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토월 - 이문구 대표중단편선 문학동네 한국문학 전집 4
이문구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문구 작가님의 대표작은 역시나 "관촌수필"

학창시절에 문과계열 과목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관촌수필"을 국어나 문학시간에 배웠던 것도 같고, 아닌 것도 같다.


이 책에는 이문구 작가님의 연작소설 "관촌수필"의 1,3,4,5편과

또다른 중단편소설 몇 작품이 실려있다.


처음에 나오는 "암소"는 머슴인 선출이 황씨 주인에게 세경을 빌려주고,

그 돈은 암소가 되어 송아지까지 배었다.

선출은 팔려고 했고, 황씨는 팔지 않는다고 하며 실랑이를 하다가

고사 지내던 날, 그 소는 술 한 독을 다 먹고 쓰러져서 일어나지 못했다.

아 이 허탈함을 어찌해야 할까.


관촌수필의 첫 번째 작품인 "일락서산"은 '해가 서산에 진다'는 뜻으로

화자가 고향에 내려가 자신의 어린시절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할아버지 이야기, 아버지 이야기등

어린시절의 추억을 회상하며, 옛집에 인사하며 서산마루의 지는 해를 바라본다.


관촌수필의 세 번째 작품인 "행운유수"는 '하늘에 떠도는 구름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옹점이라는 인물을 회상한다.

화자보다 십 년이나 많은 옹점이는 지하조직 총책이였던 아버지때문에

집에 사람들이 숨어들었고, 가택수색을 하러 순경들이 찾아와서 뒤집어놓곤했는데

그때마다 아주 당차게 나섰다.

굴뚝에서 연기가 많이 난다며 사람들을 숨겨 준 거 아니냐는 말에

밥 짓고, 국 끓이고, 찌개 하면 더 연기가 많이 난다며 받아치고,

몇 살 먹었냐는 말에 멥쌀도 먹고, 찹쌉도 먹는다며 받아친다.

아주 기깔나게 당차고 당찬 "옹점"이는 다른 곳으로 시집가고 소식이 끊겼다.

그 뒤로 우연히 들은 소식은 그녀가 약장수 패거리를 따라다니며 노래를 부른다는 것.

그리고 정말 노래부르는 그녀를 보게된다.

그 장면이 어찌나 구슬프던지 "행운유수"라는 제목처럼 

떠도는 옹점이의 인생이 참 안타까웠다.


관촌수필의 네 번째 작품인 "녹수청산"은 '초록빛 물과 푸른 산'이라는 뜻으로

친구 '대복이'에 대한 이야기다.

사람들에게 욕을 먹는 대복이지만 화자에게만큼은 든든한 친구였다.

도둑질과 겁탈등으로 감옥에 갔다 돌아오지만 미군, 국군, 빨갱이등

시대상황으로인해 모든 것이 여의치가 않다.


관촌수필의 다섯 번째 작품이자 이 책의 표제작인 "공산토월"은 

'빈 산이 달을 토한다'라는 뜻으로 마지막 부분에 가서야 왜 이 제목인지 이해하게 되었다.

'신현석'이라는 인물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데

남을 도와주는 모습과 화자인 "나"의 집안에 물심양면으로 도와준 부분에 대해 고마워했다.

인간이 근본적으로 가지고 있다는 이기적인 모습이 없는

착하디 착한사람이며 그런 사람이 백혈병에 걸려 끝내는 치료하지 못하고 죽는다.

마지막에게 화자에게 잘 살아달라고 말하는 그.

움직여지지않는 손으로 악수를 청하며 죽어가는 그를 보고, 화자도 울었고, 나도 울었다.


이렇게 관촌수필의 4가지 이야기에는 누군가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이야기마다 그 시대적 환경에 푹 빠져서 캐릭터에 더욱 동화되었다.


다음에 나오는 "우리동네 김씨", "우리동네 이씨"도 연작소설이다.

그 당시의 환경과 국가시책을 꼬집는 듯한 분위기인데

제대로 된 농가대책도 없고, 민방위 교육도 엉망이다.

말도 안되는 헥타르라고 도량형 명칭을 바꾸기도 한다.

재밌는 이야기속에 농가의 어려운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명천유사'에서는 문간방에 살던 최서방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당당하던 옹점이가 다시 등장해서 반갑기도 했고,

양로원에서 보내는 최서방의 말년이 참 애달퍼서 불쌍하기도 했다.


'유자소전'은 친구 유재필에 대한 이야기다.

선비적인 덕량의 본보기라 여기던 친구였고, ' 나 유가여'라는 전화의 첫마디가 구수하고 정겹다.

그와 처음 만난 중학교 시절을 회상하면서 자신의 존재에 대해 

선생님과 나눈 장면에서는 너무 웃겨서 빵터지기도 했다.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고 배려했던 유재필씨는 안타깝게도 간암으로 죽었다.


'장동리 싸리나무'에는 '하석귀'라는 인물이 나온다.

그는 하염없이 저수지를 내다보며 앉아 있고, 사람들이 버리고 간 난초를 키운다.

어느 날 수면을 바라다보고 있다가 배를 보았다.

그래서 배 임자네 집을 가려는데, 그 배 주인이 아직 안 돌아와서 배가 없다는 말을 듣는다

그가 본 그 헛것은 무엇이였을까?

'늘 물에 뜨는 물 같은 것만 봤던겨. 못나게, 지지리도 못나게'라며 말하는 이야기는 끝이난다.


모든 단편마다 주인공의 삶이 잘 묻어나있고,

시대적 아픔이나 농촌의 풍경이 정겹게 그려지고 있었다.

처음에는 살짝 적응되지 않았던 사투리도 점점 분위기와 맞물려 재밌었고,

이문구 작가님을 '농촌 최후의 시인'이라고 하는 이유를 알 것도 같았다.

무엇보다 제일 눈에 들어왔던 것은 평범한 것 같으면서도, 평범하지 않았던

주인공들의 삶이였다.

이야기에 끌려 읽다보면 어느새 주인공이 마음에 들어왔고, 안타까웠고, 뭉클했다.

사람이 눈에 보이는 소설들이였다.

이 책에 실리지 않은 관촌수필의 나머지 작품들도 찾아서 읽어봐야겠다.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에서 함께 읽는 도서로 선정된 #문학동네 #공산토월 #이문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