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첫서리가 내렸네, 올해도 꽤 춥겠는걸─ 하며 사람들이 인사를 나누는 초겨울 어느 아침에 마루겐 나가야 주민 가운데 한 사람이 이웃집에 찾아가 장지를 드르륵 열어 보니 4첩 반짜리 다다미방 한가운데 다른 이도 아닌 구로베에가 난로 쬐는 고양이처럼 등을 구부리고 죽어 있었기 때문이다.

곤겐 님
에도 막부를 창시하여 백성들 사이에 신격화되어 있던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이르는 존칭

선생이라는 것은 통칭이고, 본명은 가야마 마타에몬이다. 낭인이지만 마루겐 나가야에서는 유일한 사무라이이다. 읽기 쓰기는 물론 산술도 능해서 오카쓰네 아이를 비롯해서 나가야 아이들에게도 이것저것 가르쳐 준다. 그래서 선생 소리를 듣는 것이다.

오카쓰는 가슴이 점점 크게 뛰는 것을 느꼈다. 그 두근거림은 선생 댁에 조림반찬을 가져다주거나 선생이 부탁한 바느질거리를 가져다주거나 선생과 잠깐 서서 이야기하거나 할 때 느끼는 기분 좋은 설렘은 아니었다.

인간은 모두 이렇게 은밀한 일을 벌이며 살아가는 것일까? 그래서 갑자기 죽어 버리면 그런 비밀이 전부 까발려져 마치 살아 있던 것 자체가 커다란 음모였던 양 보이게 되는 걸까.

"태산명동에 서일필(태산이 떠나갈 듯 요동을 치더니, 나온 것은 쥐새끼 한 마리에 불과하다)이었군."

─참 번거로운 관리인이었지.

구로베에는 예민한 사람이어서 마타에몬이 금지된 책을 숨겨두고 있다는 것을 눈치채고 있었을 것이다. 그것을 확인하려고 마타에몬이 집을 비운 동안 이 방에 숨어든 것이다. 한창 뒤지다가 수명이 다하다니, 참으로 딱한 이야기다. 하지만 덕분에 마타에몬이 살았다. 여차하면 구로베에를 베어야 할 참이었으니까.

─여하튼 나는 허망하게 죽어서는 절대 안 되는 몸이야.

─대체 신은 어디서 뭘 하고 있는 거냐.

에도 평민의 공동주택인 나가야는 도로에 면한 오모테나가야와 그 뒷골목에 자리한 우라나가야로 구성되었다. 점포와 살림집을 겸하는 오모테나가야는 가구당 면적이 넓고 2층 형식인 경우도 많으며 집세가 비쌌다. 뒷골목에 있는 우라나가야는 가구당 면적이 좁고 채광과 통풍이 좋지 않으며 점포 없이 살림집으로 쓰이는 만큼 집세가 저렴했다

벚꽃 철이 되면 가케우동보다 자루우동이 더 잘 팔린다. 실제로 그게 더 맛나게 느껴지고.

구매안내서1824년 에도의 각종 상점 2,600개를 안내하는 광고책이 오사카에서 발행되어 전국에서 많이 팔린 바 있다. 유명 필자가 글을 쓰고 저명한 화가 호쿠사이 등이 삽화가로 참여하여 총 3권으로 발행되었는데, 각 상점에서 게재료를 받아 제작하므로 게재료를 내지 않으면 아무리 유명한 가게라도 소개되지 않았다

"됐다. 나는 말이다, 오키치, 네가 오미요의 비밀을 다이코쿠야에 고자질할 거라고는 생각해 본 적 없다. 하지만 너를 의심하는 모습을 너에게 분명히 보여 두는 게 낫겠다고 생각했던 거야. 그래서 그때 하지 않아도 될 말을 굳이 했던 것이고. 미안했다."

"저, 생각했었어요. 고자질할 수도 있다고." 오키치는 말했다.

"하지만 하지 않았잖아. 대신 후카가와를 뜨기로 했고. 역시 너답구나. 너는 아마 그렇게 할 거라고 오미요도 말했었지."

"오미요 나름대로 저울의 균형을 맞추려고 했던 거지"라고 도쿠베에는 말했다.
"저울?"
"그래. 오미요만 올라가고 너는 밑으로 처져 버렸지. 하지만 그것만은 정말 대책이 없는 짓이었는데."

"너, 아침은 먹고 왔니?"

오킨 아주머니가 물었다. 아주머니는 걸음을 멈추었다. 저쪽에서 다가오는 커다란 짐수레를 보내기 위해서다. 상념에 빠져 있던 오하루는 당황하며 아주머니를 따라 걸음을 멈추었지만, 그래서 또 우산 밖으로 나가고 말았다.

수레에 뭐가 실렸는지 짚으로 싸고 새끼줄로 묶은 네모난 물건이 빼곡히 실려 있다. 꽤 무거워 보인다. 하지만 이것을 가져다주기 전에는 이 수레꾼도 돈을 받지 못할 테고, 그러면 오늘 하루 밥을 굶을 것이다. 돈벌이란 그런 것이니,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덥거나 춥거나 불평 한 마디 흘리면 안 되는 거라고 엄마는 말했다.

강무소講武所 에도 막부가 설립한 무예 훈련 기관

오하루의 집으로 가난이라는 글자가 말도 없이 뚱하니 다가와 처음에는 마루턱에 한쪽 발을 올리고 다음에는 두 발을 올리더니 이어서 완전히 올라서고, 마침내 자리를 잡고 앉아 버렸다.

스나무라 간척지는 혼조 후카가와 지역의 동쪽 끝에 있는 지역으로, 현재의 도쿄 고토쿠江東区에 속한다. 혼조 후카가와 지역과 마찬가지로 강 하구의 습지대를 간척하여 조성한 지역이며, 주로 에도에 청과물을 공급하는 농경지로 이용되었다.

약재상에서 약을 받은 다음에는 품에 꼭 품고 돌아가기 시작했다. 많지 않은 그늘을 골라 걸었지만 아무리 오하루라도 걸음이 느려졌다. 땀이 흐르고 목은 바짝 말랐다. 지주 집에 돌아가면 빨래장으로 가서 우물물을 바닥이 드러나도록 다 마셔 버려야지, 하고 생각했다.

─엄마는 건강하시니?
그날 이치타로의 물음에, 네, 건강하세요, 우리 식구는 모두 행복하게 살고 있어요, 라고 대답하지 못했던 것처럼 엄마 앞에서도 입을 다물어 버렸다.

─엄마 잘 모셔라. 부탁해, 오하루 짱.
지금은 그것만 기억해 두자. 죽어 버린 사람과 나눈 약속이므로 어길 수는 없다. 나는 그 사람의 부탁을 받았다. 그 사람이 단 한 번, 스스로 정한 약속을 깨면서까지 전하고 싶었던 부탁이었을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기로 하자.

이 작품집 『인내상자』가 ‘다른 사람에게는 말할 수 없는 비밀’을 마음속에 단단히 봉인해 두고 살아가는 이들에 관한 소설이기 때문입니다. 저의 일화는 희극이지만, 미야베 미유키 작가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비극이네요. 슬프고 애틋합니다.

미야베 미유키의 장편을 통틀어 가장 귀여운 귀신들이 단체로 출동하는 소설 『메롱』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누구에게나 숨기는 일이 한두 가지는 있는 법이고, 두 가지가 있으면 세 가지가 있어도 이상하지 않아. 세 가지가 있으면 더 많이 있어도 이상하지 않다는 뜻이지. 자, 오린 너는 이제 그만 자렴. 내가 여기에 있으면 아무리 무더워도 시원하게 잘 수 있을 테니 부채는 필요 없을 거야. 뭣하면 자장가도 한 소절 들려주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