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의 덕목 - 존경받는 리더는 무엇이 다른가, 2018 노틸러스도서상 은메달 ㅣ 리더 시리즈
에드거 샤인.피터 샤인 지음, 노승영 옮김 / 심심 / 2025년 5월
평점 :
* 출판사를 통해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리더십은 한 사람이 어떻게 조직을 변화시키고 혁신할 수 있는지를 확실하게 보여준다. 구성원들은 그대로인데 한 사람의 리더가 바뀜으로써 조직 전체의 체질이 개선되는 경우를 많이 보았다. 리더십은 바로 그런 리더의 중요성을 단어가 아닐까? 리더십이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에 오랜 세월에 걸쳐 많은 학자들이 연구하는 것이다.
리더십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강압적 리더십, 권위적 리더십, 친화적 리더십, 코칭 리더십, 감성 리더십 등 기업에 따라, 중요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현된다. 어떤 리더십이 가장 좋다라고 말할 수는 없다. 다만 상황, 조직원, 목표 등에 따라 적절한 리더십이 필요하다.
필자는 겸손한 리더십을 강조한다. 이 책의 제목은 <리더의 덕목>이지만 원제는 겸손한 리더십(Humble Leadership)이다. 겸손한 리더십은 무엇일까? 리더가 겸손한 마음을 가지고 조직원을 대하는 것을 말하지는 않는다. 겸손한 질문을 통해 상황을 만들어내는 상황적 겸손을 의미한다. 즉 리더 혼자서는 모든 것을 다 할 수 없다는 신호를 먼저 표현해야 한다는 뜻이다.
필자는 리더십에서 '관계'를 중시한다. 소통을 위한 소통이 아니라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의 의견과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관계의 상태를 의미한다. 관계를 통한 구성원의 협력이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시점이다. 불확실성이 높은 시대에 혼자서 모든 정답을 알 수 없다. 반드시 다른 사람의 협력이 필요하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상황적 겸손을 실천하는 것이다.
에드거 샤인은 리더십은 항상 관계에 기인하며, 성공적인 리더십은 반드시 개방성과 신뢰를 필요로 한다고 말한다. 상황적 겸손을 실천하면 개방성과 신뢰를 얻을 수 있어 결국 관계가 좋아지는 것이다.

필자는 겸손한 리더십이야말로 모든 리더십을 관통하는 기반이 된다고 한다. 이런 겸손한 리더십은 2006년 파산 직전의 포드 자동차에 CEO로 취임하여 10조 이상의 이익을 남기고 2014년에 떠난 앨런 멀럴리의 사례에서 살펴볼 수 있다. 그는 임원들이 회사의 문제를 찾아 서로 협력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했다. 그렇게 처음 문제를 스스로 밝힌 임원에 대해 감사의 박수를 치고, 다른 임원들에게 해결책을 구하면서 문제는 해결되었다.
겸손한 리더십에 바탕한 멀럴리의 리더십은 포드에 개방성과 신뢰를 안겨주었다. 그렇게 심리적 안정감이 생기면서 임원들은 각 사업의 문제들을 공개하기 시작했고, 차근차근 해결하게 된다. 임원들이 서로 문제를 공유하고 도움을 주고받는 팀으로 바뀌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처지에 놓였던 포드 자동차는 기사회생을 하게 되고, 처음으로 문제를 시인한 임원인 마크 필즈는 2014년 멀럴리가 회사를 떠날 때 포드의 후임 CEO가 되었다.
처음 들어보는 겸손한 리더십이 힘이 이렇게 강렬할지는 몰랐다. 사람들이 모여 서로 상호작용하는 회사에서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회사에서의 관계는 반드시 신뢰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겸손한 리더십은 개방성을 통해 신뢰를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구성원 간의 개방과 신뢰에 대한 확신이 강해질수록 겸손한 리더십의 힘은 결과를 압도할 것이라 생각한다.
필자인 에드거 샤인은 죽을 때까지 리더십에 대해 고심하고, 현장에서 후배들을 돕는 삶을 실천했다. 그렇게 배우고, 가르치면서 2023년 1월 말에 9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병상에 누워 있다가 세상을 뜨지 않고 끝까지 세상에 기여를 한 필자의 노고에 경의를 표한다. 이로써 필자의 리더 3종 세트인 <리더의 질문법>, <리더의 돕는법>, <리더의 덕목>은 그의 마지막 역작으로 남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