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은 무의식적으로 존재의 방향을 지시한다. 정관과 정재는 이 방향성에 타자적으로 개입하여 견제하고 길항하는 역할을 한다. 그 역할이란, 운명에 대한 일간의 정치적 독단을 제어하고 주체를 편견으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는 균형의 통치술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균형감이 억압과 방임 사이에서 중심을 잡게 한다. 그래서 정관과 정재를 예로부터 사길신(四吉神), 즉 네 가지 길한 육친이라고 불렀던 것이다. 편관과 편재 역시 제어와 견제의 상극관계이긴 하지만 음양이 같은 이유로 쉽게 감정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관과 편관은 모두 일간을 자극하는 시련의 아이콘이지만, 정관이 편관보다 더 공적이고 객관화된 시련이다. 편관은 음양이 같아서 좀 사적이고 감정적이다. 아는 사람한테 비판을 받으면 더 기분이 나쁘게 느껴지는 것을 편관적인 것에 비유할 수 있다. 그럴 경우엔 자기를 들여다보고 성찰을 하기보다는 원망의 감정에 빠져서 시야를 좁히게 된다. - P330

4정임합화목
정화와 임수가 만나면 목으로 변한다. 다만 이 두 결합을 방해하는 충이 없어야 한다. 정화와 충을 하는 천간은 신금과 계수이고, 임수와 충을 하는 천간은 병화와 무토다. 정화는 촛불 혹은 모닥불, 임수는 큰 강물이나 홍수를 표상한다. 정화와 임수의 만남은 강가에 놓인 모닥불 또는 홍수 같다. 강물이 붇기라도 하면 모닥불은 금방 꺼지고 만다. 정과 임의 합으로 목이 된다는 것은 정화의 입장에서는 모닥불에 땔감이 더해진다는 것이고, 임수의 입장에서는 물이 스며들 숲이 생긴다는 것으로 보면 된다. 숲이 물을 빨아들여 홍수를 예방하는 것에 비유할 수도 있다. 모닥불에 땔감을 잔뜩 올려놓으면 불은 처음에 주춤하거나 잘못하면 꺼지게 된다. 게다가 물을 흡수한 나무라면 모닥불은 더 약해질 것이다. 따라서 모닥불의 화력을 결정하고, 큰물의 수 337 위를 조절할 수 있는 주도 세력은 목이 된다. 정과 임이 만나면 화와 수의 성향은 약해지고 목의 힘이 강해진다.
촛불·모닥불[丁]의 상징성은 예(禮), 배려, 형식적, 미시 권력, 의존적인 성향으로 해석할 수 있고, 강물·호수[壬]의 상징성은 폭넓은 대인 관계, 느긋함, 유연한 리더십, 권모술수 등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 둘이 목으로 변한다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정화의 형식적 예절이 아니라 목의 탈형식적이고 순수한 배려가 되고, 임수의 느리고 유연함은 목기의 빠르고 거친 속도로 변한다. 또한 정화의 의존적 성향은 약해지고 목의 독립적인 기운이 강해지며, 임수의 권모술수는 목의 돌파력으로 바뀐다. 물론 변하고 바뀐다는 말은 합화(合化)의 뜻일뿐, 원국에서 합이 되는 것이므로 원래 태어나면서 그런 바뀐 성향으로 살아가게 된다.

을 정 정 임
사 미 미 오

위 명식은 다산 정약용의 사주다. 천간의 정화와 임수가 합을 한다. 정화가 두 개지만, 하나는 일간이라 합이 안 된다고 보고, 월간 정화와 연간 임수가 합을 하고 있다. 정과 임을 충하는 천간이 없어서 온전한 합을 이루어 목으로 변한다. 하나 있는 임수마저 합을 이루고 나니 사주는 거의 목과 화 위주로 편향되었다. 따라서 임수의 거칠고 느긋하며 포용력이 있는 성향은 약해지고 목의 솔직하고 순수한 성정과 돌파력이 부각된다. - P336

그러나 정화나 임수를 충하는 천간이 대운이나 세운으로 들어올 때는 이 결합이 약해지면서 정화와 임수의 본성이 드러나게 된다. (…) 계수가 정화와 충을 함으로써 정임의 합이 느슨해진다. - P338

천간충은 합이 되는 자리에서 양 옆으로 한 칸 비켜 있는 자리의 천간과의 관계다. 갑이 마주보는 기토와 합을 한다면, 충은 기토 옆에 있는 무토, 경금과 각각 충의 관계를 갖는다. 그렇게 해서 천간충은 천간합에 비해 2배가 많은 10개의 충이 성립된다. 아래의 그림을 참조하시라. 천간합이 상호 견제와 합의의 관계라 한다면, 천간충은 심리적 변 340 화와 도발적 사유를 일으킨다. 이런 변화와 도발은 대체로 갈등 상황과 함께 찾아오는 경우가 많다. 사건이 없이는 정신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천간합은 정관과 정재의 관계다. 천간충은 모두 편관, 편재의 관계다. 예를 들면, 갑경충에서 갑목 입장에서는 경금이 편관에 해당하는 자리에 있고, 경금 입장에서는 갑목이 편재의 위치에 있다. 편재와 편관은 일간과 상극의 관계에 있으면서 음양이 같은 육친이다. 음양이 같은 상극 관계는 애증과 질투, 설렘과 의욕 등 감정적인 부딪힘이 일어나기 쉽다. 감정의 변화는 사건과 함께 일어나므로, 천간충은 작은 사건에서 비롯된다. 만일 지지충도 같이 있다면 천간충으로 일어난 감정의 돌발적 변수가 또 다른 큰 사건을 야기하게 된다. 원국에 있다면 평생운이 될 터이지만 그건 타고난 운이라 체감되는 것은 약하다. 물론 돌이켜보면 사건사고가 많았다고 후에 복기할 수는 있다. 천간충은 세운이나 대운으로 오는 경우에 체감지수가 높다. 시절 운으로 오면 감정을 일으키게 하는 소소한 사건들이 발생한다. 그것은 대체로 기존의 상태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일어난다. 즉, 안정된 것은 균형이 무너지고, 미미한 것은 역동적으로 일어나며, 번다한 것은 단순해지고, 결합된 것은 깨지고, 나뉜 것은 다시 이어지는 것이 충의 속성이다. 천간충은 육친과 함께 해석해야 더 다채롭고 논리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 P339

3사유축금
사유축합화금은 사화와 유금, 축토 세 지지가 만나서 금이 된다는 뜻이다. 단 사유축과 충을 하는 해수, 묘목, 미토가 없어야 한다. 사 347 유축합화가 되면 유금의 성질은 그대로 유지되고, 사화와 축토의 독특한 특징들은 금의 성질로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화의 강한 에너지는 금의 수렴력으로 인해 그 정도가 약해지고, 축토의 우유부단함은 금의 날카로운 결단력으로 방향을 바꾼다. 또는 사화의 책임감이 유금을 만나면서 더욱 강직해지고, 축토의 우직하고 성실함은 금의 실리를 배워 크게 무리하지 않고 적절하게 힘 조절을 하게 된다.

ㅇ 을 정 ㅇ
ㅇ ㅇ 사 유

위 사주는 월지 사화가 유금과 반합을 하여 금으로 변했다. 그래서 사화 본연의 독성과 강렬함이 금의 수렴으로 인해 그 정도가 많이 약해지고 현실적이고 실리적인 것을 취한다. 그러나 사화 바로 위에 정화가 있어서 아래 위로 화기운의 기둥이 생긴다. 이를 간여지동(干與支同)천간과 지지가 같음이라 이른다. 간여지동의 경우 합이 잘 안 된다는 말이 있다. 아래 위로 하나의 오행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다른 오행으로 잘 바뀌지 않는 것이다. 그런 점을 고려했을 때, 사화는 유금과의 결합이 비교적 약하게 결합되어 있고, 다른 대운이나 연운으로 충이 올 때 외에도, 월운이나 일운 정도로도 쉽게 그 결합이 깨질 수 있다. 그래서 자주 사화의 강한 에너지가 봇물처럼 일어나, 갑자기 화를 낸다거나 일을 무섭도록 열심히 한 뒤 번 아웃이 되어 쓰러지는 일을 겪게 될 수 있다. 실제로 이 사주의 여성은 평소엔 매우 실리적이고 냉정한 성향인데, 불현 듯 화가 치밀어 오르거나, 일을 할 때 한 번 348 에 강렬한 에너지를 쏟기 때문에 어떤 때는 멀쩡하다가도 갑자기 기운이 바닥을 보이기도 한다. 이 여성이 미술 분야의 일을 한다는 점도 참고하면 좋다. 미술은 시각적인 일이므로 화기를 많이 쓴다. - P3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