은 뉴스의 관점을 갖고자 할 때 JTBC를 믿고 보게 됐다. ‘신뢰‘다. JTBC <뉴스룸>은 타 방송사에 비해 기자 개인의 브랜드를 키우는 데도 적극적이다. 과거 ‘팩트체크‘의 김필규 기자를 비롯해 서복현 · 심수미 기자 등 여러 기자들은 생방송에서 손석희 앵커와 마주하며 성장한다. 이는 BBC를 비롯한 전통의 공영방송 뉴스가 신뢰도를 높여 온 과정과도 유사하다. 예컨대 이 뉴스에서 이 기자가 등장하면, 시청자는 뉴스를 보기 전부터 뉴스를 신뢰하게 되는 식이다." - P242

손석희의 저널리즘적 의미는 이론과 실천 사이에 존재하는 엄청난 괴리를 돌파해냈다는 점에도 있다는 걸 강조하고 싶다. 저널리즘 학자가 강단에서 저널리즘의 바람직한 방향과 내용에 대해 말하기는 쉽다. 그 누구도 실천을 요구하지 않는 학자로서 특권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실천은 전혀 다른 세계다. 그런데 손석희는 그 두 세계를 연결하는 데에 적잖은 성공을 거두었으니, 이 어찌 놀라운 일이 아니랴. - P243

"기자들이 청와대의 권위에 주눅 들어 있었던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그건 예의도 질서도 아닌 직무유기일 뿐이다. 어느 취재 현장에서도 질문 순서를 짜고 질문 내용을 조율하는 곳은 없다. 질문하지 않기로 합의하고 듣기만 하는 취재는 다른 취재 현장에서도 상상조차 하기 어렵다. 대본이 없으면 한마디도 하지 못하는 대통령, 보여주고 싶은 것만 보여주려 하는 청와대와 무력하게 청와대의 요구를 따르는 착한 기자들, 이 기묘한 질서가 청와대를 망치고 한국 사회를 이 지경으로 몰고 왔다. 청와대 기자실이 바뀌지 않으면 언제든 이런 비극이 되풀이될 수 있다." - P251

"많은 사람들은 그가 기자이기에 앞서 하나의 시민이고, 그의 신고는 양심에 따라 판단할 수 있는 개인의 결정일 뿐이라고 생각하는 듯하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가 시민으로서 신고하기로 했다면 보도를 포기했어야 했다. 그리고 만약 보도하기로 마음먹었으면 끝까지 관찰자로 남았어야 했다. 그게 보도 윤리다. 그런 게 2017년 언론계에 남아 있다면 말이다."
이어 박상현은 "양심 있는, 행동하는 시민으로서의 역할과 기자의 역할은 다르다. 특히 자신의 신고로 자신이 속한 언론사의 시청률이 올라간다면 그때부터는 이해의 충돌이라는 심각한 문제마저 낳는다. 신고하고 체포되는 장면까지 방송한 JTBC 보도는 재난 현장에 있다가 갑자기 도와줘야 하는 위치에 처한 기자의 윤리를 논하는 수준이 아니라 훨씬 더 심각한 명백한 이해의 충돌이다"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 P253

『조선일보』 디지털뉴스본부 부본부장 박은주는 「그럼에도, 사악해지지 말자」라는 칼럼에서 "해당 방송사가 ‘보도 윤리를 깼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앞으로 이런 행위를 일반 원칙으로 받아들일 것인가 하는 문제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이런 가정은 어떤가. 지난해 집시법 위반 혐의로 수배된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이 어느 주택에 숨어 있었다고 치자. 그를 인터뷰하려고 며칠을 기다리던 기자가 다른 곳으로 도주하려는 한씨를 경찰에 신고했다면? 한쪽은 기자를 ‘경찰 프락치‘라고 비난하고, 다른 쪽에서는 ‘현행범을 고발하는 건 시민의 의무‘라고 옹호했을 것이다"며 다음와 같이 말했다.
"그들이 지향한 ‘철학‘을 빼고, 정유라와 한상균의 차이는 뭘까. 한마디로 정유라는 국민 밉상이고, 한상균에겐 지지자가 있다. 니체가 말한 ‘괴물의 심연‘은 언론에 이렇게 물을 것이다. ‘다수가 증오하는 자를 신고하면 선, 좋아하는 사람을 신고하면 악인가. ‘다수‘의 기준은 뭔가.‘ ‘사악해지지 말자Don‘t be evil.‘ 구글이 이런 모토를 갖고 있는 이유는 그들이 막대한 개인정보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닥다리 세대에 속하는 기자는 언론이 구글보다 더 엄격한 기준을 가져야 한다고 믿는다. 많은 국민은 언론에 악마도, 괴물도, 천사도, 보안관도 되지 말고, 그저 ‘잘 닦은 거울‘로 남을 것을 요구한다고 믿는다." - P2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