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전두환 2 - 인간에 대한 예의, 2판
백무현 글.그림 / 시대의창 / 2016년 11월
평점 :
품절


당략으로 전두환을 구속한 김영삼,
당략으로 전두환을 석방한 김대중

역사는 뒤죽박죽이 된다.

고 백무현 작가는 생존인물들이 많아 사료에 충실했다고 한다.

세뇌와 사료, 전두환 회고록, 수많은 재야인사들의 투쟁으로 뒤범벅된 현대사이기에 우린 많은 부분을 알지 못한다.
그 와중에 역사는 남영동 고문의 피울음만큼이나 진실을 토해내고 있다.
하지만 뒤죽박죽 속에는 아직도 이 분을 찬양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일해공원에서 그들은 정치박해의 희생양이라 울부짖는다.
2권에서 노태우,김영삼으로 이어지는 후계자 구도가
수많은 선동과 기만으로 이루어진 속사정을 밝힌다.
그리고 치열하게 싸워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간‘ 민주투사들을 온전히 살려낸다.
내가 살고 있는 바로 이 순간은 그들이 싸워
얻어낸 ‘현재‘임을 잊지 말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12-06 10: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2-08 09: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만화 전두환 1 - 화려한 휴가, 2판
백무현 글.그림 / 시대의창 / 2016년 11월
평점 :
품절


뻔한 이야기, 그만 하자고?
다 알고 있다던 ‘우리들‘은 실상 너무나 잘 모르고 있다.
광주학살 이전에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억울한 죽음을 당했는지..
1편을 읽으면 분노와 무력감에 몸서리 칠 것이다.
소위 ‘악마를 보았다‘란 표현 정도로는 일갈할 수 없다.
특히 집권의 야욕으로 전라도를 희생양으로 삼은 기만작전은 현재까지도 유효한 정서로 세뇌되어 있다.
경상도 사람으로서
나의 침묵은 전두환의 ‘공범‘이자
‘사유‘하지 않은 ‘유죄‘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8-12-06 14: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마지막 말씀에 동의하지만 이 책은 괴로워서 못 볼 것 같습니다. 뒷목 잡고 쓰러질 것 같다능...ㅠ

북프리쿠키 2018-12-08 09:40   좋아요 1 | URL
ㅋㅋㅋ 저도 많이 괴로웠어요..
입에서 욕이 튀어나올 정도로..
욕 많이 얻어먹으면 장수한다더니
옛말에 틀린말이 없는가 봅니다..^^;
 

루쉰의 소설집 <외침>과 <방황>에서 뽑은
[광인일기]와 [아Q정전]을 비롯하여 중국 현대문학의 출발점이 되는 루쉰의 주요 중,단편소설 열 다섯편이 수록된 책.

1918년 광인일기를 발표하며 ˝루쉰˝이라는 필명을 쓰기 시작했으며 고골의 단편 [광인일기]를 힌트삼아 제목을 정했다고 한다.

단편집인줄 이제야 알았다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여성 과학자들 살림지식총서 389
송성수 지음 / 살림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듐의 발견, 마리 퀴리
핵분열의 발견, 리제 마이트너
인공방사선의 발견, 이렌 퀴리
옥수수의 유전학, 바바라 매클린톡
침묵의 봄, 레이첼 카슨
결정학의 어머니, 도로시 호지킨
DNA의 다크레이디, 로잘린드 프랭클린

총 7명의 뇌섹녀들이 등장한다.
20세기 초에 활약한 과학자들로 당대의 여성차별적 교육시스템에 굴복하지 않고, 맨 몸으로 인류의 앞날에 위대한 발견을 선사했다. 멋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8-12-04 15: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헉, 퀴리가 둘이었군요. 몰랐네요.
헷갈리지 말아야지.ㅋ

북프리쿠키 2018-12-04 15:59   좋아요 1 | URL
이렌 퀴리는 퀴리부인 딸래미예요ㅎ 두분다 방사선 위험에 노출되어 암으로 사망했습니다ㅠ.

2018-12-05 11: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2-05 11: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2-05 11: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So it goes.˝

정영목 옮긴이는 ˝뭐 그런거지˝로 번역했다.
총 106번 등장하는데
주인공 빌리의 말인지 작가 커트보니것의 말인지
헷갈리게 해 놓았다.

1969년 작품이니 그 이후 우리가 한때 유행처럼 썼던
˝다 글치 모˝로 번역했으면 어땠을까 ??

번역가의 품위가 너무 떨어지려나.ㅎㅎ

오랜만에 퇴근하자마자
별다방의 노란 불빛아래서
책읽는 호사를 누린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12-04 09: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2-05 11: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레삭매냐 2018-12-04 10: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다 글치 모 ~

아주 마음에 드네요. 품위나 그런 거 대신
좀 더 공감할 수 있는 표현이 낫지 않을까요?

북프리쿠키 2018-12-05 13:43   좋아요 0 | URL
ㅎㅎ 감사합니다..적고 나니 좀 유치했나? 싶었는데..
레삭매냐님이 마음에 든다고 하시니..고마울 따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