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 위에 군림하는 억만장자들 - 거대 자본으로부터 삶의 주도권을 되찾아오는 법
크리스틴 케르델랑 지음, 배영란 옮김 / 갈라파고스 / 2025년 3월
평점 :
* 컬처블룸을 통해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방위산업체와 결탁하는 미국 정부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가 많다. 미국의 군수 산업체는 전통적으로 총기사용 관련하여 정부의 고위직과 연관되어 있다는 많은 소문이 있었다.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전혀 근거가 없는 사실은 아닐 것이다. 과거에는 이런 군수 산업체가 문제였지만 지금은 빅테크 재벌들의 문제가 더 심하다.
기업이 아니라 억만장자들 개인들이 문제라는 인식이다. 일론 머스크, 제프 베이조스, 마크 저커버그, 빌 게이츠,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 등 여섯 억만장자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시한다. 이들은 재산이 많아서 힘을 가진게 아니라 힘을 가지게 되어 재산을 더 불려가는 인물로 적시한다.
LVMH의 아르노 회장, 워런 버핏 등도 억만장자이지만 이들은 개인에게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본다. 테크계 여섯 재벌들은 자신들이 소유한 기업을 토대로 힘을 과시하지만 개인들의 힘 자체가 너무 커진 상태로 우려를 표명한다. 여섯 억만장자는 부의 규모를 넘어서서 전 세계의 시스템을 좌우하는 힘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그들은 정부가 없이도 살아갈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정부가 부과하는 세금도 능동적으로 피하는 능력을 과시한다. 그들은 국가를 원할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정부의 고유권한들을 빼앗고 있다. 심지어 우주 분야에서 미국, 유럽 등의 정부는 이미 손을 뗏고 정체되고 뒤쳐진 상태이다. 그 자리를 일론 머스크가 대체하고 있다.
심지어 일론 머스크는 미국을 넘어 전세계의 전쟁 정세를 좌지우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일론 머스크의 네트워크 덕분에 러시아에 대항할 수 있었다. 미국 정부는 일론 머스크의 네트워크의 기능이 위협적인 줄 알지만 어찌할 수 없다. 그에 대한 댓가로 머스크는 우크라이나 국민의 개인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할 권한을 가졌으며, 결국 우크라이나의 주권은 머스크의 손에 넘기고 말았다.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를 인수하고 X로 사명을 변경했다. 그리고 머스크 본인의 입맛대로 개인들의 계정을 풀어주고 퇴출하는 것을 결정한다. 이미 전세계 개인들의 선악에 대한 판단을 머스크 본인이 하고 있는 것이다. 국가가 해야 할 일을, 판사가 해야할 일을 머스크가 대신하고 있는 이런 현상은 심히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코로나19라는 거대한 팬데믹에 혼란스러울 때 빌 게이츠에 대한 음모론이 일었다. 빌 게이츠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의도적으로 퍼뜨렸다는 것이다. 그 때는 절대 그럴 일이 없을 것이라는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다보니 전혀 근거없는 말은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빌 게이츠가 백신 관련 분야에 어떤 정부보다도 깊이 관여해 있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빌게이츠는 자선사업이라는 명목으로 정부가 내려야하는 결정을 개인이 내리고 있다. 예를 들어 백신 접종 지역과 조건에 대한 결정같은 것들이다. 특히 세계보건기구인 WHO의 의사결정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은 우려할만한 수준이다.
구글의 창업주인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는 인간을 불멸의 존재로 만들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마치 21세기에 진시황제가 살아온 듯한 기시감이 든다. 질병의 정복이나 예방이 아니라 아예 극복하거나 인간이 영원히 살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인류의 생물학적 한계를 극복하고 뇌의 정보를 조작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런 기술이 구글의 기술로 독점화된다면 인간에 대한 통제를 할 수도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정부의 기능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전세계를 지배하는 시나리오도 불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거대한 자본을 바탕으로 전세계를 개인의 영향력 아래 두려는 여섯 억만장자들의 의도가 무섭게 느껴진다. 절대 상식적이지 않은 그들의 뇌에 무엇이 들어 있을지 심히 걱정된다. 구글이 한국에서 네이버 때문에 고전하는 것이 한국인들에게는 약간의 희망을 남긴 것은 아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