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야와 잉카 문명 세계 석학들이 뽑은 만화 세계대역사 50사건 43
김주희 글, 박종호 그림, 손영운 기획 / 주니어김영사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시기를 참 잘 맞춰 읽은 것 같다. 비록 자세히는 아니지만 TV를 통해 내가 읽고 있는 마야 문명의 모습을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해 볼 수 있었으니 말이다. "정글의 법칙"에서 잠깐 소개된 마야 문명은 그야말로 신비롭고 아름다운 문명이었다. 우리가 보통 "문명"이라고 부르는 고대 문명은 왠만하면 많은 이들이 기초 상식처럼 잘 알고 있지만 마야와 잉카는 어느 지역인지, 어떤 문명을 가지고 있는지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때문에 이 두 문명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 문명의 특징 뿐만 아니라 왜 우리에게 다른 문명들처럼 가깝게 느껴지지 않는지부터 알고 넘어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세계대역사 50사건의 43번째 이야기는 <마야와 잉카 문명>이다. 늦게 발견되었고 유럽의 절대왕정의 횡포로 그들의 문명을 제대로 알리고, 펼쳐보이지도 못한 채로 다른 문화 앞에 무릎 꿇고 사라질 수밖에 없었던 슬픈 운명의 이야기이다. 세계대역사는 이 모든 과정을, 특징을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있어 아이들이 어떻게 세계사를 이해해야 하는지 길잡이를 해줄 수 있을 것 같다.

 

 

1장을 통해 마야와 잉카 문명에 대한 오해에서부터 마야와 잉카 문명이 생겨나게 된 원류와 라틴 아메리카 문명의 중심으로 보는 마야, 아스텍, 잉카 문명을 차례로 설명한다. 이렇게 자기네 방식대로, 지형이나 기후에 따라 어떻게 발전시켜 왔는지, 유럽의 대항해시대에 맞서 어떤 충돌을 빚었고 어떻게 무너졌는지, 이제 다시 재발견 되고 있는 이들 문명을 되돌아보고 라틴 아메리카의 한계를 넘어 어떻게 도약할 수 있는지 까지...

 

 

우리와 다르다고, 그들을 무시할 수는 없다. 하지만 우리는 언제나 우리 방식대로 상대방을 평가하는 습관이 있다. 제대로 라틴 아메리카 문명을 이해하려면 그들이 왜 그런 문명을 이루었는지에서부터 시작하여 어떻게 발전시켰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특히 신대륙으로 불리던 아메리카의 경우 앞선 문명을 가졌다는 이유 만으로 자기네들 방식으로 아메리카 원주민을 다스리려 했던 유럽 절대왕정들의 횡포를 직시해야 한다. 그것까지 합쳐 그들의 역사라고 한다고 해도 말이다.

 

 

이긴 자들의 횡포로 인해 남겨진 것이 별로 없다고 역사의 원류를 찾아가는 것을 멈추어서는 안 될 것이다. 과거에 실패했거나 부끄럽거나 잊고 싶은 경험이라고 그냥 덮어둘 것이 아니라 더욱 더 과거의 경험에서부터 교훈을 찾고 미래에 대비하는 것이 옳다. 그래서 우리는 역사를 배운다. 라틴 아메리카가 그들의 훌륭한 문화를 되새기고 자긍심을 가지고 미래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며 우리 또한 배울 점이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