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의 세계는 세계 극장이었다. 이 세계에서 공적 공간은 일종의 무대 같은 것이다. 연극적 거리가 육체와 육체, 영혼과 영혼의 직접적 접촉을 막아준다. 연극적인 것은 촉각적인 것과 대립한다. 사람들은 예식적인 형식과 기호를 통해 소통하고, 이는 영혼의 짐을 덜어준다. 근대는 점차 연극적 거리를 친밀성으로 대체해간다. 리처드 세넷은 이를 치명적인 변화로 본다. 인간은 "외부로 드러나는 자신의 이미지를 뜻대로 다루며 여기에 감정을 투입하는"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는 것이다. 형식화, 관습화, 제의화는 표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극장은 표현의 장소다. 다만 극장에서는 객관적 감정이 표현될 뿐, 내면의 심리가 발현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그것은 전시가 아니라 재현이다. 오늘의 세계는 행위와 감정이 재현되고 읽히는 극장이 아니라 내밀함이 전시되고 판매되고 소비되는 시장이다. 극장이 재현의 장소라면, 시장은 전시의 장소다. 그리하여 오늘날 연극적 재현은 포르노적 전시에 밀려난다. - P72

친밀성의 이데올로기에 따르면 사회적 관계는 개개인의 내적, 심리적 욕구에 가까이 다가가면 갈수록 그만큼 더 참되고 신뢰할 만하며 진정한 것이 된다. 친밀성은 심리학적으로 표현된 투명성의 공식이다. 사람들은 감정과 느낌을 드러냄으로써, 즉 영혼을 노출함으로써 영혼의 투명성에 이를 수 있다고 믿는다. - P73

소셜미디어와 개인화된 검색엔진은 네트워크 내에 외부가 제거된 절대적인 인접 공간을 수립한다. 이곳에서 사람들은 자기 자신, 그리고 자신을 닮은 사람들을 만난다. 여기에는 변화를 가능하게 할 어떤 부정성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디지털 이웃 사촌의 공간은 참여자에게 마음에 드는 세계의 단면만을 제공하며, 그럼으로써 공론장, 공적 영역, 비판적 의식을 해체하고 세계를 사적인 장소로 만들어버린다. 인터넷은 친밀성의 영역, 혹은 아늑한 지대로 변모한다. 모든 먼 것이 제거된 가까움 역시 투명성의 한 가지 표현 형식이다. - P74

개인person(라틴어 persona)의 본래 의미는 가면이다. 가면은 가면을 통과하여 울려오는 목소리에 성격, 즉 형식과 형상을 부여한다. 드러내고 노출하는 투명사회는 모든 형태의 가면, 모든 형태의 가상에 대해 파괴적으로 작용한다. 점진적인 사회의 탈제의화와 탈서사화 과정 역시 모든 가상의 형식을 제거하여 사회를 벌거숭이로 만들어버린다. 놀이와 제의에서 결정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은 객관적 규칙이지 주관적 심리 상태가 아니다. 다른 이들과 게임을 하는 사람은 객관적인 게임 규칙에 복종한다. 게임의 사교성은 게임 참여자들이 서로에게 자기를 드러내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니다. 사람들은 오히려 서로에 대해 거리를 유지할 때 더 잘 어울리게 된다. 반면 친밀성은 사람들 사이의 교류를 불가능하게 한다. - P75

친밀사회는 제의화된 동작과 격식을 갖춘 행동을 불신한다. 그런 것들은 겉치레이고 진정성이 없다는 것이다. 제의는 탈개인화, 탈인격화, 탈심리화를 촉진하는 외면화된 표현 형식들로 이루어진다. 제의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표현적"이지만, 그렇다고 자기를 전시하거나 노출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친밀사회는 심리화되고 탈제의화된 사회다. 그것은 고백의 사회, 노출의 사회, 거리를 모르는 포르노의 사회다. - P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