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가 0과 1로 모든 정보를 표현하듯이, DNA는 아데닌adenine, A, 시토신cytosine, C, 구아닌guanine, G, 티민thymine, T이라는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모든 생물체는 ACGT라는 네 가지 DNA 코드를 기본 단위로 삼는다.
PCR의 원리는 한 개의 DNA를 효소와 A, C, G, T 조각 DNA를 넣어서 증폭시키는 것으로 한 번 반복될 때마다 2n의 수만큼 증폭할 수 있는 방법으로, 현대 분자생물학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술이다.
과학자들이 흔히 이야기하는 것 중의 하나는 ‘보이는 것이 곧 믿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어렵게 배양한 세포들이 죽지 않고, 무한한 생명을 가질 방법에 대해서 계속 고민을 해왔다. 그래서 과학자들이 주목한 것은 암이었다. 암 조직은 죽지 않고 계속 세포분열이 일어나기 때문에, 다른 초대배양세포보다는 오랫동안 배양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기 때문이다. 최초로 분리된 암세포는 자궁경부암 세포로, ‘헬라세포Hela cells’라고 불리고 있으며, 아마도 생명과학을 하는 사람들은 모두가 아는 유명한 세포다.
이렇게 빛에 의해 다른 색을 띠는 유전자가 발현되는 현상을 동물에게 적용한 연구로, 빛에 의해 녹색이 붉은색으로 변하는 동물인 카에데 쥐Kaede mouse가 탄생하기도 했다.
미국의 유전학자 조지 처치George Church는 유전적으로 유사한 코끼리에 유전자 편집을 적용하여 메머드를 복원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해 전 세계의 관심을 받기도 했다. 영화 〈쥬라기 공원〉이 현실이 될 수 있을 것 같은 이야기가 실제로 진행되고 있다고 보면 된다.
눈에 보이지 않아도 사실 인류는 동물과 언제나 함께하고 있었으며 서로의 삶을 공유해왔다. 그리고 동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더 나아질 미래에는 더욱더 공존하는 삶을 살게 될 것이다.
과학과 공학은 기초 원리를 탐구하느냐, 기술을 강조하느냐의 차이다. 쉽게 말해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아이작 뉴턴처럼 근본 원리를 파헤치는 것은 과학, 떨어지는 사과를 받기 위해 기계를 개발하는 것은 공학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생명과학은 기초과학에 해당하며, 생명공학은 생명과학에서 정립한 기초 이론을 응용해 기술적으로 적용한 것을 의미한다.
한의학에서는 당뇨병을 열기가 몸 안의 음식을 태우고 자주 갈증이 난다는 뜻의 소갈병消渴病이라고 부르는데,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세종대왕 또한 소갈병을 앓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 당뇨병 치료법은 기름진 음식을 삼가고 채식을 위주로 하는 식이 조절이 전부였다고 한다.
당뇨병 환자를 죽음의 공포로부터 건져낸 인슐린의 발명, 난임 부부들의 품에 아기를 안겨준 시험관 시술, 자녀에게 결코 물려주고 싶지 않을 유전병 인자의 제거 그리고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의 개발까지······. 이 모든 의학적 성취 뒤에는 동물이 존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