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레네 (일본에서 쏘아올린 달 탐사위성), 슬림 (일본에서 계획한 달 착륙 탐사선)등을 통해 사람들은 달을 탐구하려 하고 있다.
·태양계: 항성인 태양과 태양의 중력을 받아 공전하고 있는 행성 등의 천체를 모두 통틀어 이르는 말
*명왕성의 퇴출
•내행성: 지구를 기준으로 해서 태양에 더 가까운 안쪽 궤도를 도는 행성 (수성, 금성)
•외행성: 지구보다 바깥쪽 궤도를 도는 행성(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암석 행성: 수성 금성. 지구, 화성 (주로 암석과 철로 이루어짐)
•거대 가스 행성 : 목성, 토성 (주로 수소 가스로 이루어져 있음)
•거대 얼음 행성: 천왕성, 해왕성 (얼음 주위를 가스가 감싸고 있음)
·천문단위 (AU): 천문학에서 쓰는 거리 단위. 약 1억 5000만km이며 태양과 지구의 평균 거리가 유래이다.
·합: 지구에서 봤을때 내행성이 태양과 완전히 같은 방향에 있는것 이때 태양보다 앞에 있으면 내합, 뒤에 있으면 의합이라고 한다.
·최대이각: 지구에서 봤을 때 내행성이 태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
어렸을 때 명왕성 퇴출에 대해서 어렴풋이 들은 것 같다. 대충 듣기만 해서 정확히는 몰랐는데 명왕성은 2006년 국제천문연맹이 행성의 기준을 다시 세우면서 왜소행성 134340이 되었다. 행성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태양 주위를 공전해야함
2. 충분한 질량을 가져 구형을 이루어야 함
3. 자신의 궤도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해야함
명왕성은 3번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서 행성 지위를 박탈당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명왕성 밖의 또다른 천체를 관측한 천문학자 마이크 브라운이 쓴 책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는데 재밌어보여서 다음에 읽어볼까 한다. 명왕성과 비슷한 천체를 관측했기 때문에 행성의 정의에 대해서도 재정립하게 되고 이로 인해 명왕성이 행성의 지위에서 박탈당해 마이크 브라운은 명왕성 킬러라는 별명도 갖고 있다고 한다. 웃픈 이야기다...
그리고 또 음악이야기이긴 하지만 명왕성을 보자마자 방탄소년단의 <134340>이 떠오르기도 했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17118/94/cover150/8955883552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