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지나갈 오늘 11월5일이 차학경(테레사 학경 차)의 기일이다. 2021년 악스트 11.12월호에 수록된 장혜령 시인의 산문이 아래 글의 출처.
2013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상영작 '딕테-차학경 오마주 Dictee-An Homage to Theresa Hak Kyung Cha' (2012) https://siwff.or.kr/kor/addon/00000002/history_film_view.asp?m_idx=102309&QueryYear=2013
['현대의 고전'된 차학경 '딕테' 20년 만에 재출간] https://www.yna.co.kr/view/AKR20241029123500005?input=1179m 이 달 하순 출간 예정이다.
[지하 극장서 보는 으스스한 전시…아트선재센터, '혀 달린 비']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40403_0002685924&cID=10701&pID=10700 올해 상반기에 한 전시로서 "故 차학경의 제의 공간처럼 보인다"고.
영어를 강제로 배워야 했던 이민자 학생인 차학경 자신과 일제 강점기 일본어로 말해야 했던 조선인 교사 어머니의 고통은 무엇이 같고 또 다른가?
그녀는 뉴욕 맨해튼의 빌딩 지하에서 낯선 남자에게 살해당해 죽었다. 오빠 차학성은 경찰을 믿지 못해서 동생의 마지막 흔적을 직접 찾으러 다니다가, 누구도 발견하지 못했던 장갑 한 켤레를 찾아낸다.
그는 증거물일 뿐이었던 동생의 장갑을 작가 차학경이 세상에 전하려 했던 하나의 작품으로서 받아들인다. 그 후 30여 년간, 그는 동생이 남긴 장갑—손의 이미지를 간직하며 살아간다.
나는 차학성이 건넨 차학경의 마지막 손과 구두점을 붙잡아 전달하려는 『딕테』 속 여자의 손을 맞잡게 하고 싶다. 내 안에서 두 손의 이미지가 마주 보며 이야기한다. 나는 그 소리에 귀 기울인다. - 장혜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