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불 8
최명희 지음 / 매안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명희 작가는 전주라는 땅에 대해 말한다. 그리고 땅이야말로 사람의 몸과 혼을 키우는 터전이라고 한다. 그래서 꽃심을 지닌 땅, 전주는 백제라는 나라와 문화를 키워냈으며, 백제는 비록 망했지만 죽어도 죽지 않는다고 한다. 왜 그런가. 이성계의 시조 조상 이한 공으로부터 사대조 목조 이안사까지 전주 토호였기 때문이다. 이안사가 고향을 등지고 정착한 곳은 연변 혹은 간도였다. 전주 이씨에게 전주와 간도는 조상의 묘가 있는 곳인 셈이다. 어찌 보면 조선은 백제와 고구려의 맥을 잇는다 할까.

꽃심이란 뭘까. 고갱이 정신 같은 것일 것이다. 그 정신은 전주라는 지명에서 알 수 있는데, 한마디로 완전하고 원만하고 광대한 삶을 의미한다. 그만큼 자연의 넉넉한 품 안에서 평화롭고 풍요롭게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을 터무니없이 짓밟히고 빼앗겼을 때 어찌 원통하고 억울하고 분하지 않겠는가. 그래서 그 땅의 백성들은 후백제의 견훤을 '완산의 아들'로 추앙했고 백제의 회복을 염원했다.

그러나 승자인 고려는 그 백제 유민들의 저항 정신을 꺾어 놓기 위해 철저하게 역사를 왜곡하여 견훤은 잔인 무도한 왕으로 기록에 남았다. 게다가 그 땅을 저주하여 전라도 인들은 억울하게 차별 냉대를 받아야했다. 그런 통분의 세월을 해원한 이가 바로 태조 이성계였다. 왕을 낳은 땅이 된 전주는 승격되고 숭앙받았다. 그러니 백제는 죽어도 죽지 않은 것이다. 그 백제는 곧 백성이기도 하다. 차별없는 세상을 꿈꾸는 백성들의 꿈, 꽃심을 지닌 땅 전주는 지금도 역사를 이끌어가는 하나의 지향이 아닐까.

물론 그것은 전라도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이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일 수도 있다. 나로부터 역사를 바라본다면, 비록 한순간 살다가 죽는 찰라의 인생일지라도,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고 역사를 재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을 살아가는 나의 관점과 행동에 의해 후손들의 삶이 결정된다고 생각하면 역사란 업보이고 운명인 셈이다. 개인의 역사든 국가의 역사든 돌이킬 수 없다. 그래서 업보는 갚아야 하고 운명은 감당해야 한다. 그러다보면 점점 나아지지 않을까.

이씨 조선은 망했다. 백제와 고구려의 꿈도 다시 좌절되었다. 국토가 분단되고 나라 이름도 둘이 되었지만, 나라 이름이 바뀌어도 민족의 꿈까지 바뀌지는 않았을 것이다. 아무리 백제가 신라가 되고 고려가 되고 조선이 되고 대한민국이 되어도 국파산하재, 땅은 그대로이듯 말이다. 민족주의자는 아니지만, 나 역시 한반도에 사는 사람으로서 이 땅의 기운을 받은 이상, 그 자연과 문화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이을 것은 잇고 버릴 것은 버리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1942년 여전히 망한 조선을 부여안고 변한 게 아무 것도 없다고 하며 기득권을 놓으려 하지 않는 종가 어른 앞에서 신세대 조카는 이렇게 말한다. 경천동지할 소리였을 것이다.

“贖良을 하십시오. 집안 노복 종들을 모두 면천을 시켜 주세요. 더 늦기 전에 지금 풀어 주시지요. 세상은 이미 옛날의 세상이 아닙니다.”

만약 그때라도 그렇게 했더라면, 어떻게 되었을까. 지금은 또 어떤가. 항상 만시지탄을 하게 되는 건 아닌지. 그래서 역사의 수레바퀴에 깔려 죽기 전에 조짐을 볼 줄 알아야 한다. 나는 조짐을 보고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