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강 전국시대에 대한 비판과 진단
천자가 봉건 제후(公,侯,伯,子,男)를 세우고 통칭 공이라 하고 천자는 왕이라 했다. 공은 사방 최대 100리, 천자는 사방 1000리의 영토를 다스렸다. 천자와 제후가 두는 관리는 大夫, 士, 庶人이었다. 특히 천자의 대부는 제후급이었다. 왕이 중심이 되는 정치가 왕도정치이고, 제후가 좌지우지하는 정치가 패도정치였다. 춘추전국시대는 주왕조시대인데, 이전의 하왕조의 걸왕을 폐위하고 역성혁명으로 은왕조를 세운 탕왕은 天命미상을 내세워 천명은 떠날 수도 있다고 했다. 은왕조는 하늘에 대한 제사(禮)를 통해 자신이 천명을 받았음을 보여주고 싶어했다. 예에는 천명을 계속해서 받고 싶은 염원이 담겨있는 것이다. 은왕조의 주왕에게는 문왕과 무왕(부자관계)이라는 신하가 있었는데, 무왕이 주왕을 치고 주나라를 세웠다. 무왕도 천명미상을 내세워 역성혁명을 정당화했다. 하늘에 제사만 지낸다고 해서 천명을 붙들어 둘 수 없음을 알고 民心天心을 말했다. 민심을 얻기 위한 지배층의 규율로서의 예가 확대되어 정착되었다. 여기서 예절, 예법이 등장했다. 그리고 德이라는 개념이 처음으로 생겨나고 예치, 덕치라는 말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천자가 점차 천자답지 못하게 되자 제후들도 점차 존경심이 약해지고 춘추시대에는 오패가 등장하고 전국시대에는 천자가 아주 약해지고 대부들이 제후국을 찢어 갖게 된다.
춘추시대 수십개의 제후국이 전국시대 7개 제후국으로 통폐합되는 과정에서 숱한 전쟁을 치렀다. 그리고 제후들이 자신을 왕이라고 칭했다. 전국시대 왕들은 군사적, 문화적으로 우월성을 강조했다. 위나라 양혜왕(卑禮厚幣)이 현자들을 초빙해서 내 나라를 이롭게 할 방도를 질문했다. 맹자는 인의만이 있을 뿐이라고 했다. 내 나라를 이롭게 한다는 생각을 왕들이 한다면 대립과 투쟁이 그칠 수 없다. 이로움의 속성은 상대적이라는 것이다. 이로움이란 끝이 없는 것이다. 이로움과 해로움을 초월하는 기준은 의로움이다. 이로움을 추구하면 빼앗지 않고는 만족할 수 없을 것이다. 제후들이 이로움을 추구하므로 천하가 어지러운데 이로움을 버릴 때 최고의 이로움을 얻을 것이라는 것이 맹자가 하고자 한 말이었다. 正名. 임금은 임금다워야 한다. 주왕조가 왕의 경계로 삼은 덕목은 保民 如保赤子이다. 백성의 부모가 되어야 할 왕이 오히려 백성을 착취하여 가축을 살찌움을 비판했다. 춘추전국시대에는 정벌, 의로운 전쟁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