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코딩 라틴아메리카'에 수록된 ‘커피라는 작물이 미친 영향-커피와 커피밭 사람들’로부터 발췌한다. 


Pixabay로부터 입수된 Manuel de la Fuente님의 이미지


세 사람의 대표저자만 등록되어 있지만 공저 '디코딩 라틴아메리카'  표지와 책 속 집필자 명단을 보면 그 중 '림수진'이 있는데 '커피밭 사람들'을 쓴 임수진과 동일인으로 보인다.






‘커피의 세기’라고 불렸던 19세기는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이 독립을 맞이한 시기이기도 하다. 커피 생산국들은 커피 수출을 통해 재정 기반과 인프라를 강화할 수 있었다. 도시 곳곳에 화려한 건물들이 들어섰고, 유럽으로 향하는 관문이 되는 자국의 항구들 역시 재정비되었다. 더불어 본국의 내륙과 항구도시들을 잇는 철도망 또한 구축될 수 있었다. 오랜 시간 유럽의 식민지로 있었던 라틴아메리카 곳곳에서 유럽을 모방하거나 혹은 유럽을 능가하려는 욕망이 커피를 통해 투영되던 시절이었다.

세계 커피 시장은 19세기 말 지독한 과잉공급의 덫에 걸리고 말았다.

그토록 바라 마지않았던 커피 풍작은 곧 두려움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