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강 덕충부 · 대종사① : 죽음 - 조화의 작용

장자는 세상과 함께 살면서도 세상의 지배적인 논리에 따르지 않고 사는 방법을 추구했다. 새로운 현실을 만드는 방법, 세상 자체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고민한 사람이다. 장자가 자기변화를 강조한다든가 이질적인 존재들의 소통을 계속해서 보여주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런 목적 때문이다.

장자는 죽음의 문제와 죽음이 주는 공포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깊이 생각한다. 장자는 죽음을 더 이상 내가 존재하지 않는 것, 나의 존재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 변화라고 본다. 하나의 존재방식이 사라지고 전혀 다른 새로운 존재방식이 생겨나는 것이다.

장자가 이야기하는 화(化)는 하나의 유기체가 다른 종류의 유기체로 바뀌는, 단순히 대체되는 것이 아니다. 하나의 유기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들이 완전히 탈유기화해서 각자 독자적인 방식으로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을 화(化)라고 표현하고 있다.

음양은 기의 두 가지 양태로 기는 우주를 구성하는 원초적인 힘이다. 어떤 생명체든 기가 모여 이루어지고 기가 흩어지면 존재도 해체된다는 것이 장자와 그 계승자들의 생각이었다. 그런데 개체가 해체가 될 때, 그것을 구성했던 기가 흩어지면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와 상호작용해서 다른 개체를 만드는데 참여하게 된다. 그래서 죽음이라고 하는 것이 한 개체의 차원에서는 끝을 의미하지만 기의 차원에서 바라보면 모습을 바꾸는 데 지나지 않는다. 변화라고 하는 것을 통해서 죽음을 긍정하는 것을 장자는 삶에 대한 태도로까지 밀고나간다.

신체의 훼손은 우리에게 결여, 죽음을 환기시킨다. 이런 외모를 가진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을 불러 모으기는커녕 기피대상이 되는데 장자는 특유의 우화적 방식으로 이것을 뒤집어 얘기한다. 그들은 화(化)의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로 표현되는데 장자는 공자 등을 등장시켜 그들을 자신의 운명을 긍정하고 죽음에 대한 공포를 극복한 인물로 묘사한다.

 

제11강 덕충부 · 대종사② : 앉아서 유목하기

장자는 죽음의 문제를 극복하고 죽음을 변화로 봄으로 해서 삶의 변화의 과정으로 만든다.일반적으로 망각이나 의식하지 못함은 능력의 결핍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장자는 반대로 망각은 능력이 증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장자에게 소통과 조화라고 하는 것은 우리가 다양한 관계들을 통해서 이뤄내야 되는 궁극적인 가치들이다. 나와 다른 존재들과의 관계를 통해 전에 없던 공통의 흐름을 만들어 내는 것이 바로 대통이다. 대통은 내가 가지고 있는 완고한 상(象)이나 애착 등을 버려야 가능하다. 그리고 이 운동을 통해 나도 변하고 상대방도 변하는 것이다. 신분과 계층, 세계관이 다른 사람들이 만남을 통해 소통을 이루고 그래서 맺어지는 관계를 장자는 덕우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