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폴링 인 폴
백수린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3월
평점 :
판매중지


백수린 작가의 신춘문예 당선작을 그해 종이신문으로 우연히 읽었다. 읽다가 안 읽히면 그만 읽었을텐데 끝까지 읽은 걸로 기억한다. 


이 책 '폴링 인 폴'은 등단작 포함 초기작들을 묶은 작가의 첫 작품집으로서 해설을 쓴 평론가 서영채의 표현대로 '신진기예'답게 열심히 쓴 성실한 성과라 하겠다. 이 책을 읽으며 아주 오랜만에 재독한 당선작 '거짓말연습'보다도, 수록작 중 신춘문예 당선 전에 발표했다는 처음 읽은 '유령이 출몰할 때'에 관심이 갔다. 


서영채 해설자도 이 작품에 주목하여 상세히 독해하는데, 유령이 출몰하는 이 소설 속 고시생 화자가 오래 전 자주 드나들던 '카르페디엠'이란 이름의 카페로 카페지기 J를 찾아가는 모습을 "좀비 되기에조차 실패한 예비좀비가 비-좀비의 세계를 찾아가는 모양새"라고 해석한다.  


안개낀 폐허, 영혼의 고향 같던 그곳, 발설하지 못한 고백, 소중했던 것을 대면하고 자기를 회복하려는 열망과 태도 - 그러니까 백수린 작가 자신에게 소설쓰기는 '카르페디엠'적 행위인 셈이다. 

폐허 속에 비교적 온전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카르페디엠을 보자 무엇인가가 울컥 내 안에서 치솟았다. 카르페디엠이 이런 난리에도 정말 살아남아 있구나, 하는 데서 기인한 애잔함과 J선배는 여기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 거야, 하는 막연한 분노. 그리고 내가 이곳에서 길을 잃지 않았구나, 하는 안도감이 뒤섞인 무엇인가였다. - 유령이 출몰할 때 (서영채의 해설 중 인용으로부터 재인용)

백수린에게는 그런 풍경이야말로 소설쓰기나 문학하기 혹은 비-취업권의 마음으로 살아가기의 요체가 아니었을까. 요컨대 그 풍경의 핵심에 놓여 있는 카르페디엠이라는 카페는 인상적인 것이 아닐 수 없다. 그것은 이 신인 작가가 품고 있는 소설쓰기의 지향점을 매우 강하게 암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