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지나갈 오늘 11월5일이 차학경(테레사 학경 차)의 기일이다. 2021년 악스트 11.12월호에 수록된 장혜령 시인의 산문이 아래 글의 출처.


2013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상영작 '딕테-차학경 오마주 Dictee-An Homage to Theresa Hak Kyung Cha' (2012) https://siwff.or.kr/kor/addon/00000002/history_film_view.asp?m_idx=102309&QueryYear=2013


['현대의 고전'된 차학경 '딕테' 20년 만에 재출간] https://www.yna.co.kr/view/AKR20241029123500005?input=1179m 이 달 하순 출간 예정이다.


[지하 극장서 보는 으스스한 전시…아트선재센터, '혀 달린 비']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40403_0002685924&cID=10701&pID=10700 올해 상반기에 한 전시로서 "故 차학경의 제의 공간처럼 보인다"고 기사에 적혀 있다.




영어를 강제로 배워야 했던 이민자 학생인 차학경 자신과 일제 강점기 일본어로 말해야 했던 조선인 교사 어머니의 고통은 무엇이 같고 또 다른가?

그녀는 뉴욕 맨해튼의 빌딩 지하에서 낯선 남자에게 살해당해 죽었다. 오빠 차학성은 경찰을 믿지 못해서 동생의 마지막 흔적을 직접 찾으러 다니다가, 누구도 발견하지 못했던 장갑 한 켤레를 찾아낸다.

그는 증거물일 뿐이었던 동생의 장갑을 작가 차학경이 세상에 전하려 했던 하나의 작품으로서 받아들인다. 그 후 30여 년간, 그는 동생이 남긴 장갑—손의 이미지를 간직하며 살아간다.

나는 차학성이 건넨 차학경의 마지막 손과 구두점을 붙잡아 전달하려는 『딕테』 속 여자의 손을 맞잡게 하고 싶다. 내 안에서 두 손의 이미지가 마주 보며 이야기한다. 나는 그 소리에 귀 기울인다. - 장혜령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필리아 2024-11-06 20: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사카이 나오키의 ‘번역과 주체‘를 통해 차학경을 처음 접했어요.
그때까지 국내에서 누구도 차학경을 언급한 사람을 보지 못했답니다.
사카이는 차학경으로부터 문학의 정치성을 읽어내고 있었지요. 이민자 2세로서 경계의 언어를 사용하는 자의 고통이지요. 딕테의 소개글을 보게되니 반가운 마음입니다.

서곡 2024-11-06 20:31   좋아요 1 | URL
아 저도 ‘번역과 주체‘를 읽었는데 거기 차학경이 나오는 건 잊어 버렸네요...아직 가지고 있는 책이라서 찾아 볼 수 있겠어요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