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당신을 향해 ‘안녕하세요‘라고 말할 때, 나는 당신을 인식하기보다 먼저 당신을 축복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나는 당신의 나날을 신경써주었던 것입니다. 나는 단순한 인식을 초월한 곳에서, 당신의 인생 안으로 들어간 것입니다.(EL, p.108.)

내가 ‘당신‘과 만날 때에, 나는 이미 ‘인식‘에 앞서 ‘축복‘을 행하고 있다. ‘당신‘의 얼굴을 바라보고, 피부색이나 눈빛이나 복장을 인식하고, ‘당신‘이 누구이며 어떤 속성을 가진 자인지를 특정하고, 인사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인사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인식에 앞서서, 인식을 초월해서, 나는 ‘당신‘에게 축복을 보낸다. 이때 축복을 보내는 자인 나는, 말하자면 ‘무로부터의 창조‘로서 커뮤니케이션의 장 그 자체를 열고 있다.
여기에 ‘당신‘을 향해 말거는 한 사람의 인간이 있다. ‘당신‘에게 축복을 보내고, ‘당신‘과의 대화를 진심으로 바라는 한 사람의 인간이 있다. 그것을 전하는 것에 ‘인사‘의 본질은 존재한다.
커뮤니케이션을 ‘창조하는‘ 이 메시지를 레비나스는 ‘메시지로서의 메시지‘라고 부른다. 그것은 커뮤니케이션의 회로가 만들어진 다음에 거기를 통해서 오고가는, ‘의미작용‘으로서의 메시지와는 차원을 달리한다. 그것은 ‘커뮤니케이션의 커뮤니케이션, 기호를 증여하는 기호‘(AQE, p.153)인 것이다. ‘말하기‘는 ‘윤리적‘이다. 이 명제는 이러한 문맥에서 도출된다.
‘인사‘를 보내는 것은 ‘파롤이란 선물‘이 ‘당신‘에게 보내지지 않고, 보내져도 묵살된다는 ‘리스크‘를 미리 받아들이고 있다. 나는 자신의 취약한 옆구리를 우선 ‘당신‘에게 드러낸다. ‘당신‘은 나를 상처입힐 수 있다. 나는 ‘당신‘에 의해 상처받을 수 있다고 알리면서, ‘인사‘는 보내진다. 그러므로 레비나스는 ‘말하기‘에 의해 창시되는 ‘타자와의 만남‘을 내가 ‘타자‘를 찾아낸다는 능동적 모드가 아니라, 내가 ‘타자에게 폭로된다‘고 하는 수동적 모드로 기술하는 것이다.
레비나스가 ‘윤리‘라 부르는 것은 이 ‘폭로의 모드‘를 선택하는 결단을 말한다. 아니 ‘선택한다‘고 하는 식의 말은 이미 적절하지 않다. ‘윤리‘에 선행해 타동사적인 능동적 행위를 할 수 있는 ‘주체‘가 존재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주체‘가 결단을 내리는 것은 아니다. 이미 결단이 내려진 다음에, 그러한 행위를 기동시킨 ‘시점始點‘이 사후적으로 확정되고, 그것을 사람들은 ‘주체‘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앞 단락의 표현도 수정이 필요할지 모르겠다. ‘내‘가 ‘타자에게 폭로된다‘고 하기보다, ‘타자에게 폭로될 수 있는 것‘ 그것이야말로 ‘나‘인 것이다. ‘나‘와 ‘타자‘는 동시적으로 생기하는 것이며, ‘나‘에 앞서 ‘타자‘가 있는 것도, ‘타자‘에 앞서 ‘내‘가 있는 것도 아니다. - P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