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는 어떤 책인가. 처음부터 제자들이 공자의 가르침과 삶의 모습을 기억하기 위해 기록한 것으로 제3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기록한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제자들이 서로 공유하기 위해 편찬한 책이다. 무엇을 기록하는가? 자신이 감동받았고 잊고 싶지 않은 것을 기록했을 것이다. 그러나 2500년 전 종이가 발명되기 전의 기록은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었고 매우 압축된 표현으로 기록할 수 밖에 없었다. 그것을 풀어야 이해가 가능하다. 그런데 첫번째 글은 아마 상징적이고 대표성을 띤 글이었을 것이다.
배움(學)이란 본받음이다. 우리는 언제 배울까? 부족함과 결핍을 자각할 때 배운다. 그럴 때 변화와 성장을 하게 되고 새로운 것과의 만남을 통해 배운다.
익힘(習)이란 낯설던 것이 익숙해지는 것이다. 어린 새가 비행연습을 하는 것을 떠올리면 된다. 둥지 밖으로 떨어지는 어린 새는 죽을 고비를 넘기며 성장한다.
기쁨(悅)은 내면의 희열이다. 배움은 새롭고 낯선 것과의 만남을 통해 일어나고 익힘으로써 변화하고 성장한다. 그렇게 변화하고 성장하여 내가 보는 세상이 다르게 보일 때 기쁜 것이다.
벗(朋)은 누구인가? 같은 길을 가는 자, 즉 도반이다. 길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은 가치를 부여하는 행이다. 도반은 가치관을 형성하는 과정을 같이하는 자이기도 하다.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도반은 스승이다.
온다(來)는 것은 방향성이 있음을 말한다.
즐거움(樂)은 여럿이 함께 느끼는 것이다. 각자의 희열이 모여서 가르치고 배움으로써 그 파장이 세상의 변화로 이어질 때 즐겁다.
남이 알아주지 않기(人不知而) 때문에 나의 배움이 의미가 없는가? 남들의 평가나 물질적 이익을 바라는 심리 때문에 곡학과 아세를 하게 된다. 배움이란 앎이고 앎이란 나의 관점과 사유가 성장하고 그 결과 인격이 성장하는 것이다. 남이 알아주기를 바란다면 나의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해 앎을 활용하고 가공하게 된다. 결국 남을 위한 배움은 왜곡을 가져 온다. 배움은 남을 위한 것이지만 배움의 주체가 변해야 세상을 이롭게 할 수 있다.
好學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채워지지 않는 것들을 버려야 한다. 그리고 일상의 삶의 태도가 드러나는 일과 말에 있어서 민첩하고 신중해야 한다. 또한 도가 있는 곳, 즉 스승과 책을 통해 수정해가야 한다. 배움이란 바로 이런 것이다.
배움이 새로운 것을 만나는 것이라면 생각함(思)은 배운 것을 자기화시켜가는 과정이다. 이렇게 되새기고 검증하고 정리하고 성찰하지 않고 배운 것을 재생만 하는 것은 속이는 짓이다. 생각은 맷돌과 같아서 배움이 없으면 생각할 수도 없다. 알고 있는 것만 생각하는 것은 자기완결적인 것으로 위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