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우울
쉬사사 지음, 박미진 옮김 / SISO / 2017년 10월
평점 :
절판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언제나 우울증에 노출되어 있다고 말할수 있을 것이다.

나 역시 바쁜 일상과 무거운 어깨에 억눌려 직장과 가정일 그리고 자녀양육까지 한꺼번에 해결하다보니

몸도 마음도 많이 힘들어지고 결국엔 나도 모르게 어느 날 갑자기 우울증이 찾아와 한때 굉장히 고생했던 기억이 난다.

가볍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테지만 우울증이란 심할 경우에는 생명에 위협까지 감수해야 할 정도로

본인과 주변인들이 함께 고통으로 남는 경우가 많아 미리 방지하는 것이 최선책이라고 본다.

이 책의 저자인 중국의 중시시도 이렇게 갑자기 자신의 변화를 알아차리며 우울증을 판정받게 된다.

가장 가까이에 있는 남자친구에게 말해보아도 자신을 따뜻하게 위로해 주거나 이해해준다기 보다

그냥 대수롭지 않게 받아들이는 것을 이해하지 못 한다.


그래서일까 매사에 남자친구와 괜히 갈등이 생기게 되고 별일 아닌데도 사소한 다툼이 잦아지게 된다.

그러면서 다양한 방법들을 찾아 우울증을 해결해 보려고 노력하는 장면들이 나온다.

나 역시 우울증을 겪으면서 스스로 해결해 보고자 이런 저런 노력들을 많이 기울였던 기억이 난다.

지금 생각해 보면 당시 우을증이 나에게 그리 깊숙하게 자리 잡지 않아 정말 다행이었다는 생각을 해 본다.

저자 역시 자신에게 우울증이 있다는 말을 항시 생각하며 심적으로 많이 부담스럽고 또 떨쳐버리고 싶었을 것이다.

아픈 사람들은 누가 조금이라도 좋은 이야기를 하면 귀를 쫑끗 세우게 된다.


저자인 장시시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을 추천받았던 기억을 더듬어 그의 작품속으로 빠져들어 보기도 한다.

항상 자신이 가장 바닥이고 암울하고 누구보다 더 슬픈 역사속을 거닐고 있다고 여기겠지만

사실은 나 이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하루하루 고통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우리는 그들을 모두 잘 알지 못하고 살기에 내가 세상에서 가장 아파보이고 슬퍼보이는 것일지도 모른다.

특히 여성들은 아기를 출산한 후에 우울증을 피해가기 힘들다.


누구의 도움을 받을수 없는 벽에 다다랐을 때 더 이상 버티기가 힘들다고 여길 때 나약해진 마음에

슬며시 찾아오는 우울증이라는 병도 마음이 강해지고 체력이 강해지면 반드시 이겨낼수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울증은 누구에게나 찾아올수 있겠지만 그 또한 지나가리니

강한 정신력과 튼튼한 체력으로 지혜롭게 이겨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아프지 않고 살았으면 좋겠지만 만약 아픔이 찾아온다면 힘들어 하지 말고

담담하게 이겨낼 수 있는 방법을 찾아 현명하게 이겨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