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백 년째 열다섯 텍스트T 1
김혜정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제목 《오백 년째 열다섯》을 봤을 때는 무슨 이야길까 했다. 오백년 동안 열다섯살로 사는 느낌은 어떨까. 나이 들고 죽고 싶지 않은 사람은 그런 거 부러워할지도 모르겠다. 세상이 아름다운 건 끝이 있어서겠지. 죽지 않고, 아니 죽는다 해도 오래 살면 그게 그리 좋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여기에선 가을이 그랬다. 가을은 오백년 전 열다섯살에 야호족 우두머리인 령이 여우 모습으로 덫에 걸린 걸 보고 구해주었다. 시간이 흐르고는 령이 가을과 엄마와 할머니를 종야호로 만들고 구해줬다. 야호족은 나이를 먹지 않고 오래 산다. 그렇다고 아주 죽지 않는 건 아닌 듯하다.

 

 다른 것보다 나이를 먹지 않고 오래 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엔 그랬는데, 가을이 학교를 다니면서 친구를 사귀지 못하는 모습을 보니 나이 먹지 않는 게 아주 좋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엔 가을뿐 아니라 할머니와 엄마도 봄과 여름으로 둔갑해서 함께 학교에 다니게 된다. 학교에서는 봄 여름 가을로 세쌍둥이고 집에서는 가을과 할머니 엄마다. 지금까지 사는 동안 할머니와 엄마는 학교에 다니지 않았나 보다. 본래 모습이 할머니와 엄마였으니 어린 모습으로 둔갑하면 힘들겠지. 가을이만 종야호가 된 게 아니어서 다행이다. 세사람이 같은 날 죽임 당할 뻔했구나. 그렇다 해도 셋이어서 좀 낫겠다.

 

 단군신화는 하늘 신 환인이 아들 환웅을 사람 세계로 내려 보내 다스리게 했다. 곰과 호랑이가 사람이 되고 싶다고 했는데, 곰은 사람이 됐지만 호랑이는 중간에 그만뒀다. 여기에 나온 신화는 조금 다르다. 환웅은 사이 좋은 곰과 호랑이 여우한테 동굴에서 쑥과 마늘을 먹으면 사람이 되게 해주겠다고 했다. 곰과 호랑이는 그 말을 받아들였지만 여우는 싫다고 했다. 시간이 흐르고 곰만이 사람이 되었다. 곰은 단군을 낳고 여우한테 사람과 동물 사이에서 둘 다 지켜달라고 했다. 환웅은 령한테 최초의 구슬을 주고 령은 그 구슬을 삼키고 구슬을 뱉어내고 다른 여우한테 주었다. 그렇게 야호족이 나타났다. 야호족 구슬을 호랑이가 빼앗아 가고 호랑족이 됐다. 야호족 호랑족 싸움은 오랫동안 이어졌다. 시간이 흐르면서 구슬이 나타날 때 싸우기로 약속을 하기는 했지만, 호랑족은 야호족이 가진 최초의 구슬을 노렸다.

 

 여우뿐 아니라 호랑이도 사람으로 둔갑해 살다니. 지금은 한국에 여우도 호랑이도 없구나. 사람이 동물이 살 곳을 빼앗아서구나. 호랑족은 그런 사람을 좋아하지 않았다. 야호족은 호랑족이 세상을 지배하려는 것도 막으려 했다. 이런 이야기가 있고 가을이 중학생으로 살아가는 이야기도 있다. 가을은 학교 생활을 그리 좋아하지 않았다. 친구도 사귀지 못하니 그렇겠다. 이 학교 교장은 가을이 마흔다섯해 전 선화였을 때 친구였다. 친구였다 해도 자신을 밝히지는 못하겠지. 가을이 짝인 신우는 친구 손자였다. 가을이는 마흔다섯해 전에 친구가 자신한테 잘해준 걸 생각하고 예전에 아무도 모르게 친구를 도왔다. 그런 인연도 있다니. 지금까지 가을은 누군가를 깊이 생각하지 않았는데 신우한테는 좀 달랐다. 이런 일이 여러 번 일어나면 마음 아프겠지만, 한번 정도면 괜찮을 것 같기도 하다. 같은 나이로 오래 살아도 사춘기 때 마음이 다 사라지는 건 아닐지도 모르겠다.

 

 가을이 야호족이 되고 오백년째다. 오백년에 한번 야호족한테서는 구슬이 나왔다. 구슬을 뱉는 걸까. 호랑족은 그 구슬을 빼앗으려 했다. 최초의 구슬을 가졌다는 령이 죽고, 가을은 그 구슬이 자신한테 있다는 걸 알게 된다. 오래전에 령은 보통 구슬로 가을을 구할 수 없어서 최초의 구술을 가을한테 주었다. 꼭 그것 때문만은 아니었을지도. 가을은 야호족과 호랑족 싸움을 끝내야겠다고 생각한다. 그건 령이 바란 거구나. 서로 다르다고 해서 모두 없애야 할까. 이런 건 사람 같기도 하구나. 서로 달라도 인정하고 서로의 말을 들으면 훨씬 좋을 거다.

 

 

 

희선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2-10-09 17: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뭔가 이야기기 흔한거 같으면서도 엽기적이네요~!! 죽지 않고 오래만 살면 별로일거 같은데, 열다섯으로 오백년 사는건 좋을거 같아요^^

희선 2022-10-11 00:27   좋아요 1 | URL
아주 안 죽는 건 아니지만, 오래 사는가 봅니다 야호족은... 오래 산다 해도 어린 나이면 그때 나이로밖에 생각하지 못하나 하는 생각도 들더군요 자라고 싶은 마음도 있을 텐데...


희선

바람돌이 2022-10-09 19:5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열다섯으로 오백년은 싫어요. 술을 못먹잖아요. ㅠ.ㅠ

희선 2022-10-11 00:28   좋아요 0 | URL
아무리 오래 살아도 열다섯살로 보이면 미성년자겠네요 오백년 살았다 해도 몸도 열다섯살 그대로겠군요


희선

페넬로페 2022-10-09 22: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열다섯살로 오백년을 살면 그 느낌은 어떤걸까요. 기간으로봐서 신화가 있을수밖에 없을 것 같아요~~
저도 오백년을 사는 건 싫어요^^

희선 2022-10-11 00:33   좋아요 1 | URL
오백년이면 거의 조선시대 초기부터 근대를 지나와 지금에 이르렀겠습니다 모든 역사를 봤겠습니다 그런 건 조금 부러울지도... 다른 사람한테 들키지 않으려고 꽤 애썼겠습니다 야호족과 호랑족 싸움이 있군요 오래전에 곰은 사람과 동물이 평화롭게 살기를 바랐는데... 다른 동물이라 해도 싸우지 않는 게 더 좋겠지요 저는 오래 살면 책 보고 공부하고 싶은 거 실컷하고 싶어요 공부라 해도 책으로... 책 좋아하는 사람은 거의 그런 마음 있을 것 같아요 열다섯살엔 책을 안 봤군요


희선

서니데이 2022-10-10 00: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래도 열네살로 오백년 보다 나을 것 같은데요.^^;
희선님, 비가 와서 그런지 날씨가 많이 차가워요.
감기 조심하시고, 즐거운 연휴 보내세요.^^

희선 2022-10-11 00:35   좋아요 1 | URL
열네살보다 열다섯살이 조금 나은 듯도 하네요 비 오고 바람도 세게 불어서 거의 겨울 같은 날이었습니다 이런 날 오래 가지 않기를 바랍니다 잠깐 그러다 좀 나아지겠지요 서니데이 님 오늘 좋은 하루 보내세요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