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학 로스쿨 교수인 브라이언 타마나하는 『로스쿨은 끝났다』에서 로스쿨 지망생들의 ‘낙관주의 편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로스쿨 학생들은 최고 연봉 변호사로 취직할 확률이 평균 10퍼센트나 5퍼센트밖에 안 된다는 걸 알면서도, 자기 확률은 그보다 높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로스쿨에는 노력을 통해 좋은 성적을 받는 데 익숙한 우수한 학생들이 많다. 따라서 다른 동기생들도 자기만큼 똑똑하고 열심히 공부한다는 사실을 (로스쿨에 들어와서 직접 보기 전까지) 정확히 모른 채 지금까지 해온 대로 열심히 하면 보상을 받을 것이라고 쉽게 생각한다. 일단 로스쿨에 오면, 지금까지의 성공 확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걸 깨닫지만, 때는 이미 늦었다." - P187

경영자도 마찬가지다. 미국 중소기업이 5년 동안 생존할 확률은 35퍼센트 정도인데, 중소기업 경영자에게 "자신이 운영하는 기업이 큰 성공을 거둘 확률이 얼마나 된다고 보느냐"고 물어보면 60퍼센트가 상당한 성공을 거둘 것‘이라고 답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이에 대해 대니얼 카너먼은 "사회적으로 비관주의보다 낙관주의가 더 높은 평가를 받고, 불확실성보다 자신감이 더욱 인정받기 때문에 자기 과신의 오류가 나타난다"며 "이를 누그러뜨릴 수는 있지만 완전히 없앨 수는 없는 게 대다수 인간의 특성"이라고 주장한다. - P195

그러나 아무리 주의를 한다 해도 과신 오류를 넘어서는 건 쉽지 않을 것 같다. 이스라엘 출신으로 영국에서 활동하는 심리학자 탈리 샤롯은 "낙관주의 편향은 인간 진화의 산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낙관주의가 스트레스를 줄여 건강에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자연재해, 전염병, 전쟁과 같은 다사다난한 인간사를 견디기 위해서 필요한 과정이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과신 오류에 세대별 차이가 두드러진다는 점은 눈여겨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미국은 물론 한국 사회도 휩쓸었던 ‘아이 자존감 키워주기 운동‘은 젊은 세대의 자기도취를 부추겨 그들의 과신 오류를 부추기는 결과를 낳았기 때문이다. 미국 샌디에이고 주립대학 심리학과 교수 진 트웬지의 『자기중심주의 세대』(2006)에 따르면, 미국에서 "나는 잘났다"는 말에 걸맞은 사람이라고 여긴 10대는 1950년대엔 12퍼센트에 불과했지만, 1980년대엔 무려 80퍼센트로 늘었다고 한다.
"오냐 오냐 너 잘났다" 했더니, 아이들이 정말 자신이 잘난 걸로 생각하게 된 걸까? 미국의 아이들만 그런 게 아니다. 한국도 비슷하다. 다음과 같은 노래 가사들이 그런 ‘과신 오류의 대중화‘를 말해주고 있는 게 아닐까? "나도 어디서 꿀리진 않어. 아직 쓸 만한 걸, 죽지 않았어"(G-드래곤의 <하트브레이커>), "날 보는 사람들의 시선은 싫진 않아. 나는 예쁘니까"(씨야의 <여성시대>), "잘빠진 다리와 외모 너는 내게 반하지, 내 앞에선 니 모든 게 무너지고 말걸"(애프터스쿨의 <AH>), "널 내가 갖겠어, 내게서 벗어날 수 없어"(브라운아이드걸스의 <아브라카다브라>).
물론 과신 효과가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사업에서 스포츠까지 그 어떤 분야에서든 모든 도전에는 자신감이 필요하며, 그런 확신이 강할수록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찍이 독일 시인 괴테가 말했듯이, "사람이 자신에게 요구되는 모든 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자신이 실제보다 더 위대하다고 믿어야만 한다".
일상적인 삶에서도 우리 인간은 자긍심 없이는 살아가기 어렵다. 설사 그 자긍심이 기만적인 것일지라도 그것이 남에게 피해를 안 끼치면서 자신의 행복에 기여할 수 있다면 무엇을 망설이랴. 그래서 "제 잘난 맛에 산다"는 말이 오랜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게 아닐까? 다만 ‘낙관적 감성‘을 ‘비관적 이성‘으로 보완하거나 견제하는 일은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과유불급의 철칙을 믿는다면 말이다. - P196

죽은 자는 말이 없다지만, 죽은 자만 말이 없는 게 아니다. 실패자도 말이 없는 법이다. 실패자는 찾기 어렵다. 실패 사례를 애써 찾아낸다 해도 성공 사례를 더 많이 접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 앞에서 살펴본 ‘과신 오류‘가 작동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 경우의 과신 오류에는 성공 사례, 즉 살아남은 자들의 사례를 많이 접한 게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이 문제를 따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른바 ‘생존 편향‘의 문제다. ‘생존자 편향‘이라고도 한다.
생존 편향은 생존에 실패한 사람들의 가시성 결여로 인해 비교적 가시성이 두드러지는 생존자들의 사례에 집중함으로써 생기는 편향을 말한다. 이 편향은 ‘낙관주의 편향‘과 ‘과신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연구자들에게 실패 사례는 기록이 없거나 빈약한 반면, 성공 사례는 풍부한 기록이 남아 있으므로 본의 아니게 성공 사례를 일반화하는 오류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 P200

이야기에는 육하원칙이 필요하지 않다. 그럴듯하면 그걸로 족하고 설득력은 말하는 이의 권위와 말솜씨에 좌우된다. 굳이 옛날 이야기를 생각할 필요는 없다. 그저 사람들 사이에 떠도는 이야기를 생각해보라. 사람들은 어떤 이야기를 들으면 ‘그거 말 되는데‘라거나 ‘말도 안 돼‘라는 말을 즐겨한다. 진실은 때로 얼른 듣기엔 말도 안 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런 진실은 이야기로서 생명력이 약하다. 이처럼 이야기가 진실보다 큰 힘을 발휘하는 현상을 가리켜 ‘이야기 편향‘이라고 한다. 롤프 도벨리는 이야기 편향은 이야기들을 왜곡해서 현실을 단순화하는 것이라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사람들은 추상적인 사실들에 대해서는 거부감을 느끼지만, 이야기에는 본능적으로 끌리게 된다. 그것이야말로 저주다. 그리하여 중요하지 않은 관점들에 밀려서 중요한 관점들이 저평가되는 왜곡이 생긴다.……직관적인 생각은 그럴듯한 이야기에 취약하다. 그러니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릴 때 되도록 드라마처럼 앞뒤가 딱 맞는 그럴듯한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지 않도록 노력하길 바란다." - P2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