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나에 대한 평가를 타인에게 맡기지 마라

-슬럼프 : 물가 폭락이나 사업이나 활동 부진 등을 뜻하며, 확실한 원인이 파악되지 않은 채 일시적으로 활동이 부진한 상태를 일컫는다.
-슬럼프는 대개 불안에서 기인하고, 정신/심리/육체적 밸런스가 깨지면 불안해지고 그것이 축적되면 무기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슬럼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정신/심리/육체적 밸런스를 갖춰야 한다.
•정신 : 나 자신에 대한 평가를 타인에게 맡기지 말아야 한다, 나의 능
력을 믿고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가 중요하다.
•심리 : 결과보다는 과정을 평가해야 한다, 과정에 충실하다보면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육체 : 일상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고 기분 전환을 위해 운동을 하거나
여행을 떠난다.
-정신/심리/육체적 밸런스가 잘 갖춰져 있는 삶이 바로 리듬감 있는 삶이다.

46. 리듬감 있는 삶

-리듬감 있는 삶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뇌는 우리가 깨어있거나 자고 있을 때도 활동하고 있다. 우리가 자고 있을 때는 그 날 얻은 정보를 분류하고 저장한다.
-그래서 뇌는 충분한 수면과 영양을 필요로 한다.
-뇌는 보상에 길들여져 있어 리듬감 있는 삶을 깰 수 있는 자극을 원하기도 한다. 따라서 현명한 보상을 줘야 한다.
-현명한 보상은 현재 보상과 미래 보상을 적절히 이용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4. 자극적인 것들로부터 뇌 보호하기

-팝콘 브레인 : 전자기기를 지나치게 사용하는 과정에서 강력한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전보다 강한 자극을 원하는 증상이다.
-지나치게 강렬한 자극은 내 영혼을 사로잡는 미끼가 될 수 있다.
-강렬한 자극만을 쫓아가다보면 뇌가 익숙해져서 더 강렬한 것을 원하게 되고, 일상이 무료해지고 무기력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와 같은 강렬한 자극을 주는 물건들은 멀리하고 일상을 보내면서 일상 속 작은 행복을 느껴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2. 당신이 살아가는 이유

-번아웃(소진) 증후군 : 어떤 일에 지나치게 몰두한 나머지 극도의 피로감으로 말미암아 탈진, 냉담, 무능감 등을 보이는 증상을 일컫는 의학적 용어
-번아웃 증후군을 해결하는 방법
1) 충분한 휴식 취하기
2) 나를 아껴주고 사랑해주는 사람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3) 시간에 이름표릉 달아놓은 뒤 사용한다
4) 봉사 활동을 하라

이 4가지 방법들은 세세한 건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나의 존재가치를 깨닫고 내가 얼마나 소중한 사람인지를 깨닫는 것이다.

43. 현실을 직시하고 삶의 통제권 가져오기

-스톡테일 패러독스 : 냉혹한 현실을 직시하면서도 최종적으로는 승리할 것이라는 믿음으로 현재의 상황을 극복해내는 이중성
-자신의 삶을 통제하지 못한다는 느낌을 받으면 무기력해진다. 그러면 그 무기력을 타파하기 위래 낙관적이게 된다. 그러나 이런 낙관을 조심할 필요가 있는데 너무 낙관적으로 바뀌면 결국 상심하고 포기해버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괴롭더라도 현실을 직시하고 왜 실패가 거듭되는지 알아내야 한다.

뇌는 가짜 웃음과 진짜 웃음을 구분해내지 못한다. - P220

하루 24시간은 하나의 빛깔과 향을지닌 게 아니라 제각각의 빛깔과 향을 지니고 있다. - P221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3-06-25 1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나치게 걱정 많은 분들이 이 책을 읽어보면 좋을 듯 싶네요.
 

40. 삶이 계속되는 한 꿈을 꿔야 한다

-뇌는 게으른 성질을 갖고 있어 흥미가 있는 게 아니면 하려고 하지 않는다.->한 가지 일을 처리하면 그에 대한 보상으로 무한정으로 휴식하려고 한다->무기력해짐
-따라서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면 다음 목표를 설정해야 무기력해지지 않을 수 있다.

41. 지나친 잔소리가 의욕을 꺾는다

-지나친 잔소리는 골렘 효과를 불러일으켜 무기력해진다
*골렘 효과: ‘부정적인 기대가 부정적인 결과는 낳는다‘는 심리학 용어(<->피그말리온 효과)
-이럴 때는 건강한 사람과 만나 소통하여 내가 여전히 유의미한 소중한 사람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대학에서 정년퇴직할 수 있는 교수가 되기로 결심한 건 스무살무렵이었다. 무려 25년 만에 그 꿈을 이룬 셈이었다. - P208

설령 그것이 현실을 반영한 솔직한 평가라 하더라도, 그사람을 진정으로 위한다면 의욕을 꺾어서는 안 된다. 실력도 없는데 마음속에 있는 의욕마저 꺾어버린다면 대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란 말인가? - P2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8. 직업을 바꿀 수 없다면 마인드를 바꿔라

-하고 싶은 것을 하면 살아가는 것이 가장 좋지만, 현실이 따라주지 않을 때가 많다.
-만약 그래서 직업을 바꿀 수 없다면 마인드를 바꿔보자.
-내가 이 직업 안에서 이룰 수 있는 새로운 꿈을 만들어 보는 것이다. 내가 만약 과거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고 해서 내 인생이 무가치 해지는 것은 아니다.

39. 열정이 사라지지 않아야 목표를 이룰 수 있다

-열정이 사라지고 무기력해진다면 인생이 재미가 없어진다.
-목표가 너무 터무니 없고 이상이 높다면 이루지 못하고 무기력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열정을 잃지 않기 위해 장기 목표를 위한 단기 목표를 세우고 단기 목표를 이뤄 성취감을 느껴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목표를 설정했는데 현실성이 없다면 과감하게 포기해야 한다.

현실을 무시한 목표는 훨훨 타오르는 불에 물을 붓는 행위와 같다. 아무리 안간힘을 써도 이룰 가능성이 없다는사실을 깨닫는 순간 열정은 순식간에 사라진다. - P205

치과의사 또한 누군가 간절히 꾸었던 꿈이다. 치과의사를 하면서도 다양한 꿈을 꿀 수 있다. ‘꾸준한 봉사활동을 통해서 가난한 사람 1,000명을 무료로 치료하겠다‘는 꿈이 ‘배우가 되겠다‘는 과거의 꿈보다 초라한가? ‘돈을 벌어서 소규모 극단이라도운영해보겠다‘는 꿈이 과거의 꿈보다 못한가? - P2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