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아름다움은 신과 같아 - 인도 여성의 미, 어제와 오늘 아시아의 미 (Asian beauty) 1
이옥순 지음 / 서해문집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시아의 美

 Asian beauty

 

 

 

 

 

 

 

인도여성의 미, 어제와 오늘

인도,아름다움은 신과 같아

 

 

 

 

 

 

 

 

아름다움과 인도, 신. 연결고리는 무엇일까? '아시아 美'를 말하며, 인도가 축을 이룬것은 왜일까?

여전히 남아있는 계급사회 이며, 여성의 억압된 영역이 아시아 어느 국가보다 높기 때문일까?


<인도, 아름다움은 신과 같아>는 '인도 여성의 미, 어제와 오늘'이라는 부제를 담고 있다.

인도사를 연구하는 이옥순 교수는 '아시아의 美'라는 기획시리즈 중, '인도의 미'에 관하여 기록한다.

오랜 역사속에 아시아 문명은 공유하고, 와해되어 보편적이면서 이질적으로 변모하였다.

'인도의 美'라는 주제를 역사학적, 예술학적, 인류학적 관점에서 짚어가며, 삶에서 그들이 공유한

아름다움에 대한 과거와 현재를 만나 볼 수 있었다.


'아름다움은 신과 같다'라는 뜻이 와닿지 않았다.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여신을 말하는 것인지?

차츰 읽어가며 알았다. 힌두경전에 따르면, '완전한 행복(라사 바이 사 Rasa Bai Sah)'은 해탈로 표현한다.

산스크리트어로 '라사Rasa'라는 뜻을 말한다.


아름다움을 보고 느끼는 희열 즉, 외적 아름다움과 내적 아름다움의 만남을 '해탈=라사'로 통한다.

힌두교를 비롯한 인도의 모든 종교는 아름다움을 숭배한다. 깨달음이 아름다움과 접속한다니 놀랍다.

신의 영역에서 아름다움은 '자연'이다. 인간영역은 '여성'이다. 오랜 문명속에 여성이 가장 대접받는 영역이

'美'라고 저자는 말한다. 자료 사진을 훓어보면, 힌두교 사원이나 석굴 벽화엔 누드에 가까운 여신상을

접한다. 풍만한 젖가슴, 짤록한 허리, 넒적한 엉덩이는 육감적이다.


뜻밖에 몇 년 전, 낙산사에서 관음보살상을 접하며, 참 관능적이라고 느낀적이 있다. 중국을 거쳐 들어온

우리 불교에도 인도의 '라사(해탈)'과 같은 아름다운영역이 어우러지진 않았을까 추측해 본다.


긴 역사와 광대한 지역의인도는 아름다움을 종교적영역으로 숭배하였고, 다양한 여신의 아름다움이

결국 인도여성의 이상적인 美의 기준이 되었다. 관능적인 여성의 몸은 다산과 풍요,번영을 상징했다.

눈에 익은 '샴푸shampoo'나 '헤나Henna'에 관련된 이야기도 재미있다. 긴 머리가 여성의 아름다움의

상징이며, 손바닥과 손등에 물을 들여 가정의 액을 막는 의미 또한 美를 대변한다.


저자는 신에 집중된 아름다움이 남성 중심이 되고, 영국 식민지의 오리엔탈리즘화 되고, 서구화된 상업적

여성이미지에 접속되는 과정을 조목조목 알려준다. 노벨문학상을 받은 타고르는 소설에서 단발머리에

술 마시고 담배 피우는 여성을 비난한다. 힌두 서사시에는 '여성에게 남편보다 더 좋은 장신구는 없다'

라는 말도 있단다. 사티(죽은남편과 함께 아내를 화장하는 관습)나 홀어미에 대한 처우에 여성은 존재의 가치가

없음을 시사한다.


영국의 오랜 식민지배에 있던 인도엔 앵글-인도인(Anglo-Indian) 혼혈집단이 생겼는데, 그들은

'검은백인'이라 불렸다. 고대에서 시작된 피부에 대한 신화는 식민지배하에 더욱 짙어졌다. 흰 피부에

대한 욕망은 잘 팔리는 화장품 이름이 '화이트퍼펙트' 라는 것에서도 짐작 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흥미롭게 알게된 내용은 19c말 인도에 온 기독교 선교사들은 자연스럽게 가슴을 드러내놓고

다니는 인도 여인에 충격받았다고 한다.  빅토리아 시대의 엄숙주의는 천박한 모습에 대해 '부끄러움'을

가르쳤다고 한다. 이후, 영국식 차림과 교육, 예절을 선호하는 인도 여성이 늘어났고, 여성미의 기준은

수줍음, 조용한 아내로서의 의무에 치중되었다. 당시 인도 동부지방 벵골은 덥고, 습했음에도 블라우스에

속치마를 입고, 사리를 입은 뒤 베일까지 썼다고 한다. 식민지는 결국 힌두여성의 새로운 미적 이상형을

정숙함으로 고정시켰다. 현재 인도는 1990년대 개혁과 개방을 시작으로 여느 국가와 다를바없이

힌두 여신이 아닌 여배우 신화를 욕망한다.


그렇다고 인도 여성이 다 미를 추구 하는 것은 아니다. 하층 계층 여성들에겐 피부색이나 주류의

아름다움은 사치에 지나지 않는듯 하다. 서구의 영향이 주를 이루는 인도는 점점더 눈에 보이는

아름다움의 권력과 욕망에 앞선다. 눈에 보이지 않는 영적인 힌두 전통의 '신과 같은 아름다움'은

이제 점점 소멸해 가고 있다.



저자가 지적하는 것 처럼 '어떤 여성이 아릅답고 아름답지 않으며 어떤 문화가 아름답고 추한지를

결정하는 것은 힘을 가진 사람들이다.' 절대'美'에이르기위해 몸을 가꾸고, 마음을 수련하여 신과

접속하던 아름다움은 오리엔탈리즘의 벽에 부딪혀아름다움에 대한 목적은 욕망에 더 근접하다.


비단 인도 여성에게만 국한되는 것은 아닌듯 하다. <인도, 아름다움은 신과 같아>를 읽어내며

아름다움과 신의 상관관계를 통해 '美'에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다. '아름답다'라는 것의

저급한 욕망을 내세워 정신만을 강요하는 것도, 욕망을 앞세워 보여지는 것에 몰입하는 것도

아닌것 같다. 힌두여신 '사라스와티'처럼 지성과 미를 겸비한 조화의 미덕을 공감한다.

무엇보다 신에 이르는 '라사(해탈)'의 경지만한 아름다움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스친다.


해탈의 경지란 무엇일까? 자연과 일체됨 삶. 그것이 아름다움은 신과 같지 않을까?



 

"아름다움은 마음을 녹이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