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우주난민특별대책위원회
제재영 지음 / 마인드마크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한국우주난민특별대책위원회>는 K-판타지소설로 외계인과 인간이 함께 생활하는 지구의 이야기다. 대한민국이 35년여 동안 외계인과 교류해오고 있지만 대한민국 공무원에게 민원은 줄어들지 않고 새로운 민원인들이 생겼다. 2년 전 서울시 9급 공무원에 합격한 공 서기, 공필연은 한강 지하에 마련된 사무실에서 일한다. 보통의 공무원이라고 하면 지상에서 일을 하겠지만 공 서기는 '한우대'라고 불리는 한국우주난민특별대책위원회에서 스위퍼, 뒷처리반에서 일한다. 전유숙 팀장을 중심으로 배하나, 김재수와 함께 공 서기도 팀원 중 한 명이다. 공필연의 수중 생활은 매일 다른 공무원들과 같다. 깐깐한 출입자 신원 파악을 통과하면 한강으로 이어진 유리관을 통해 사무실로 출근한다. 처음 한우대에 출근하면 극복해야 할 일이 뱃멀미다. 다른 직원들은 뱃멀미를 극복하거나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걸렸지만 공필연은 13일밖에 걸리지 않아 거의 전설처럼 기록이 남아 있다.




매일 수중 바이크를 타고 한강을 순찰하고 외계인이라고 불리는 플라인의 민원을 해결해 주어야 한다. 외계인 플라인은 플라 행성에서 온 외계인들로 보통 플라인은 인간 형태의 특수 장치를 착용하고 있어 인간인지 외계인인지 구별이 가지 않는다. 인간 형태의 특수 장치를 벗는 것은 탈피라고 하고 플라인이 탈피하지 않으면 인간처럼 보인다. 외계인에 대한 민원을 처리하지만 대부분의 민원들은 인간의 민원과 비슷하다. 이웃의 층간 소음으로 고통받고 있는데 아무래도 외계인 같으니 조사를 해 보라는 등의 민원이다. 인간이든 외계인이든 어딜가나 민원인들은 민원인일뿐이다. K-판타지소설 <한국우주난민특별대책위원회>은 초반부터 전개가 재밌다. 외계인이라는 소재가 흥미로울 수 있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스토리의 전개는 지루하지 않는 건 아무래도 작가의 기발한 상상력과 스토리의 전개인 것 같다. 처음 외계인 민원인이라고 해서 영화 '맨 인 블랙'을 떠올리기도 했는데 헐리우드식 영화와는 다른 재미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쥐독
이기원 지음 / 마인드마크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기후 위기로 지구 곳곳에서 인류의 위기를 느낄 수 있다. 언젠가 지구는 멸망할 수 있다. SF소설 <쥐독>은 인류가 멸망하고 오직 서울만이 살아남은 어느 미래의 이야기다. 미래의 대한민국은 감염병과 전쟁으로 디스토피아로 변했고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적 성취를 이룬 과학 선진국이 되었다. 그런데 서울은 대기업들이 합리적인 방식으로 회사를 경영하는 도시를 관리하고 있었고 대기업들은 '뉴소울시티'라는 제단을 만들어 서울을 지배한다. 뉴소울시티는 극소수의 상류층 2%만이 모든 자원과 기술을 독점하고 영생까지 얻고 있다. 뉴소울시티는 상류층이 거주하는 1구역과 나머지 일반 시민들이 거주하는 2구역, 그리고 2구역에서 쫓겨난 낙오자, 해고자, 가난하고 힘없는 자들이 모여 3구역에 살고 있다. 3구역은 기본적 치안 서비스도 제공되지 않는 곳으로 더러운 쥐들이 사는 곳이라고 해서 '쥐독'이라 불린다.


2구역에서 아바리치아 제3공장에서 루왁 포장하는 일을 했던 민준은 점점 궁핍해져 야근을 계속해야 했다. 그러다 자신도 모르게 루왁을 훔치게 되고 결국엔 공장에서 알게 된다. 민준에겐 선택의 여지가 없이 민준은 3구역인 쥐독으로 들어가게 된다. 3구역에서 아는 사람도 없고 아무것도 없었던 민준은 실수로 루왁을 가진 것을 보여주면서 3구역의 폭력단인 흑룡파의 표적이 된다. 그런 민준을 도와준 사람은 55층의 술집 주인인 혁이었다. 혁의 도움으로 민준은 3구역에 적응하기 시작한다. <쥐독>은 2%의 상류층에는 유토피아와 마찬가지지만 나머지 98%에겐 디스토피아다. 2%는 모든 것을 가지며 영생까지 가지는 세상에 2구역, 3구역의 사람들 역시 영생을 얻고 싶어하고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1구역 소도로 들어가고 싶어한다. 소도로 들어가면 새로운 신분, 새로운 신체, 새로운 인생, 새로운 직업까지 모든 것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1구역으로 들어갈 수 있는 인원은 한정적이며 그곳에 들어가기 위해 목숨을 내놓아야 한다. 목숨을 담보로 소도로 들어가려는 사람들은 몰리게 된다. 과연 뉴소울시티에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리아드네의 목소리
이노우에 마기 지음, 이연승 옮김 / 블루홀식스(블루홀6)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작가 '이노우에 마기'의 신작을 생각보다 빨리 읽게 된 느낌이다. 전작들인 <그 가능성은 이미 떠올렸다>와 <성녀의 독배>가 출간된 지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 읽은터라 내가 '이노우에 마기'의 작품들을 접한 지는 오래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이렇게 신작 <아리아드네의 목소리>를 읽을 수 있어 너무 기대되었다. '이노우에 마기'의 작품을 많이 읽은 것은 아니지만 지금까지 읽었던 두 작품이 작가만의 독특한 분위기가 느껴졌다. 어쩌면 전작들이 시리즈이기 때문에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아리아드네의 목소리>는 현대적인 과학기술이 농축된 드론이라는 소재를 이용해 사건을 어떻게 풀어갈지 너무 기대되었다.



이번 작품 <아리아드네의 목소리>는 작가 이노우에 마기의 전작들에 비해 너무 순한 맛이다. 드론이라는 참신한 스마트 기계로 재밌는 스토리를 꾸몄지만 순한 맛이라 정말 이노우에 마기의 작품이 맞나 싶었다. 순한 맛이긴 하지만 결말은 드라마로 마무리하는 재난영화 같았다. 그렇다고 결말이 아주 허를 찌르는 반전은 아니었지만 각각의 사건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어 드라미틱하다. 지금까지 읽었던 작가 이노우에 마기의 작품들은 본격 미스터리의 진수를 보여주는 작품들이었다. 그에 비해 드라마가 많이 가미된 이번 작품은 최신 기술인 드론을 이용한 것이 의외로 신선하다는 생각도 든다. 제목 <아리아드네의 목소리>를 보고 '아리아드네'가 무슨 의미일까 궁금하기도 했다. 아리아드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이야기로 '아리아드네의 실'이라는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아리아드네는 여성의 이름으로 신화 속 영웅 테세우스는 미노타우로스를 퇴치할 때 자신을 흠모하던 크레타섬의 공주 아리아드네에게 받은 실타래를 써서 괴물이 사는 미궁에서 탈출한다. WANOKUNI 프로젝트가 지하 중심을 스마트 도시라 사람의 손길보다는 드론이 더 도움이 되고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런 드론에게 그리스 신화의 '아리아드네'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 <아리아드네의 목소리>가 원하는 만큼의 미스터리가 부족하다는 것이 아쉽기도 했지만 여전히 이노우에 마기의 다음 작품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사를 만든 30개 수도 이야기 - 언어학자와 떠나는 매력적인 역사 기행
김동섭 지음 / 미래의창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국가의 수도가 정해지는 역사적 과정을 읽는 역사기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사를 만든 30개 수도 이야기 - 언어학자와 떠나는 매력적인 역사 기행
김동섭 지음 / 미래의창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게임 중에 수도 맞히기 게임이 있다. 일부 나라의 수도는 금방 떠오르지만 어떤 나라의 수도는 어딘지 기억이 나지 않을 때도 있다. <세계사를 만든 30개 수도 이야기>를 읽으면서 역사적인 도시와 수도가 된 이유를 알 수 있다. 한 나라의 수도는 인구가 많은 도시일 수도 있고 정치와 문화의 중심 도시도 될 수 있다. 각국의 수도는 이런 기준을 가지고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수도가 되는 도시보다 더 유명하고 큰 도시도 있다. 수도가 정해진다고 해서 영원히 수도로 남는 것은 아니다. 수도는 이동하고 생명체의 탄생과 소멸처럼 수도 역시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여 일정 기간 수도의 역할을 하다가 새로운 도시에 자리를 주기도 한다. 주로 왕의 거처와 신전이 있는 도시를 수도라고 하고 이집트나 중국처럼 처음으로 통일한 나라의 수도를 수도로 삼았고 다음 왕조가 도읍으로 정한 도시가 수도가 되기도 한다.

한때 유럽의 중심이었던 로마는 지금도 콜로세움 경기장은 보는 이를 압도하며 판테온 신전의 토목 기술은 현대인의 상상으르 뛰어넘는다. 일본의 수도는 도쿄지만 일본인들에게 영원한 수도는 교토다. 일본 역사에 교토 시대는 거의 400년 동안 지속되었다. 교토는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시대에 이르러 다시 부흥의 길에 접어든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새 수도 후보지에서 교토는 1순위였지만 오랜 기간 동안 수도였다는 것이 오히려 약점이었다. 이렇게 도쿄가 일본의 새로운 수도로 결정되었다. 미국의 수도는 워싱턴 D.C.다. 미국의 국부인 조지 워싱턴의 이름에서 나온 지명으로 독립 당시에는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20세기 이후 뉴욕의 대항마가 되었다. 미국은 독립 선언을 하고 뉴욕을 임시 수도로 정했고 미합중국의 수도로 결정되지 못했지만 1785년 워싱턴 D.C.가 수도로 확정된 1790년가지 미국의 수도로 그 역할을 했다. 뉴욕에서 열린 연방의회에서 대통령 선거인단의 만장일치로 미합중국의 초대 대통령이 선출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