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가요 언덕
차인표 지음, 김재홍 그림 / 살림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영화배우이자 탈렌트로 차인표를 모르는 사람은 아마 없을것이다. 한때 드라마에서 인기가 급상승해서 간판 스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을 차인표씨가 책을 내다니 놀라웠다. 설마 그럴듯한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아니 어떤 내용을 담아냈을까? 이런 생각에 제목부터 유심히 보게 되었다. 그런데 잘가요 언덕이라니... 이건 또 무슨 내용이길래 제목이 이런가 싶었다 처음에는 이별에 대한 이야기나 러브스토리 정도로 생각했었다 그런데 막상 읽기 시작하니 우리네 역사속 이야기를 그대로 담아내고 있다. 얼마전 보았던 전쟁영화가 생각나기도 하고 전쟁을 상대로 한 드라마도 다시 순간적으로 떠올랐다. 우리가 일제 식민지 시대에 얼마나 고충을 많이 겪으면서 어렵고 힘들게 살았는지 그렇지만 그런 가운데서도 우리민족끼리 똘똘 뭉쳐서 열심히 살았는지 다시 보게 되는 부분이었다.
그런데 그 시대를 직접 살았던것도 아닌 차인표씨가 이런 글을 직접 쓸수 있다니 상당히 의아했다. 내용도 미리 걱정했던것 보다 탄탄하고 스토리가 자연스럽게 전개가 되고 있어서 마치 드라마 한편을 보고 있는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호랑이마을에 순이는 황포수와 그의 아들 용이를 만나면서 첫사랑이 슬며시 다가온다. 건장한 청년이 되어 용이는 혼자서 다시 이 마을에 돌아오게되는데 순이는 그때까지도 용이를 기다리고 있었던것 같다. 여기까지 이야기를 읽다보면 잔잔한 감동이 이는것이 우리 정서에 딱 맞는 그런 시골 풍경이 눈앞에 펼쳐지는것을 느낄수가 있다. 잘가요 언덕도 여느 시골에서나 볼수 있을 만한 그런 언덕이 상상이 되어 정감이 간다. 훌쩍이 역시 어느동네서나 볼수 있는 바보역할이 딱이고 마을 깡패 아이들 그리고 모든 사람들의 이야기가 그 시대를 반영하는듯이 잘 표현이 되고 있다. 지금은 사라진 호랑이 사냥을 당시에는 아직도 했었던가 보다. 호랑이에게 물려간 엄마와 여동생의 복수를 하려고 하는 용이의 마음도 이해가 가고 그런 용이를 안쓰럽게 바라보는 순이의 마음도 엿볼수 있다. 그런데 이런 평화로운 마을에 검은 그림자가 드리우니 바로 일본인들에 의한 위안부였다. 마을마다 젊은 여자들을 추려내어 일본인 군대에 위안부로 삼는다니 정말 사람으로서 해서는 안될일들을 너무도 많이 한것 같다. 같은 사람들끼리 이런 일을 지시한 사람이나 명령이라고 따라야 한다는 부대나 마찬가지로 다 너무 심한것 같다. 암울한 시대를 반영하는 내용이지만 정말 울화가 치밀었다.실제 있었던 위안부 이야기는 가슴이 아픈 우리의 역사일수 밖에 없는듯 하다.

순이를 구하기 위해 용이의 노력도 가상했고 또 일본인 대위 가즈오의 역할도 나름 좋았던 책이다. 하지만 이왕이면 해피엔딩이었기를 바랐는데 그냥 아픈 기억으로 남을수밖에 없는것이 조금 안타깝다. 역사 이야기니 어쩌면 마지막 결론이 나와 있었던건지도 모른다 순이가 할머니가 되어 다시 돌아온 호랑이 마을과 잘가요 언덕은 우리 역사속에 지금도 많이 남아있는 곳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생각보다 스토리가 잘 전개되어 있어서 차인표씨의 글 솜씨에 많이 놀랐던 책이다. 책을 읽으면서 깜짝 놀라는 부분도 많았고 따스한 정이 느껴지는 부분도 많았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