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랑슈의 정물화 By Blanche Hoschedé Monet - Public Domain, 위키미디어 커먼즈


미국의 사학자 메리 메콜리프가 쓴 '벨 에포크, 아름다운 시대'(최애리 옮김)에 클로드 모네의 재혼사가 길게 나오는데 그 중 ‘제24장 어둠 속의 총성│1897’로부터 의붓딸 블랑슈와 모네의 친아들 장이 결혼하는 대목만 가져온다. 갑툭튀 피사로 지못미! (블랑슈의 엄마 알리스는 부유한 부르주아 출신이다.)


피사로 부부 1877 Public Domain, 위키미디어 커먼즈





대가족을 거느리고 있던 모네 역시 그해 여름 난처한 상황에 처했다. 그의 맏아들 장이 알리스의 딸 블랑슈 오셰데와 사랑에 빠져 결혼하기를 원했던 것이다. 비록 친남매 사이는 아니었지만 같은 가정에서 자란 터라, 모네로서는 무척 곤혹스러운 일이었다. 하지만 알리스는 그 결혼을 전폭적으로 지지하며 결혼 준비를 강행했다. 그 준비 중에는 피사로를 하객 명단에서 제외시킨다는 결정도 포함되었으니, 그의 사회적 지위가 보잘것없다는 것이 이유였다. (이 결정에는 물론 피사로의 급진적 정치관과 꾀죄죄한 행색도 한몫을 했겠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피사로의 아내가 농부 출신으로 결혼 전에는 피사로 어머니의 하녀였다는 사실이었을 것이다.) 그것은 불유쾌한 결정이었고, 모네는 오랜 친구에게 변명을 해야 하는 구차한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3-09-23 17: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모네가 그린 수련연작은 색감이 참 예뻤어요. 지베르니의 풍경이 좋다고 하더라구요.
블랑슈 모네는 딸이 아니라 며느리라고 생각해야 할까요. 아들과 재혼한 부인의 딸이 결혼하면서 가족관계가 그렇게 되는 군요.
잘읽었습니다. 서곡님, 좋은 주말 보내세요.^^

서곡 2023-09-23 18:56   좋아요 1 | URL
혈연은 아니니까 가능한 일이겠지요 딸로 키웠는데 며느리가 되는 거라 모네의 입장에선 충분히 곤혹스러울 수 있지만 딸의 엄마 입장에서는 딸이 ‘출가‘하지 않아도 되니 장점도 있었으리라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서니데이님도 주말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