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구석 오페라 - 아름다운 사랑과 전율의 배신, 운명적 서사 25편
이서희 지음 / 리텍콘텐츠 / 2023년 11월
평점 :
#책추천 #에세이 #에세이추천 #리텍콘텐츠 #방구석오페라
#문학에세이여행서 #명작오페라 #아리아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 받았습니다>
다소 낯설게 느껴지는 오페라는 어려운 장르로 느껴진다.
이국적이기도 하다. 하지만 사실 오페라도 결국 하나의 단편 문학이라고 한다.
생생한 원어로 전해지는 이국적인 서사와 오케스트라의 합주, 화려한 무대장치의 조화가 오래도록 잊을 수 없는 문학적 감격의 순간을 선사하는 오페라.
이런 오페라를 즐길 수 있는 책이 나왔다.
제목은 방구석 오페라- 아름다운 사랑과 전율의 배신, 운명적 서사 25편
이서희 저자로 리텍콘텐츠에서 펴냈다.
베스트셀러 ‘방구석 뮤지컬’로 독자들의 사랑을 받은 저자 이서희의 새롭게 출간한 책이다. 그가 이번에는 오페라의 매력을 책에 가득 담았다.
‘방구석 오페라’는 우리 삶에 색다른 전율을 전해줄 ‘피델리오’, ‘니벨룽의 반지’, ‘마술피리’ 등 유명 오페라 25편을 소개한다.
베토벤의 유일한 오페라인 <피델리오> 속 피델리오의 용기는 사랑에 빠져 상대방을 위해 무엇이든 다 해줄 수 있을것만 같은 우리의 열정을, <오텔로>속 오텔로의 행동은 과열된 사랑에 허우적대는 우리의 모습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헨델이 런던 무대를 위해 특별히 만들었다는 이탈리아 오페라 <리날도(Rinaldo)>, 모차르트와 계몽주의 작가 디 폰테가 만들었다는 보마르셰 원작의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이탈리아 오페라의 거장 베르디의 <나부코(Nabucco)>, 영어 오페라인 조지 거슈인 작곡의 <포기와 베스(Porgy and Bess)>, 그리고 <마탄의 사수 (Der Freischutz)>, <살로메(Salome)>, 비운의 오페라 작곡가 비제의 카르멘 (Carmen)>에 이르기 까지 엄선된 25편의 작품이 주제별로 구성되어 있다.
<마탄의 사수>는 사랑을 위해 영혼을 거래하는 지고한 이야기이다. <카르멘 (Carmen)>은 노동자와 하층민의 척박한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은폐된 진실을 이야기한다.
또한 바빌론 유수와 같은 고대 역사를 복원해 인종과 민족적 차별의 부당함을 호소하기도 하고, 반면 가부장적 권위나 귀족과 왕의 지배권을 옹호하는 작품도 있습니다. <카르멘>의 '사랑은 반항하는 정신(L'amour est un oiseau rebelle)'을 부르는 엘리나 가랑카(Elina Garanca)의 열정적 아리아가 유명하다.
이처럼 오페라 속의 인물들도 우리와 같은 사랑에 기뻐하고 때로는 좌절한다. 그리고 그 사랑은 우리가 마주한 인생의 굴곡과도 비슷하다.
젊음의 대가를 치른 파우스트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고 있다. 간략한 줄거리로 머릿속에 장면을 떠올리다보면 오페라 속 대표 노래가사들로 생동감을 더한다. qr코드를 이용해 스마트폰으로 대표곡들을 감상할 수 있는 점도 이 책에 또 다른 매력이다.
책에서는 작품의 줄거리와 QR 코드가 붙어있는 주요 곡의 가사, 오페라 전문용어, 그리고 간략한 인문학적 해석이 곁들여져 있다.
어쩌면 새롭게 오페라를 접하게 될 가이드. 방구석에 접하는 오페라 입문서가 될련지도 모르겠다.
조금 유명한 연고전의 응원곡인 ‘고려대의 민족의 아리아’에서 말하는 아리아가 바로 오페라에서 나온 단어라니.
어쩌면, 이미 곡을 들어보면 대부분은 어린 시절부터 익히 들었던 아리아가 아닐지 도.
책은 작품 줄거리와 곡 가사에 인문학적 해석을 덧붙여 낯설고 멀게 느껴질 수 있는 오페라 장르를 친숙하게 풀어냈다.
또한 프롤로그에 오페라 용어해설을 더해 누구나 쉽게 오페라에 다가갈 수 있게 구성했다.
이서희 저자는 대기업근무, 예술큐레이터, 문화콘텐츠 기획 및 전문작가, 명상요가 마스터 수련 등 다양한 사회 분야에서 활동했다. 대학 및 대학원에서 미학을 공부했고, 저서로는 <방구석 뮤지컬>, <어쩌면 동화는 어른을 위한 것>과 <200가지 고민에 대한 마법의 명언> 등이 있다.
저자는 “오페라도 결국 우리 인생을 닮은 하나의 단편 문학이라며, 생생한 원어로 전해지는 이국적인 서사와 오케스트라의 합주, 화려한 무대장치의 조화가 오래도록 잊을 수 없는 문학적 감격의 순간을 선사한다”라고 말한다.
특히, 책에는 우리가 마주하는 갖가지 종류의 사랑이 문학적으로 담겨있다. 오페라 속 인물들도 우리와 같이 사랑에 기뻐하고 때로는 좌절하며 그 사랑은 우리가 마주한 인생의 굴곡과도 비슷하다는 것이다.
저자는 오페라 속 감동적인 문장들을 통해, 독자들이 지금껏 경험해 온 사랑을 다시 한 번 돌아보고 앞으로의 사랑을 기대하기를, 인생을 닮은 오페라를 펼치기를 응원하고 있다.
prologue
오페라 용어 해설
PART 1
그 무엇보다 용감한 아리아의 시작
_ 사랑하는 사람을 구원
1-1 사랑하는 이를 구출하기 위한 변장
: 피델리오 Fidelio
1-2 죽음도 극복한 불멸의 사랑
: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Orfeo ed Euridice
1-3 긴 기다림이 빚어낸 고결한 사랑
: 율리시스의 귀환 Il ritorno d’Ulisse in patria
1-4 약혼자를 구하기 위한 용사의 분투기
: 리날도 Rinaldo
1-5 신에게 제물 대신 바친 사랑
: 이도메네오 Idomeneo
PART 2
순수한 사랑은 지고 남은 것은
_ 복잡한 애정 관계
2-1 묘약이 만든 사랑의 코미디
: 요정의 여왕 The Fairy Queen
2-2 사랑할 사람을 착각하면 생기는 일
: 피가로의 결혼 Le Nozze di Figaro
2-3 피로 얼룩진 황금왕좌
: 나부코 Nabucco
2-4 사랑을 포기하지 않는 법
: 포기와 베스 Porgy and Bess
2-5 황금보다 값비싼 사랑
: 서부의 아가씨 La Fanciulla del West
PART 3
악을 처단하라
_ 혼란스러운 세상 속에 한 줄기 빛
3-1 진정한 사랑을 모르는 자의 최후
: 돈 조반니 Don Giovanni
3-2 밤의 여왕의 노래
: 마술피리 Die Zauberflote
3-3 불처럼 타오르는 사랑
: 일 트로바토레 Il Trovatore
3-4 죄책감이 불러온 광란의 몸부림
: 보리스 고두노프 Boris Godunov
3-5 영혼을 판 사랑의 총알
: 마탄의 사수 Der Freischutz
PART 4
선이 악을 이기기는 쉽지 않을 텐데
_ 사랑과 비극은 하나
4-1 피로 얼룩진 욕정의 춤
: 살로메 Salome
4-2 절개와 희생의 아이콘
: 라 조콘다 La Gioconda
4-3 연인을 갈라놓은 사악한 음모
: 오텔로 Otello
4-4 마법 반지가 불러온 파멸
: 니벨룽의 반지 Ring of the Nibelungs
4-5 노래에 살고 사랑에 살고
: 토스카 Tosca
PART 5
소신과 가치를 지켜내며
_ 다양성을 존중하고 차별하지 않는 결말
5-1 사랑으로 쟁취한 왕관
: 포페아의 대관식 L’Incoronazion di Poppea
5-2 죽음이라는 수수께끼
: 투란도트 Turandot
5-3 노래로 쟁취하는 사랑
: 뉘른베르크의 명가수 Die Meistersinger von Nrunberg
5-4 젊음의 대가를 치르다
: 파우스트 Faust
5-5 어긋난 사랑의 말로
: 카르멘 Carmen
epilogue
책 속으로
1-1
사랑하는 이를 구출하기 위한 변장 : 피델리오 Fidelio
1700년대, 스페인 세비야 인근의 한 교도소. 교도소 지하의 깊숙한 골방에는 혁명 주도자 ‘플로레스탄’이 감금되어 있습니다. 그를 골방에 집어넣은 왕당파 교도소장 ‘피차로’는 플로레스탄에게 개인적인 감정이 있어 그를 납치했습니다.
피차로는 완전범죄를 위해 플로레스탄이 죽었다는 소문을 퍼트립니다. 그러나 플로레스탄의 아내 ‘레오노레’는 이 소문을 믿지 않습니다. 그녀는 남편을 구하겠다는 일념으로 남장을 하고, ‘피델리오’라는 이름으로 교도소에 보조 간수로 취직합니다. 누구도 새로온 보조 간수가 여성이라는 것 은 알아채지 못했습니다.
‘로코’라는 간수의 딸, ‘마르첼리네’는 피델리오에게 사랑에 빠지기까지 합니다. 피델리오를 향한 연심을 숨기지 못한 마르첼리네는 자신에게 구혼하는 ‘자키노’를 번번이 무시합니다. 아버지 로코는 마르첼리네가 하루빨리 결혼하기를 바라지만, 피델리오가 좀처럼 반응을 보이지 않자 초조하게 속을 태웁니다.
애만 태우는 딸의 모습을 본 로코는 피델리오에게 권력보다는 돈이 최고라면서 피델리오를 설득하지만, 피델리오 (즉, 레오노레)는 남편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었기에 미적지근한 반응만 보입니다. 한편 피델리오는 로코에게 지하 감방에 있는 죄수에 대해 슬며시 묻습니다. 피델리오를 설득하려던 로코는 플로레스탄이라는 대역죄인이 지하 감옥의 독방에 수용되어 있다고 털어놓습니다. 피델리오는 속으로는 놀랐지만 애써 태연한 척합니다.
그때, 악질 교도소장 피차로에게 긴급 편지가 도착합니다. 총리대신이 교도소로 시찰을 나온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기회주의자 피차로는 총리대신이 오기 전에 정적 플로레스 탄을 처형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는 로코를 불러 속히 플로레스탄을 처형하라고 지시합니다.
하지만 로코는 피차로의 지시를 거부합니다. 자신이 잔인한 살인자라고 기록될 것이 두려웠기 때문입니다. 이에 화가 난 피차로는 로코에게 지하 감옥에 구덩이 하나를 파놓으라고 명령합니다.
한편, 그들의 대화를 엿듣고 남편의 처형 소식을 알게 된 피델리오는 몹시 당황합니다. 지하 감옥 안에 갇혀 있는 것은 그녀가 사랑하는 남편임이 분명했기 때문입니다. 그녀는 남편을 찾기 위한 한 가지 묘안을 떠올립니다. 바로 산책이었습니다.
피델리오는 어두운 방에서만 지낸 죄수들에게 하루만이라도 햇볕을 쬘 수 있게 해 주자며 로코를 설득합니다. 로코는 피델리오의 간청에 마음이 약해져 죄수들을 마당에 데려가도록 허락합니다.
오랜만에 밖으로 나온 죄수들은 잠깐이나마 따사로운 햇볕 아래 자유를 만끽합니다. 그러나 그들 사이에 플로레스탄은 보이지 않습니다. 한편, 이 소식을 들은 피차로는 당장 죄수들을 감방에 돌려보내라고 화를 냅니다. 로코는 마지못해 피델리오와 자키노에게 죄수들을 다시 감방에 가두게 했고, 죄수들은 아쉬워하며 맥없이 감방으로 돌아갑니다.
O war ich schon mit dir vereint
내 님이라고 부를 수 있다면
아, 내가 당신과 이미 결혼했더라면
당신을 남편이라고 부를 수 있을 텐데!
여자는 자기 마음을 절반밖에는
내비칠 수가 없는 거예요
그러나, 뜨거운 키스를 하느라고,
얼굴을 붉히지 않아도 될 때나,
이 세상에서 우릴 방해할 사람이 아무도 없을 때엔
이런 희망으로 벌써 내 마음은 뿌듯해져요
형언할 수 없는 달콤한 기쁨과 함께
그렇게만 되면 나는 얼마나 행복할까요!
이런 희망으로 벌써 내 마음은 뿌듯해져요
형언할 수 없는 달콤한 기쁨과 함께
그렇게만 되면 나는 얼마나 행복할까요!
정말 얼마나 행복할까요!
조용한 가정생활의 안락함에서
나는 매일 아침 눈을 뜨게 될 거예요
우린 서로 사랑이 듬뿍 담긴 인사를 나누고,
부지런히 일하면 모든 걱정이 사라지겠죠
그리고 일을 마치면,
아름다운 밤이 어느 틈에 찾아와서,
우린 힘든 일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겠죠
혁명지도자인 플로레스탄이 왕당파 교도소장 피차로에 의해 감금되자 그의 아내 레오노레가 피델리오란 남성으로 변장하여 남편을 구출하는 이야기인 <피델리오(Fidelio)>의 오프스테이지(Offstage)에서 트럼펫 선율의 애잔함을 느낀다.
어쩌면 대중적일지도 모르는 모차르트 작곡의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은 노래제목과 내용을 모르지만, 그 선율은 이미 익숙하다.
피가로의 결혼은 영주의 신혼 초야권이라는 터무니없는 계급의 횡포에 대한 시민적 분노를 집약한 작품으로 로맨스와 정치적 긴장감을 유연하게 녹여낸 작품이다.
당대 신분제도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익살과 풍자극이었다. 작품이 오늘날 여전히 시민대중의 각광을 받는 것은 그 역사적 배경 탓에 더욱 즐겁다.
모차르트는 그의 피아노 연주와 작곡에서의 천재성과 함께 사회적 약자들의 정의에 관심을 가졌던 인물이다.
이와 더불어 그가 생계에 곤란 겪을 때 돈을 벌기위해 마지막으로 대중적 흥행 감각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다는 <돈 조반니(Don Giovanni)>에 얽힌 사연은 이 책을 통해 처음들었다.
돈 조반니는 희대의 바람둥이 돈 조반니에 희생된 기사의 묘비인 흰 석상의 유령 이야기로 장르가 다른 여타 작품들에 즐겨 인용되고 있다.
대중성을 고려한 권선징악이라는 테마이다. 다소 비극적인 오페라는 작곡가의 생애와 관련하여 새로운 곡으로 다가온다.
영화로 나온 오스카 와일드의 희곡 《살로메(Salome)》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작곡의 오페라 <살로메>는 순수와 타락을 넘나드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쟁반에 받쳐 든 요한의 죽은 머리에서 흘러내리는 낭자한 피와 거기에 입 맞추는 살로메는 그야말로 광기와 폭력성이 넘쳐흐른다.
뉴욕 초연 후 곧 바로 공연이 금지되었으며, 영국에서는 말할 것도 없이 비난이 이어졌다.
책 속으로2
Summertime And the livin' is easy (여름날 삶은 평온하고)
Fish are jumpin' (물고기는 뛰어 오르고)
And the cotton is high (그리고 목화는 잘 자랐네)
Oh, your daddy's rich (오, 너의 아빠는 여유가 있고)
And your ma is good-lookin' (너의 엄마는 예쁘단다)
So hush, little baby Don't you cry (그러니 아가야, 울지 말아라)
.............(이하 생략).................... (어느 날 아침 너는 다 커서.....)
생소한 오페라의 세계로 초대하고 있는 이 책에는 유명 작곡가의 작품들이 많이 담겨져 있다. 이 책을 읽지 않았더라면 알지 못했을 오페라 이야기들이 많다.
오페라에는 주인공들의 다양한 면모를 통해 선과 악, 자유와 억압, 사랑과 증오, 탐욕과 희생을 대비시키며 당시 시대상을 그대로 옮겨내고 있다.
뮤지컬이 개인의 꿈과 사랑의 드라마를 노래한다면, 오페라는 역사나 인생의 역경을 표현하는 문학적인 즐거움을 노래한다.
그래서 오페라를 단편 문학이라고도 한다.
오페라 전용극장에서 펼쳐지는 웅장한 배경과 성악가의 목소리로 울려 퍼지는 노래는 흔히 듣는 일반 대중음악과는 또 다른 느낌을 주게 된다.
이 책을 통해 다소 낯설었던 오페라가 우리 생활속에 이미 익숙히 자리잡고 있엇구나를 알고, 또한 오페라의 매력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아마 나처럼 오페라를 어렵게 느끼거나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훌륭한 길잡이가 되어 줄 책이다.
#오페라#문학에세이#방구석오페라#리텍콘텐츠#사랑#노래#문학#에세이
*도서정보와 이벤트 정보를 알고 싶다면 네이버에 <리텍콘텐츠>를 검색하세요! :D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 받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