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엇이든 쓰게 된다 - 소설가 김중혁의 창작의 비밀
김중혁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12월
평점 :
황토색 띠지를 벗기면 분홍글씨로 이렇게 적혀있다.
이제 당신은, 무엇이든 쓰게 된다. 천천히 보아야 이해가 된다. 글을 쓰지 않을 때의 나의 친구들. 글을 쓸 때의 나의 친구들. 쓰고 싶은 것을 제대로 쓰는 방법. 두 번 읽으면 방향을 찾을 수 있다. 붙잡아두면 생각은 썩어버린다. 첫문장 쓰기. 글을 쓴다는 것은 시작과 끝을 경험하는 것이다. 솔직하고 정직한 글은 무조건 좋은가. 문장이 아니라 문단이 중요하다. 스타일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나만의 스타일 만들기. 글쓰기의 시작. 글쓰기는 위험하다. 당신 안에 당신이 모르는 예술가가 있다. 당신의 결과물을 사랑할 준비가 되어 있다.
잘 쓰고 싶어서, 글쓰기 책을 들었다. 내려 놓을 때는 항상 힘이 들어갔다. '잘 쓰고 싶어.' 다짐하고 다시 책을 내려 놓게 된다. 머릿 속에서 계속 검열한다. 이렇게 쓰면 될까, 아닐까.
얼마 전 동생이 그랬다.
"누나는 왜 글써? 다른 사람들이 읽을 수 있게끔 해야하는거 아니야? 난 공감을 못하겠어."
나는 누군가에게 보여주려고 쓰는가? 나에게 보여주려고 쓰는가?
동생 말은 벽이었다. 사람마다 다르다. 같은 어머니에게서 태어났다 하더라도 입맛도 다른데 당연히 취향도 성격도 다르다. 하물며 완벽한 타인들은 어떻하겠는가. 그들에게 다 맞추어 쓸 수 없다.
공감을 나누지 못하는 이들에게 내 글을 보여주기 꺼려진다. 이제 피어나기 전에 지기 싫어졌다. 누군가 그러겠지. 이겨내라고, 난 그렇다. 유리멘탈이라 일단 나부터 지켜야겠다. 지금은 더욱 그러하다.
다 읽었지만 다시 펼치니 좋다.
그래 나도 천천히 들여다보아야 이해가 되지.
10쪽
창작하는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재능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나는 망설이지 않고 '관찰'이라고 얘기할 것이다. 끝내 창작물을 완성해내고야 말것이라는 스스로에 대한 믿음도 필요하고, 사람들이 자신의 결과물을 좋아해주면 좋겠다는 소망도 중요하지만, 믿음과 소망과 관찰, 그중에 제일은 관찰이다. 재치와 끈기와 열정과 야심이 불타올라도 관찰이 없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관찰은 창작자로 출발하기 위해 제일 먼저 가동시켜야 할 엔진이자 가장 늦게 타올라야할 불꽃이다. 관찰하지 않는 사람은 아무것도 생산할 수 없다.
11쪽
새로운 표현이 떠오르지 않을 땐 산책을 다녀오자
우리는 세상을 관찰하면서, 동시에 세상을 관찰하는 나를 관찰한다. 세상을 관찰하는 나를 관찰하는 동안 우리는 어떤 사람인지 알아간다.
.
세상을 관찰하는 나를 관찰하는 일은 깊이 생각하는 것과는 사뭇 다른 일이다. 깊이 생각하는 일은 빨리 판단해야 하고 비판해야 하고 결정을 내려야 하는 일이지만 자신을 관찰하는 일은 천천히 바라보는 일이다.
.
프로이트에 따르면 "자신을 관찰하는 사람은 오로지 비판을 억누르기 위해 노력한다. 이것이 성공하면 평상시 파악할 수 없었던 수많은 생각들이 의식에 떠오른다."
15쪽
삶을 관찰한다는 말은 어려워 보이지만 누구나 조금만 노력하면 할 수 있다. 물론 쉽지는 않다. 우선 삶과 자신을 분리시켜야 한다. 소설가 월터 애비시는 "글쓰기에서 제일 중요한 한 가지는 다루는 소재에 대해 장난기 어른 태도를 유지하는 겁니다"라고 했지만 이 말은 생활의 관찰에도 유용한 방법이다.
.
.우리는 삶을 바라볼 때 너무 깊이 바라보거나 너무 얇게 바라본다. 대상에 지나치게 몰입하는 순간 객관성을 잃게 되고, 대상에서 너무 멀리 떨어지는 순간 감정이입이 힘들어진다.
실용적인 글쓰기 책이다. 작가들의 책상에는 무엇이 있을까, 평소 생활은 어떻게 할까 궁금했던 이야기가 솔직하게 담겨있다.
물론 이렇게 쓰면 된다. 좋다는 책들도 유용할 수 있다. 하지만 책장을 덮고 난 후, 어깨에 손가락에 더욱 힘이 들어간다면 잘 쓰는데 도움이 될까.
136쪽
무엇보다도, 글쓰기의 가장 큰 위험은 '자기 합리화'이다.
처음으로 글을 쓰던 순간의 짜릿함을 기억할 것이다. 내 마음의 '추상'들을 구체적인 언어로 번역할 때, 마음은 옷을 입고 현실이 된다. 하얀 종이 위에, 혹은 하얀 모니터 위에 내가 쓴 글자들이 새겨질 때, 그 어떤 현실보다도 실물처럼 느껴진다. 내 마음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할 뿐이다. 더 솔직하게, 있었던 모든 일들을, 누구보다도 대담하게, 글로 남기고 싶어진다. 이때부터 글쓰기의 함정이 시작된다.
누구에게도 보여주지 않으려돈 글쓰기는 점점 누군가를 의식하게 된다, 일기조차도 그렇다. 이 세상에 완벽한 혼자만의 글쓰기란 존재하지 않는다(아마도 그럴 것이라 생각한다).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을 분리시키는 일이고, '나'와 '나를 바라보는 나'가 대화하는 일이므로 '나를 바라보는 나'가 존재하는 순간, 누군가를 의식할 수 밖에 없다. 글을 쓰는게 익숙해지면 글쓰기로 더 많은 것을 표현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된다.
137쪽
대부분의 글이 그렇다. 우리는 글 속에다 새로운 우리를 창조할 수 있다. 우리는 글을 통해 우리가 더 좋은 사람인 척할 수 있다. 더 현명하거나 더 세련된 사람인 척 할 수 있다. 마음만 먹는다면 언제나 그럴 수 있다.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것과 더 나은 사람인척하는 것은 아주 다른일이다.
글쓰기는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모른다.
.
.우리는 글쓰기를 통해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다고 말하지만, 어쩌면 글쓰기 속에서만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글쓰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4장에는 실전그림그리기도 나온다. 읽다보면 나도 그려볼까 싶다. (정말 못 그리지만)
신기하게도, 1월 5일 이 책을 펼치면서부터 매일매일 끄적이고 있다. 제목처럼 된다. 그게 뭐든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