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스퀼로스 비극 전집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아이스퀼로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0528-0613

호메로스 서사시를 읽었기 때문인지 비극의 내용이 그다지 낯설지는 않았다. 그리스 신화나 전설에 익숙해지고 있다. 주석을 같이 보면 흐름이 좀 끊어지기 때문에 먼저 본문을 한번 읽고 나서 주석만 따로 읽고 마지막으로 본문을 한 번 더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역시 단테나 셰익스피어가 저절로 나온 게 아니었구나 싶었다. 서양 문학을 읽어나가기 위해 꼭 필요한 관문 같다.

문학의 세계는 얼마나 넓은 걸까. 고대 그리스인들이 세상을 해석한 신화와 신화에 바탕을 둔 서사시와 서사시에 바탕을 둔 비극 등으로 이어지는 문학의 역사를 통해 인문학적 해석의 전통은 이어지고 있는 것 같다. 그들의 비극에는 당시 그리스인들의 자긍심과 함께 몰락의 전조도 있을 것이다. 제국으로 나아가는 과도기의 찬란했던 한순간이 담겨 있는 셈이다.

문학은 문제의 답이나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다. 세상을 보는 방식에 정답은 없기 때문이다. 각자의 생각이 모여 사회를 이루고 집단의 생각이 각자의 삶을 규정하기도 한다. 문학은 다양한 각자의 생각과 행동을 보여줌으로써 그 사회가 나아갈 좀 더 나은 방향을 모색하는 역할을 하는지도 모른다. 그 옛날 신화와 전설을 구전으로 전하며 그랬듯이 말이다.

플라톤이 시인을 추방해야 한다고 했다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시인을 옹호한 인물일 것이다. 그는 비극이 작중 인물의 첨예한 갈등과 극적인 사건의 플롯을 통해 관객이 진실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고 생각한 것 같다. 플라톤이 수학자라면 수학의 근본인 수와 문학은 서로 배척하는 관계일까. 아리스토텔레스는 생물학자에 가까웠기 때문에 생물학의 근본인 생명과 문학은 서로 가까울 수밖에 없을까. 수가 지배하는 요즘 세상에 문학이 설자리가 있을까. 생명이 있는 한 인간은 문학을 버릴 수 없을까.

꿈꾸는 기계와도 같은 인간은 세상을 기계적으로 해석할 수 없다. 기계는 꿈꾸지 않고 꿈은 기계가 아니다. 언젠가 먼 훗날 더 이상 꿈꾸지 않는 기계가 된다면 문학은 영원히 사라지겠지만 기계가 되느니 꿈을 선택한다면 문학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시민들이 원한을 품고 하는 말은
무서운 법이니, 백성들의 입에서 나온
저주는 반드시 실현되기 때문이라네. - P47

이제 할 말을 충분히 했다면, 이 사람들더러 양심에 따라
정의의 투표석을 가져오라고 할까요? - P179

하지만 나는 어떤 일이 있어도 남자들의 위력에
예속되고 싶지 않아요. 나는 사랑 없는 결혼을 피해
별나라 밖으로까지 도망가서라도 구원을 찾을 거예요.
그대는 신들에 대한 경외심을 전우로 삼아,
정의로운 판결을 내리세요. - P313

하지만 잘 알아두게. 나는 내 이 불행을
자네 종살이와는 결코 바꾸고 싶지 않네. - P386

그가 전하기 전에 이미 나는 전언을
알고 있었소. 서로 미워할 경우 적의 손에
고통당하는 것은 치욕이 아니오. - P388

인간은 행동함으로써 죄를 짓게 되고, 죄는 고통스런 벌을 수반하게 되고, 고통은 인간을 지혜로 인도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죄와 벌과 지혜의 인과관계 속에서 우리는 다시 한 번 인간이 죄를 짓고자 할 때 기꺼이 협조해주는 신이라는 독특한 발상과 만나게 된다. - P4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