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과 공간이 정지하는 방
이외수 지음, 정태련 그림 / 해냄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때 이외수님의 작품을 꽤나 읽었던 적이 있었던것 같다.

자유분방하면서도 직설적인 어법으로 요즘말로 시원한 사이다 같은 글들을 쏟아낸다고 생각하면서

내가 다 하지 못한 말들을 대신해 주어서 좋았다.

얼마전부터는 방송에서도 자주 보게 되는 데 예전에 긴머리는 어느새 깔끔하게 잘라서

다른 분인줄 착각했던 기억이 난다.

이외수 하면 가장 먼저 긴 머리를 질끈 묶어서 선비 느낌이 나는 것이 사실 있었었는데

전혀 다른 모습으로 방송에 출연했던것을 보고 참 헤어스타일이 인상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었다.

 

이 책은 오랜만에 이외수 작가의 책을 만나게 되는 계기라서 더 없이 기다려졌다.

왠지 묘한 끌림이라고 할까 그리 길지 않은 내용이라 단숨에 읽어내려갔다.

고전적인 풍을 많이 보여주고 있는 화가의 그림들과 함께

작가의 글들은 서슴없이 자연스럽게 또 매끄럽게 흘러내려간다.

계속 읽다보면 비슷한 내용이 또 다시 등장하기도 한다.

아마 작가의 생각이 곧으니 글 중간중간에 스며든것이리라...

 

강원도 화천의 감성마을에서 작가인 이외수 문학관도 있다고 한다.

전혀 알지 못했었는데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화천에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 가는 곳인데 전혀 몰랐다.

기회가 된다면 한번 들러보고 싶은 마음이 있다.

책 내용은 그리 깊이있게 생각하지 않고 편안하게 읽기 좋다고 해야할 것 같다.

날이 선선해 져서 좀 더 감성적인 것을 기대했었는데

조금은 아쉬웠다. 그래도 모처럼 저자와 화가의 매치가 잘 되는 작품을 만나본것 같다.

 

처음 책을 펼쳐보았을때 참 아늑함을 느낄수가 있다.

반려견이 많이 사랑받고 또 키우는 사람들이 많아서일까 이 책에서도 매,난,국,죽으로 이름을 따서 강아지 이름을 지었다고 하는 것이 참 친근하게 다가온다. 죽돌이와 난순이라니 참 정겨운 이름이지 않은가

그것도 시골냄새 물씬 나도록 동네에서 사라진 강아지를 찾아다니면서 애물단지로 표현하다니...

그 상황이 그대로 묘사가 되어 눈앞에 펼쳐지는 것 같아서 더 재미있게 읽었던 부분이다.

또한 작가는 이 책에서 자신의 어린시절 이야기도 자주 싣고 있다.

 

할머니와 어렸을때 동냥하며 어렵게 살았던 이야기며 힘들게 살아온 날들 가운데 열등감으로 억눌려 살아온 세월들에서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지 고민했던 케이스가 엿보인다.

누구나 살아오면서 어려웠던 시절은 있었을것 같다. 하지만 그 상황을 어떻게 모면하는지 아니면 이겨내는지가 관건이라고 본다. 될 수 있으면 덜 아프게 그리고 기억에 오래 남지 않도록 그렇게 살아야 하는 것을 우리는 매번 지나고 나서야 깨닫게 되고 또 그렇게 상처로 남는 곳은 영원히 씻지 못하고 남아있는 아픔이 되는것 같다. 작가에게서도 인간냄새 사람냄새를 많이 느낄수 있는 부분이었다. 나도 아픈 기억이 있기에 더 그러했던것 같다. 이 책은 천천히 내용을 이해하면서 따뜻한 차를 음미하듯이 그렇게 읽어내려가야 할 것 같다. 조용히 그림속의 꽃 한송이와 풀한포기를 가만히 들여다보며 책을 읽다보면 마음이 한결 보드라워진다. 은근히 데워지는 아랫목처럼 말이다.  오늘도 힘들지만 열심히 살아가는 우리네 인간들이 사실 보잘것 없는 인생이라는 것을 생각하며 무언가 깊은듯 얕은 이야기들 그리고 살아가는 인생들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