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철학이 적어도 소크라테스 이전까지는 완전히 일치했다. 철학 또는 과학이 발생할 때 우주에 대한 사색으로 시작되었는데 이 우주가 어디서 왔느냐는 문제는 뒤에 나오고 처음에는 우주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우주를 이루고 있는 근본이 무엇인가? 근본 물질이 무엇인가? 이런데서 시작했기 때문에 초기의 철학을 자연철학이라 하고 우주론(전체적인 우주, 나아가서 그 내부에서의 인간의 위치에 대한 정량적(주로 수학적)인 연구를 말한다)이라고도 하는데 그것이 철학이고 동시에 과학이다. Science is what you know, philosophy is what you don't know 과학은 우리가 아는 것이고, 철학은 우리가 모르는 것이다.(버트란트 러셀) 철학에서 아무리 살림을 많이 낸다고 하더라도 철학의 영역은 계속 무한한 것으로 남는다.

과학과 철학이 사색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의 산물이라고 한다면 도구를 만드는 존재로서의 인간의 산물은 기술과 예술이다. 기술의 역사는 인간의 역사와 거의 비슷하다. 과학의 발생은 우리가 배경을 보면 하나의 신화에서 논리로 넘어 오는 그 과정에 있다. 신화시대에 자연을 해석하되 어디까지나 초자연적인 힘을 빌려가지고 했었는데 이제는 초자연적인 것은 차단을 하고 자연의 원리는 자연 안에서 찾으려고 하는 것이 철학이나 과학이라고 한다면 또 기술은 인간의 복지를 위해서 시작했는데 과학으로 넘어오면 그것을 끊어버리고 어디까지나 그 자체를 위한 지식이 된다.

방대한 지식에서 원리적이고 순수하고 예지적인 부분은 철학이 맡고 좀 더 경험적이고 실용적인 쪽은 과학이 맡고 일종의 역할분담이 생겼다. 아리스토텔레스 이후에는 그 분화가 점점 진전이 되가지고 중세를 거쳐서 근대 현대에 이르기까지 철학과 과학의 분리과정이 계속된다. 19세기에 오면 과학과 철학의 분리가 아주 두드러져가지고 독일의 대학에서 과학과 철학이 완전히 과목으로 분류가 된다. 과학은 처음에 철학과 함께 출발하면서 기술과 완전히 분리가 된다. 처음에 참 신기한 분리인데 과학은 그 기원에서 기술에 힘을 많이 입었는데도 그리스의 과학은 기술과 상당히 다른 길로 발전한다. 상호작용이 별로 없다. 그것은 과학에 종사한 계급과 기술에 종사한 계급이 완전히 다르다는데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과학과 기술이 가까워진 것이 과학 혁명이다. 산업혁명의 특징은 처음에 증기기관이라던가, 방직기계라는 것은 별로 과학과 관계가 없는 순수한 기술의 전통의 산물이다.

그 다음에 19세기말쯤에는 전기학이라던가, 유기학이라던가 하는 것은 단순한 장인전통을 가지고는 감당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내용이 복잡해진다. 여기에서는 정말 그 기술전통과 과학전통이 아주 밀접하게 협조를 하게 되서 과학적인 기술 기술적인 과학 이런 모습으로 바뀌게 된다. 그래서 점점 경향이 심해진 것이 오늘날의 과학기술인데 지금의 과학은 철학과는 무슨 관계가 있느냐고 할 정도로 멀어졌다.

대개 19세기는 과학을 자연철학이라고 불렀다. 과학 혁명 이후에 인문적인 요소, 철학적인 요소를 계속 제거하면서 수학화, 기계화, 가속화한 결과 오늘날은 아주 추상적이고 맹숭맹숭하고 아주 재미없는 내용이 되어 버렸는데, 한편 과학은 기술하고 굉장히 가까워져가지고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일심동체가 되었다. 어디가 과학이고 어디가 기술인지 명확한 경계선을 그을 수 없을 정도로 과학과 기술이 융합이 되어 버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