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61 | 162 | 163 | 16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나의 카메라는 39.5℃ - 패션 사진가 박경일의 라이프 포트폴리오
박경일 글.사진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1월
평점 :
품절


내가 만약 외국계 은행에서 안정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면??
3년간 직장을 다니다 1년째 쉬고 있는 내게 그런 생활이라면 당연히 감사할 따름이다.
안정적인 직장을 버리고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한다면?
내 입장에서 보자면 그런 위험한 일에는 도전하지 않을 것이다.

책의 저자는 나와 같이 취미로 사진을 접했지만 현재는 그 취미가 직업이 되어버렸고 현재 한국 패션사진작가로 유명해진 사람이라고 한다. 그의 전직은 은행원이었고 32살의 나이로 잘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사진에 끌려 뉴욕으로 사진 공부를 위해 유학을 떠나게 된 사람이다. 내 생각으로 현재 취미로 하고 있는 사진을 그토록 적극적으로 파고들지는 않지만 그래도 주위 사람들에 비해서는 많이 공부를 한다고 하는 편이다. 그러나 저자의 이야기들을 보면 과연 내게 열정이 있는가? 하는 생각도 들곤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저자는 취미 이상으로 사진을 생각했고 사진으로 직업을 가지려는 마음이 강했던 것 같다. 그리고 자신의 신념을 실천으로 이끌어내는 용기도 대단한 것 같다. 나 같은 경우 전공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며 학창시절 열심히 공부했지만 현실의 벽을 만나서 그 전공을 취미처럼 대하고 있기에 저자의 용기는 참으로 본 받고 싶은 것 같다.

책은 저자가 사진을 접하게 된 계기로 시작해서 뉴욕에서의 유학생활 저자가 패션사진작가가 되기 위한 준비과정과 한국에 돌아와서 열악한 현실과 환경 속에서 지금의 저자로 있기까지의 내용들이 이야기 되고 있다. 책을 보면서 그의 열정을 볼 수 있었고 그리고 책 속에서 이질적인 문화적 차이들에 대해서도 엿볼 수 있었던 것 같다.

사진, 그 매력적인 찰나의 미학에 많은 사람들이 빠져들고 있다. 어디선가 들은 말에는 남자가 세 가지에 빠지면 집안이 망한다는 말이 있다고 들었다. '차','여자' 그리고 '사진'이다. 여전히 사진은 고급 취미에 속한다. 하지만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과 DSLR의 보급화로 길거리를 지나다 보면 디지털 카메라 없는 사람이 없고, 인사동이나 선유도 같은 곳에서는 DSLR도 너무 흔하게 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그러한 모습들이 있으면서 좋지 않은 일들도 생기기 마련이다. 좋은 카메라와 렌즈를 이용하여 지나가는 여성들의 다리를 몰래 찍는 일부 몰지각한 사람들 때문에 또다른 눈이자 시간을 기록하는 사진이 오용되는 일들은 사라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 책은 사진에 취미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다시금 자신의 열정을 되돌아보게 해줄 수 있는 것 같다. 책을 읽으며 '사진, 나는 무엇을 찍고 무엇을 위해 찍는가?' 라는 질문을 저자에게 받은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내게 있어 사진이란 이미지를 정리해주고 나를 정리해주는 것과 제3의 눈이자 기억장치라고 말해본다. 사진에 대해 내 열정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들어준 이 책에 감사를 표한다.-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박경일의 패션사진
    from 티스토리 대표 패션 블로그 : 사춘기 소년의 실패한 코디 이야기 2008-05-21 10:07 
    이미지에서 시선은 권력을 의미합니다. 누가 누구를 보느냐에 따라 권력이 이양되는 것이죠. 이상은 제가 처음 접한 박경일씨의 작품인데요. (출처 : www.nazine.com) 소녀는 금속성의 무언가를 뜯어 먹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등 뒤의 그림자는 그녀의 야수성을 더욱 부각 시키고 있지요. 그녀는 나를 봅니다. 그리고 나는 그녀를 욕망하지만, 동시에 두려움을 느낍니다. 마치, 거미 수컷처럼요. 이것은 반대로 내가 그녀를 보는 사진입니다. 헝클어진..
 
 
 
나의 DSLR, 꽃을 추억하다 - 꽃 사진을 잘 찍는 노하우
다나카 히로시.아치아빠 지음 / 멘토르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서점에 많이 나와있는 여느 DSLR책과 크게 다른 내용의 책은 아니다.

하지만 이 책은 그 초점이 꽃을 위한 사진이라는 것이다.

기본적인 DSLR의 간단한 이론적 부분이 첨부되어 DSLR 유저들의 카메라 기본기를 환기 시켜주는 형식으로 책은 시작된다.

그리고 기본적인 꽃 사진 찍기를 위한 내용들이 뒤를 이어가고

그 후 계절별로 많이 볼 수 있는 꽃들과 그 꽃사진들을 찍는 팁들이 나와있다.

이 책이 아쉬운 점이라면 어중간하다는 느낌이 든다는 점이다.

좀 더 많은 꽃을 보여주며 도감형식을 더 강화를 했던가

아니면 각 꽃들의 예제적 사진들을 더 많이 보여주며 사진 기술쪽으로 더 보여줬으면 하는...

그렇지만 '꽃'을 위한 사진책이라는 것으로 충분히 차별화된 책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아직까지는 꽃사진을 많이 찍어보지는 않았지만 앞으로 찍을 꽃 사진에 대해 적절한 조언을 받은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통의 물
나희덕 지음 / 창비 / 199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내가 군대에 있을 시절 생일기간에 맞춰 휴가를 나왔을 때 선물로 받은 책이었다 그 당시 나희덕 시인의 시집은 모두 가지고 있는 상태였다 입대전 '뿌리에게, 그곳이 멀지않다,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 이 세 권의 시집을 가지고 있었던 상태에

그 해 그러니까 2001년 4월 과후배가 입대를 하면서 내가 좋아하는 시인의 새 시집인 '어두워진다는 것'을 보내줘서 시인의 모든 시집을 가지고 있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군대에서 내가 시집을 읽는 다는 것은 좀 부담되는 일이었다...

첫 휴가당시 사가지고 왔던 창비의 기념시집에 김남주 시인의 시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시집을 빼앗기고 기무대에 끌려갈뻔 했던 나로서는 시집은 볼 수 없었고 그래서 결국 생각한 것이 시인의 산문집이었고 그 처음으로 택한 책이 나희덕 시인의 산문집이었던 것이다.....

사람은 반쯤 채워진 물 같다는 그 책처럼 항시 모자람을 채우기 위해서 노력해 간다고 생각한다 노력이 결국 사람을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이 내게는 정말 크게 다가왔다...나 같이 재능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그나마 기회를 준 것이라 생각하며 그 후로도 여러 시인의 산문집을 읽게 된 계기를 준 책이다...

이제 복학을 하면 시인론의 시인으로 나희덕 시인을 선택해보려 한다...조선대로 찾아가서 꼭 뵙고 올 것이다... 시인은 내가 제일 받고 싶어하는 윤동주 문학상을 탔고..윤동주 시인의 학교 후배이다...정말 나희덕 시인에게 물어보고 배울 것이 많다고 생각한다...그의 산문을 보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장강화 창비교양문고 10
이태준 지음, 임형택 해제 / 창비 / 199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내가 새내기 시절 문인에 대한 조사를 하면서 알게 되었다. 상허 이태준 납북작가이지만 월북작가로 알려져 오랫동안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았던 최고의 소설가... 그 당시 운문에 지용 산문에 태준 이라는 말이 있었다고들 한다.

아무것도 모르던 나는 그의 소설 해방전후를 문학개론 시간에 배운뒤 그의 살던 집이 서울에 있다는 것 하나로 우리가 조사할 문인을 그로 결정했다...그 당시 작품은 까마귀 하얀색과의 절묘한 대조를 이루면서 죽음의 미학을 보여준 소설을 시작으로 그가 살던 성북동의 수연산방이라는 곳에 찾아가 그가 글을 쓰던 곳에서 차도 마시면서 그곳 주인과도 이야기를 나누며 그에 대한 것을 알아가기 시작했고 결국 그의 자료를 어디서인지 모르게 찾아오는 내 덕에 준비를 못하고 있던 다음 조들이 시간을 많이 벌 정도로 그의 작품의 양은 방대했다 그러나 내가 이 책을 제대로 처음 읽은 것은 지난 봄 군대에서 전역을 준비하기 위해 병장 처음에 읽었던 것이다.

8월 전역을 앞두고 있으며 아무것도 머리속에 가지고 가지 않는다면 후배들과 동기들에게 부끄러울 것 같아 나름대로의 공부를 하기 위해 정리를 해가면서 읽은 이 책은 정말 왜 칭찬을 마다하지 않으면서 최고라는 소리를 듣는지 알 수 있게 해주었다

얼마전 TV에 야인시대라는 곳의 우미관에 걸려있었던 오몽녀라는 작품이 그의 처녀작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가 우리에게 알려지기까지는 얼마나 걸릴지 모르겠다.. 최고의 문인 상허선생께 존경을 표하며 이글을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년 후에 읽고 싶은 백 편의 시
이승하 지음 / 큰나(시와시학사) / 2002년 3월
평점 :
절판


정말 시는 사람이 있는 한 사라지기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시를 쓰는 시인들도 그렇지만 그 시를 읽는 독자들... 우리나라에 이름 모를 무수한 시인들이 있는 것은 알고 있지만

이 책에서 배운 것은 아주 작은 것에도 세심한 눈길을 주는 그 마음가짐을 배운 것 같네요 제가 아직도 시를 잘 못 쓰는 이유가 그곳에 있는 것 같기도 하고 그렇다는 느낌을 받았거든요 그리고 저자의 인용시도 거의 전문으로 올리시겠다는 그 글 잊을 수 없네요 시가 그 시 자체로 모든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줬기 때문에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그러나 가격이 너무 비싸서 과연 얼마나 많은 분들이 소장을 할지는 모르겠네요...저자께서도 그 이야기를 하시던데.... 정말 좋은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61 | 162 | 163 | 16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