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의 위력이 느껴지는 첫 편. 중국 인구가 자원이 되어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세계시장을 공략하는 과정이 대표적인 몇몇 기업을 통해 공개된다. 중국 인구의 중요성을 처음 제시한 사람은 1949년 중국인민공화국을 연 마오쩌둥이었다. 그 당시 5억이던 중국 인구는 적극적인 출산장려운동 결과 그의 퇴임무렵 9억4천만명에 달했다. 人多力量大의 기치 아래 1960년대 베이비붐 세대는 중국 경제를 견인하는 노동인구가 되었다. 해마다 6천만명이 태어나는 중국에는 인구수 2천만명 이상인 도시가 3개, 천만명 이상인 도시는 13개라고 한다. 현금자산 10억 이상의 인구수 240만명. 이들을 위시한 중산층이 중국의 내수시장을 이끌어간다. 소득이 높아지면서 고기를 많이 먹게 되어 세계 곡물시장의 지형까지 바꾸고 있다. 아르헨티나의 팜파스는 소를 키우던 목축 대신 콩을 재배하는 농경지로 바뀌어 전 세계 콩생산량 3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중국의 돼지고기 소비량이 늘어나 사료로 쓰일 콩가격이 오르기 때문이다. 중국의 6천만개이상 기업 중 1%에 해당하는 60만 기업은 급성장을 하고 있다. 액자 등을 생산하는 왕빈그룹, 메이드인차이나의 메카 이우시장, 소형가전을 비롯해 백색가전의 선두를 달리는 하이얼, 전자상거래기업 알리바바닷컴, 중국의 실리콘벨리 중관촌, 스마트폰 샤오미, 종합문화그룹을 지향하는 동영상 사이트 유쿠 투더우 등이 소개되었다. 이들 기업은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성장과 수출시장을 개척하였다. 중국의 내수시장은 중산층의 다양성 추구에 부응하는 유연한 주체가 된다면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진단을 내리고 있다. 중국인구의 전성시대는 이제 시작이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